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농담하냐고요? 과학입니다 - 간단한 질문에서 시작하는 기상천외 과학 수업
최원석 지음, 고고핑크 그림, 서울과학교사모임 감수 / 북트리거 / 2021년 6월
평점 :
“농담하냐고요? 과학입니다. (최원석 著, 북트리거)”를 읽었습니다. ‘농담’ 같은 질문에 대한 진지한과학적 답변을 다룬 흥미로운 과학 입문서이자 청소년 과학책입니다.

저자인 최원석님은 과학 작가이자 현직 중학교 과학 교사라고 합니다. 저자는 과학 작가로 활동이 대단한데 30권이 넘는 대중 과학 서적을 집필하시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아이들이 좋아하는 ‘Why 시리즈’에서 과학 파트 감수를 맡기도 하였고, YTN 과학 에능 프로에도 출연하시는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오고 계시는 분이네요.
이 책, “농담하냐고요? 과학입니다.”에서는 흥미로운 질문들이 많습니다. 사람이 투명해질 수 있을까, 생물한테 왜 물이 필요할까, 바이러스로 좀비를 만들 수 있을까, 산에서 소금이 왜 나올까, 손오공처럼 구름을 타고 다닐 수 있을까 등등.
어찌 보면 우리는 세상의 원리를 마치 모두 이해한다는 듯 이런 질문들을 잊고 살지만 아이들은 그런 질문들을 퍼부을 때가 있습니다. ‘원래 그래’라는 답으로 아이들의 질문을 회피할 수도 있지만 이 책에는 그런 질문에 대한 답변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책에 소개된 내용 중 재미있는 것 하나를 소개할까 합니다.
번개는 왜 땅으로 떨어질까요?
번개는 구름에서 생깁니다. 일종의 마찰전기이지요. 어렸을 때 책받침 (요즘은 책받침을 쓰지는 않더군요)을 비비고 머리 위에 올려놓으면 머리카락이 책받침에 달라붙는 경험을 해보셨을 겁니다. 바로 마찰에 의한 정전기 때문인데요. 구름에서 벌어지는 현상도 동일합니다. 구름 안에는 물방울이나 얼음알갱이가 무수히 많은데 이런 덩어리들이 사로 부딪히면서 정전기가 발생하고 일정 수준이 되면 불안정한상태를 깨고 번개가 발생합니다. 이때 땅은 양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정전기 유도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번개는 구름에서 땅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것이지요. 과학관 같은 곳에 가면 정전기 유도 현상을 구현한 장치를 볼 수 있습니다. 유리 관 안에 금속 공이 있고 그 금속공에 스파크가 일어나게 하는 장치 말입니다. 바로 번개의 원리를 구현한 장치입니다.
어렸을 때를 곰곰히 생각해보면 많은 호기심과 궁금증들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비행기는 어떻게 하늘을 날까, 왜 별은 반짝일까, 투명인간은 가능할까 등등. 하지만 점차 나이가 들어가면서 우리는 질문을 잃어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여전히 호기심은 많지만 그것을 알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 것이지요.
생각해보면 과학적 태도라는 것이 별다를 게 없을 것 같습니다. 호기심이 생기면 그 호기심을 해결하기 위해 질문을 던지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아닐까 싶네요.

이 책, “농담하냐고요? 과학입니다.”은 청소년 과학 서적입니다. 하지만 질문을 잃어버린 성인이 읽기에도 부담 없기도 하고 과학적 태도를 되살리기에 충분히 좋은 책이 될 것 같습니다.
#농담하냐고요과학입니다, #최원석, #과학, #청소년과학, #북트리거, #리뷰어스클럽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