스팅, 자연의 따끔한 맛 - 독침의 비밀을 파헤친 곤충학자 S의 헌신
저스틴 슈미트 지음, 정현창 옮김 / 초사흘달 / 2021년 1월
평점 :
절판


“스팅, 자연의 따끔한 맛 (저스틴 슈미트 著, 정현창 譯, 초사흘달, 원제 : The Sting of the Wild)”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곤충에 대한 책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곤충에 대한 책이 아니라 바로 곤충의 독침이나 깨물림에 대한 책입니다.


 

저자인 저스틴 슈미트(Justin Orvel Schmidt, 1947~)는 바로 슈미트 고통지수의 바로 그 슈미트입니다. 미국의 곤충학자이자 최초로 곤충 침에 찔리거나 쏘였을 때, 그리고 깨물렸을 때 그 느낌과 고통의 정도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슈미트 고통지수화한 학자입니다. 슈미트 고통지수를 만들어낸 공로(?)로 저스틴 슈미트는 이그노벨상((Ig Nobel Prize)을 수상하기도 합니다. 

참고로 이그노벨상은 노벨상을 패러디하여 만들어진 상으로 반복할 수 없거나 반복해선 안 되는 업적에 수여됩니다. 대체로 불명예스러운 경우가 많으나 일부 재미있거나 엉뚱한 경우에도 수상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그노벨상과 노벨상을 모두 수상한 안드레 가임 (Andre Konstantin Geim, 1958~) 같은 과학자도 있습니다.

이 책, “스팅, 자연의 따끔한 맛”은 앞서 이야기했듯이 저자가 슈미트 고통지수를 만든 배경이 된 작업, 즉 곤충에게 쏘이고 물린 경험을 바탕으로 곤충의 독침에 대한 지식을 담은 책입니다. 하지만 무작정 독침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는 책은 아닙니다. 곤충학자로서 그 곤충에 대한 기본적인 생태와 지식 역시 풍부하게 이야기해줍니다. 더구나 스스로 물려가며, 쏘여가며 충실하게 관찰한 과학자의 기록이니 더욱 생생하게 느껴집니다. 

책에 소개된 저자의 경험 중 수확개미 (harvest ant)에 대한 묘사를 한번 들어볼까요? 참고로 수확개미의 슈미트 고통지수는 ‘3’입니다. 


‘수확개미의 침은 벌침과는 완전히 딴판이다. 극심한 고통이 매우 깊은 곳에서부터 연달아 밀려오며, 4~8시간쯤 이어진다. 4~8분이면 통증이 가라앉는 꿀벌 침과는 차원이 다르다.’



처음 슈미트 고통지수라는 용어를 접했을 때 하나 하나 경험하지 않고서는 지표화할 수 없는 것들인데 어떻게 만들었을까라는 궁금증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곤충에게 일일이 쏘여가며, 물려가며 만든 지표라는 사실을 알았을 때는 놀라움을 넘어 경이까지 느껴졌습니다. 이걸 만들어낸 학문적 호기심의 잴 수 없는 그 범위와 깊이가 느껴졌기 때문이겠지요.
매운 맛의 정도를 나타내는 스코빌 척도 같은 경우는 윌버 스코빌 (Wilbur Scoville, 1865~1942)이 맛을 보아가며 처음 척도를 만들었지만 이후 화학물질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산출할 수 있지만 슈미트 고통지수는 앞으로도 직접 확인하지 않고서는 다른 방법으로 측정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저자가 직접 쏘이고 물리며 고통으로 쓴 이 책을 만나볼 수 있어 큰 영광이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재미도 있어요.  



#스팅, #자연의따끔한맛, #저스틴슈미트, #정현창, #초사흘달, #곤충, #리뷰어스클럽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금융 도둑 - 99%는 왜 1%에게 빼앗기고 빚을 지는가
그레이스 블레이클리 지음, 안세민 옮김 / 책세상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금융 도둑 (그레이스 블레이클리 著, 안세민 譯, 책세상, 원제 : Stolen: How to Save the World from Financialisation)”을 읽었습니다.


