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은 어렵지만 확률·통계는 알고 싶어 알고 싶어
요비노리 다쿠미 지음, 이지호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은 어렵지만 확률 통계는 알고 싶어 (요비노리 다쿠미 著, 이지호 譯, 이동흔 監, 한스미디어, 원제 : 難しい数式はまったくわかりませんが、確率・統計を教えてください!)”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요비노리 다쿠미 (ヨビノリ たくみ)는 이론 물리학을 전공하고 학원 강사를 거쳐 지금은 교육 유투버로 활동하고 있는 분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도 “수학은 어렵지만 미적분은 알고 싶어”, “과학은 어렵지만 상대성 이론은 알고 싶어” 등 전작들이 번역 소개되어 있습니다. 


확률이나 통계 분야는 수학의 한 분야, 그 중에서 응용 수학 분야이지만 살짝 다른 학문처럼 느껴지기도 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대학 학부도 통계학과라고 별도로 분리 운영하고 있는 대학도 많죠. 아마도 사회 여러 분야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은 학문이라 그럴 것이라 추정합니다. 


그런 만큼 세상의 많은 일들이나 현상을 확률이나 통계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당장 우리가 보고 있는 많은 뉴스들에서도 코로나 백신 접종률이나 사전 예약률, 백신 접종 시 감염 확률, 대선 후보 지지율 등 이런 확률과 통계에 대한 이야기가 거의 빠지지 않고 나옵니다. 

이런 수치로 제시되는 정보는 사람들에게 신뢰감을 주기 때문에 자칫 오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고의가 아니라 하더라도 확률이나 통계에 대한 이해가 없을 경우에는 오해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구요. 


사람들은 보통 상관관계에 대한 오해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많은 경우 상관관계가 인과관계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많은 경우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뒤섞어 사람들로 하여금 오해를 하도록 의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책에서 저자 역시 이런 경우에 대해 우려하고, 독자들이 이러한 허위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주고 있습니다. 이렇듯 에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확률과 통계에 대해 올바른 이해를 가질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이 책, “수학은 어렵지만 확률 통계는 알고 싶어”은 현대인이 확률과 통계에 대한 이해에 접근하는데 도움을 주는 책입니다. 이 책은 확률과 통계의 기본 개념을 대화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가볍게 읽으면서 확률과 통계에 대한 이해를 쌓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좀더 깊은 이해를 필요로 한다면 다른 책을 통한 추가 독서가 필요할 것입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개념만이라도 가지기를 바라는 독자라면 일단 이 책을 통해 확률과 통계에 대해 입문해보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수학은어렵지만확률통계는알고싶어, #한스미디어, #요비노리다쿠미, #이동흔, #이지호,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이사르의 마지막 숨 - 우리를 둘러싼 공기의 비밀
샘 킨 지음, 이충호 옮김 / 해나무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금의 시간을 내서 호기심을 되살려 공기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것도 좋은 일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이사르의 마지막 숨 - 우리를 둘러싼 공기의 비밀
샘 킨 지음, 이충호 옮김 / 해나무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이사르의 마지막 숨 (샘 킨 著, 이충호 譯, 해나무, 원제 : Caesar’s Last Breath: Decoding the Secrets of the Air Around Us)”을 읽었습니다. 우리 주변에 언제나 있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공기에 얽힌 대중과학서적입니다.


저자인 샘 킨 (Sam Kean)은 과학 저술가로 이름 높은 분으로 특히 국내에도 “사라진 스푼 (이충호 譯, 해나무, 원제 : The Disappearing Spoon: And Other True Tales of Madness, Love, and the History of the World from the Periodic Table of the Elements)”으로 꽤 잘 알려진 작가이기도 합니다. 


맬서스의 인구론에 대해서 많이들 들어보셨을 겁니다. 맬서스(Thomas Robert Malthus, 1766~1834)는 인구론을 통해 인구의 증가는 기하급수적이지만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식량 부족은 필연적이라 주장한 바 있습니다.  이 주장은 한 과학자의 연구가 아니었다면 현실화되었을지도 모릅니다. 바로 프리츠 하버 ( Fritz Jakob Haber, 1868~1934)의 질소고정기술입니다. 질소는 그 특성상 공기에서 빠져나와 다른 물질과 결합하는 것이 매우 어렵습니다. 자연적으로 질소가 고정되는 경우는 보통 낙뢰나 일부 박테리아에 의해서입니다. 문제는 식량 생산을 위해 필요한 비료에는 반드시 고정된 질소가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천연 비료 중 하나인 구아노를 둘러싸고 전쟁까지 벌어진 일이 있을 정도였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프리츠 하버는 질소를 고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비료를 만들 수 있음을 증명하였습니다. 이러한 하버의 업적을 가리켜 사람들은 공기에서 빵을 만들어냈다고 찬양하기도 했습니다. 그의 업적은 너무나 위대해서 지금까지도 찬양받을 수 있었지만 그가 화학전을 담당하는 부대에 앞장서면서 그의 업적은 죄악에 뒤덮혀버리고 말았습니다. 