‘이어즈&이어즈’라는 해외 드라마(BBC, HBO 합작)가 있습니다. 이 드라마의 등장 인물 중 금융 전문가로 활동하던 스티븐 라이언즈는 뱅크런 상황에서 전 재산을 잃어버리는 장면이 나옵니다. 이 장면은 사실 2007년 영국의 노던 록 예금 인출 사태 (bank run)에서 모티브를 가져온 것이 틀림 없습니다. 바로 노던 록(Nothern Rock)이 영국에서 141년 만에 일어난 뱅크런의 주인공이며 이 책, “금융 도둑”의 첫머리를 장식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개념을 저자는 이야기해줍니다. 바로 금융화 (Financialisation)입니다. 금융화는 ‘국내와 국제 경제에서 금융 동기, 금융 시장, 금융 행위자, 금융기관의 역할이 증대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금융기관 (은행, 펀드 운용사 등)의 힘이 다른 경제 주체 (기업, 소비자, 정부 등)에 비해 커지면서 영향력 역시 확대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물론 금융의 성장은 새로운 경제 모델을 등장시켰으며 성장의 동력으로 작용하기도 했지만 금융화는 경제의 메커니즘에 강력하고 돌이키기 어려운 구조적 변화를 강요한다는 것을 이제 우리는 2008년 금융 위기를 통해 잘 알고 있습니다.  


오래된 자본주의적 믿음 중 낙수 효과(trickle down)라는 것이 있습니다. 기업은 이윤을 창출하여 시설에 투자하고 고용을 늘리면 일자리가 창출되는데 일시적으로 불평등이 있을지라도 장기적으로 보면 이윤이 재투자로 인해 부의 재분배가 일어나 결국 모든 이의 소득과 생활 수준이 올라간다는 환상적인 개념입니다. 물론 과거에는 1970년대까지 지속적으로 소득 불평등이 개선되는 듯 보이면서 이 효과가 실제로 작동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금융화가 진행되면서 자본을 이미 축적한 사람이 성장의 혜택을 독점하는 현상이 심화되면서 낙수 효과는 신화 속의 용과 다름 없게 되어 버립니다. 

저자는 이 책에서 금융화 혹은 금융자본주의는 착취를 목적으로 기획된 체제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융화 혹은 금융자본주의는 하늘에서 뚝 떨어지거나 자본주의의 원리를 왜곡한 것이 아니라 자본주의의 원리에 충실한 방식이라는 주장을 이어갑니다. 


이 책에서 자본주의 체제의 모순과 금융화 등 착취 경제가 야기한 부작용에 관한 다양한 사례와 이야기들을 통해 논거한 후 정치경제적 대안을 제시합니다. 특히 그는 계획 경제가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믿고 있습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세계 경제의 많은 부분이 시장 자율보다는 합리적 계획에 의해 관리되고 있으며, 특히 민간 영역에서는 벌어지는 대부분의 경제 활동은 계획되지 않은 경우가 없다고 주장합니다. 또한 과거에 비해 정보 처리 기술 역시 엄청난 발전을 거듭하고 있기 때문에 계획 경제가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이야기도 덧붙입니다.  또한 그는 자본주의의 모순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사회주의적 정치 운동 역시 되살려야 할 대안 중 하나라고 주장합니다.  


최근 G7 정상들은 글로벌 최소 법인세 세율안에 대한 찬성 의견을 밝히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 간 제기되어 온 자본주의의 모순과 소득의 불평등에 대해 어느 정도 경각심을 가졌기에 이런 움직임도 가능했으리라 생각합니다. 자본주의가 가진 모순을 지속적으로 고쳐 가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문제 제기 및 이를 뒷받침해야 하는 정치경제 사상과 현실적 힘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금융도둑, #크레이스블레이클릭, #안세민, #책세상,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이오 사이언스 - 불확정성의 시대를 살아가는 모두를 위한 생명과학
요시모리 다모쓰 지음, 오시연 옮김 / 이지북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이오 사이언스 2025 (요시모리 다모쓰 著, 오시연 譯, 이지북, 원제 : Life science : 長生きせざるをえない時代の生命科学講義)”를 읽었습니다.


2016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오토파지의 기작을 발견한 공로로 오시미 요시노리 (大隅 良典, 1945~) 박사가 수상했습니다.  오토파지(Autophagy)는 자가포식이라는 명칭으로 번역할 수 있는데 세포가 자신을 이루는 구성물을 없애거나 재활용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과거부터 오토파지에 대한 개념은 있었지만  오시미 요시노리 박사가 오토파지이 어떻게 일어나는 것인지 밝혀내면서 이 현상에 대한 이해의 패러다임이 전환되었다는 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이 책, “바이오 사이언스 2025”는 이러한 오토파지에 대한 기본 개념과 이를 활용한 생명 연장의 가능성에 대해 알려주는 책입니다. 

인체의 세포는 일정 주기를 가지고 완전히 대체됨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나’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세포가 언제나 같은 상태인 항상성을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질병을 이러한 항상성이 무너진 상태라고 보면 최근 노화 역시 질병의 일종이라고 바라보는 일단의 시선도 이해가 됩니다.

저자는 오토파지가 세포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오토파지에 대한 깊은 이해는 곧 세포의 항상성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노화를 억제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또한 그 뿐 아니라 암이나 감염병, 알츠하이머 같은 질병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도 제시할 수 있다고 기대도 합니다. 또한 오토파지는 새로운 가능성에 주목받고 있는데 소위 말하는 회춘입니다. 즉 뷰티 산업계의 안티 에이징에서도 굉장한 주목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칼리코 (California Life Company)라는 회사가 있습니다. 구글의 공동 창업자인  세르게이 브린(Sergey Brin, 1973~ )과 래리 페이지( Lawrence Edward Page, 1973~)가 설립한 생명 과학 회사입니다. 이 회사는 인간 노화의 비밀을 밝혀 수명을 획기적으로 연장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합니다.  처음 설립될 당시 허황된 목표라고 시장은 판단했지만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오토파지를 비롯해 두더지쥐와 같은 실험 동물 연구 뿐 아니라 유전자 치료 개발 분야에서도 일정 성과가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즉, 생명 연장 자체는 더 이상 허황된 꿈만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러한 생명을 연장할 수 있는, 보다 정확히 말하면 인간 수명의 생물학적 한계를 극복하는 노력의 구체적인 부분들이 궁금했는데 그 중 일부를 이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바이오사이언스2025, #요시모리다모쓰, #오시연, #이지연, #문화충전, #문화충전200



※ 본 포스팅은 네이버 카페 문화충전200%의 서평으로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명과학 사전 - 개념, 용어, 이론을 쉽게 정리한 그린북 과학 사전 시리즈
오이시 마사미치 지음, 이재화 옮김, 임현구 감수 / 그린북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명과학 사전 (오이시 마사미치 著, 이재화 譯, 임현구 監, 그린북, 원제 : 「生物」のことが一冊でまるごとわかる)”을 읽었습니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정말 놀랍습니다. 특히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발전은 더더욱 그런데요. 최근  COVID-19 팬데믹 사태 이후 백신을 이렇게나 빨리 만들어낼 수 있는 저력을 우리 인류가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서 새삼 그 놀라움은 배가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전혀 만들어보지 못했던 mRNA 백신 같은 경우도 임상도 큰 문제 없이 통과했고 이제는 실제 접종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까지 밝혀내지 못한 생명과학의 비밀도 많지만 그래도 인류는 이렇게 조금씩 앎의 범위를 넓혀가면서 현실에 적용해나가고 있습니다.

사실 뉴턴 역학이 지배하던 시대에 생명과학은 환원주의적 시각에서 해석되던 때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과학에 대한 이해가 조금 더 넓어지고 깊어지면서 생명과학은 양질전환이 이루어져 전혀 다른 영역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죠. 그리고 지금도 조금씩 새로운 사실들이 발견되고 있으며 이를 응용하고 있습니다. 


생명은 정말 경이롭습니다. 지금까지 밝혀진 바로는 최초의 생명체는 지금으로부터 38~41억년 전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당시 지구는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매우 혹독한 환경이었을텐데요. 이러한 생명의 탄생은 실험실 환경에서도 증명된 바 있습니다. 이 책에서도 밀러-유리 실험(Miller-Urey experiment)에 대해 첫 장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주에서 날아온 운석에서도 다양한 아미노산이 발견되면서 생명의 기원은 우주에서 왔다는 가설과 지구에서 탄생했다는 가설 모두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책에서는 분명히 밝히고 있습니다.