 


질소와 관련한 재미있는 이야기 외에도 공기와 관련한 수많은 이야기들을, 샘 킨은 이 책, “카이사르의 마지막 숨”을 통해 들려줍니다. 


우리가 숨쉬는 공기에는 정말 많은 기체 분자들이 있습니다. 이 기체 분자들은 대부분 수십~수백억년 전에 만들어졌고 언젠가는 분명 다른 사람의 호흡을 도와준 적이 있을 것입니다. 책에서도 이야기가 나오듯이 ‘카이사르’의 마지막 숨결 속의 기체 분자들 역시 호흡을 통해 우리들을 만들어가고 있을지 모릅니다. 

언제나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에 대해서 자칫 무관심해질 수 있지만 공기가 단 몇 분만 없더라도 우리는 살아갈 수 없습니다. 조금의 시간을 내서 호기심을 되살려 공기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것은 어떨까요? 바로 이 책, “카이사르의 마지막 숨”을 통해서 말이지요.





#카이사르의마지막숨, #샘킨, #이충호, #해나무, #리뷰어스클럽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국 비밀문서로 읽는 한국 현대사 1945~1950 - 우리가 몰랐던 해방·미군정·정부 수립·한국전쟁의 기록
김택곤 지음 / 맥스미디어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국 비밀문서로 읽는 한국 현대사 1945-1950 (김택곤 著, 맥스미디어)”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김택곤씨는 MBC 특파원으로 활동하면서 미국 정부가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신군부의 무력진압을 승인했다는 사실을 미국 정부 문서를 인용하여 보도하였고, 강기훈 유서 대필 사건과 관련한 국과수의 허위감정 사건을 보도하는 등 현대사에 획을 긋는 굵직한 특종으로 유명하다고 합니다. 방송 경영과 관련하여 논란의 여지가 있는 분이기는 하지만 기자로서의 활동에 있어서는 큰 업적을 남기신 분입니다. 


“이 소식은 내게 희소식이라기보다는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지는 일이었다. 수년동안 애를 써서 참전을 준비한 것도 모두 허사로 돌아가고 말았다.”


일왕이 항복을 선언한 날, 백범일지에 나타난 김구 선생의 심경입니다. 일왕이 항복을 선언했고 이제 식민지 조선은 독립을 얻을 수 있는데, 평생 독립운동에 몸바쳐온 노 독립투사는 기쁨이 아닌 슬픔과 충격의 심경을 일기에 남겼을까요?

이는 바로 한반도 진공작전인 이글작전의 무산 때문입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미국 첩보기관OSS (Office of Strategic Service)의 지원을 받아 광복군을 한반도에 진공하려는 작전을 실행하고 있었고 이를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해방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승전국의 지위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였는데 하지만 실행하기 직전 일본의 항복으로 말미암아 광복군의 효용가치는 갑자기 사라져버렸고, 한반도 진공작전은 무산되었으며 1945년 8월 26일 광복군의 이글작전팀은 전격 해체되어 버리고 맙니다. 이후 미군은 오히려 대한민국임시정부와 광복군의 동향을 감시하는 등 견제를 하게 됩니다. 일본의 항복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는 파트너가 아니라 공작이 대상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현재 우리가 누리고 있는 정치, 경제, 시스템, 문화 등은 과거 역사가 한층 한층 쌓아올려진 결과물입니다. 그러므로 누구도 과거의 역사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최근 극심해진 한일 갈등을 보면 과거사가 정리되지 않고서는 현재의 관계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서독의 빌리 브란트 (Willy Brandt, 1913~1992) 총리가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무릎을 꿇었던 사건은 한일 관계에서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하지만 우리는 먹고 사는데 바빠 자칫 과거의 역사를 외면하거나 관심을 잃어버릴 수 있습니다. 또한 현대사의 많은 부분들은 현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자칫 왜곡되거나 감춰져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책, “미국 비밀문서로 읽는 한국 현대사 1945-1950”은 그동안 비밀 해제된 미국의 비밀 문서,미국의 눈을 통해 바라본 1945~1950년 동안 우리에게 일어났던 많은 일들, 우리의 발자취를 더듬어보는 책입니다. 이 책을 통해 과거 역사의 편린, 그리고 불편하지만 알아야할 현대사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아볼 수 있는 독서 경험을 가질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미국비밀문서로읽는한국현대사, #1945_1950, #김택곤, #맥스미디어,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방관자 효과 - 당신이 침묵의 방관자가 되었을 때 일어나는 나비 효과
캐서린 샌더슨 지음, 박준형 옮김 / 쌤앤파커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방관자 효과 (캐서린 샌더슨 著, 박준형 譯, 쌤앤파커스, 원제 : Why We Act: Turning Bystanders into Moral Rebels)”를 읽었습니다. 