이 책의 놀라운 점 중 하나는 에너지 화폐, ATP를 비롯해 호흡의 원리, 신경의 흥분과 도약전도, 생체시계, 카드헤린 등과 같은 일반적인 대중과학서에서는 다루지 않는 높은 수준의 생명 과학 관련 아티클들이 가득하다는 것입니다. 물론 아주 깊이 다루지는 않고 소개하는 정도로 그치기는 하지만 이런 개념들에 대한 이해를 돕는 수준에서 충분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예전에 닉 레인(Nick Lane, 1967~)의 “생명의 도약 (김정은 譯, 글항아리, 원제 : Life Ascending: The Ten Great Inventions of Evolution)”이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생명 과학과 생물, 그리고 진화의 놀라움을 가르쳐준 책이었습니다. 이 책을 읽고 난 후 재독의 욕심은 있었지만 을 하고 싶지만 워낙 두꺼운데다 만만치 않은 난이도에 엄두를 못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책, “생명 과학 사전”은 생명 과학의 여러 분야에 대한 기본 개념에 대해 쉽게 찾아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일독 후에 아티클별로 궁금한 부분을 쉽게 찾아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생명과학사전, #오이시마사미치, #이재호, #임현구, #그린북,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더 나은 삶을 위한 경제학 - 주류 경제학이 나아갈 길에 관하여
로버트 스키델스키 지음, 장진영 옮김 / 안타레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더 나은 삶을 위한 경제학 (로버트 스키델스키 著, 장진영 譯, 안타레스, 원제 : What’s Wrong with Economics)”을 읽었습니다. 




이 책은 20세기 말부터 21세기초 동안 전 지구적으로 경제학계의 주류로 자리잡고 세계 각 국의 경제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던 주류 경제학에 대한 의구심을 근거 있게 보여주고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할 것인지에 대해 논증한 책입니다. 

저자인 로버트 스키델스키 (Robert Skidelsky, 1939~)는 뼛속 깊이까지 케인즈주의자라고 알려져 있는 영국의 경제사학자로 특히 케인즈 (John Maynard Keynes, 1883~1946)의 전기 작가로도 유명합니다. 케인즈 3부작 이외에도 왕성한 저작 활동을 이어오고 있으며 경제사의 석학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경제학은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큽니다. 또한 이러한 경제학적 방법론들이 우리의 삶을 결정짓는 각종 정책에도 반영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주류 경제학의 방향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주류 경제학은 뭔가 이상할 뿐만 아니라 심각한 결함이 있고, 세상에 미치는 역시 부정적이라 저자는 바라보고 있습니다. 또한  저자는 그것을 바로 잡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많은 학자들이 대안적인 방법을 통해 주류 경제학을 대체해야 한다는 주장을 한 것과는 사뭇 다른 결의 주장이긴 합니다만 저자의 학문적 배경을 생각해보면 대안적 주장이 아닌 주류 경제학을 수선해야 한다는 입장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경제학은 분명 한계가 있습니다. 많은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인간이 과연 (경제적으로) 합리적인 존재인지에 대한 합의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을 정도입니다. 경제학이라는 학문의 목적이 바로 인간 행동에 대해 해석하여 자원을 어떻게 배분하느냐에 있는데 그 기본 가정이 되는 인간 행동의 근본에 대해서도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니 얼마나 그 한계는 분명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학을 이루는 기본 이론들은 부족하나마 사회 현상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발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많은 이론들이 정반대의 주장을 하고는 하지만 결국에는 정책적인 수단으로 이론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무수한 논쟁과 토론을 통해 합의되고 다듬어져야 합니다. 결국 주류 경제학이나 대안적 경제학이나 세상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학문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균형 잡힌 시선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 동안 경제학의 대안적 주장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왔다면 주류 경제학을 어떻게 고쳐 쓰면 되는지에 대한 노석학의 고언에도 귀를 기울여 보는 것은 어떨까요?



#더나은삶을위한경제학, #로버트스키델스키, #안타레스, #장진영,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