2003년 서울 신당역에 한 남자가 선로에 떨어집니다. 그리고 마침 들어오던 열차의 기관사는 그 남자를 발견하고 급정거를 합니다. 다행히 선로에 떨어진 남자는 열차에 치이는 상황을 모면하기는 했지만 열차와 선로 사이에 끼어 꼼짝도 할 수 없었습니다.

탑승객들이 내려 이 상황을 지켜봅니다. 거대한 열차와 선로 사이에 끼인 남자는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지 알 수 없는 매우 급박한 상황. 그 때 누군가 외칩니다. 열차를 밀어보자고. 가능한 일일까? 하지만 사람들은 모두 그의 말을 따라 열차를 밉니다. 사실 누구도 그 열차가 밀릴 것이라 생각하고 민 것은 아닐 겁니다. 지금 눈 앞에 사람이 열차에 끼어 곧 죽을지 모른다는 생각에 무엇인가를 해야 했기에 열차를 밀었을 겁니다. 그런데 기적이 일어납니다. 열차는 그대로 밀렸고 선로에 떨어진 남자는 다행히 구출이 되었습니다.


이 사건에서 누군가 밀어봅시다라는 이야기를 하지 않았다면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요? 발을 동동 구르고 119를 불렀을 테지만 누구도 행동으로 나서지는 않았을 것이고 선로에 떨어진 사람은 매우 위험한 상황이 되었을지도 모릅니다. 


위에서 언급한 사례에서는 누군가 행동했기에 벌어지는 일이지만 우리는 반대의 사례를 더 많이 경험합니다. 도움이 필요한 누군가를 보더라도 우리는 외면하곤 합니다. 누군가 도와주겠지, 누가 나서겠지 등등으로 합리화하면서 말이지요. 이렇듯 내가 아닌 모두의 책임이 되는 상황에서 책임이 분산되어 나타나는 방관자 효과 (傍觀者效果,  bystander apathy)를  다룬 책이 바로 이 책, “방관자 효과”입니다. 


인간은 독립적 존재로 착각하곤 하지만 군중이나 자신이 속한 커뮤니티에 매우 많은 영향을 받곤 하는 존재입니다. 장기적인 영향 뿐 아니라 단기적인 행동과 심리에도 매우 큰 영향을 받는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사람들이 많을 때 내 눈 앞에 일어나는 좋지 않은 일 앞에서 침묵하려는 것은 인간의 자연스러운 본성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그러한 자연스러운 본성 이면에서 작동하는 심리적 요인을 이해하고, 그러한 나쁜 일들이 지속되도록 허용하는 침묵이 장기적으로 어떤 악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내 앞에서 벌어지는 나쁜 일들은 누군가 심장마비로 쓰러지는 일부터, 학교에서의 따돌림, 대학이나 직장에서의 성폭력일 수도 있고 직장에서의 비윤리적인 행위들까지 다양합니다. 나는 군중 속에 숨어서 누군가 잘못된 일이라고 이야기해주기만을 기다리지만, 그런 상황에서는 누구도 나서지 않습니다. 개인의 용기에는 무리의 연대가 뒤따를 것이라는 신뢰가 중요할 것인데 많은 경우 이러한 신뢰는 약하기만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에서는 바로 무리 중 하나인 ‘내’가 나서야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으며 도덕적 저항 (Moral Rebels)으로써 맞서야 하는 방법과 전략에 대해서도 실천적인 가이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고 김대중 대통령의 ‘행동하는 양심’, 그리고 마틴 루터 킹의 ‘침묵이라는 배신’이라는 경구가 생각나게 하는 독서 경험이었습니다.






#방관자효과,  #캐서린샌더슨, #박준형, #쌤앤파커스, #몽실서평단, #몽실북클럽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