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한 오리와 오일파스텔 - 다짜고짜 오일파스텔
김지은 지음 / 도서출판 큰그림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용한 오리와 오일파스텔 (김지은 著, 큰그림)”을 읽었습니다. 


저자인 김지은님은 회화와 미술치료를 전공하였으며 다양한 재료로 미술활동을 이어 오고 있는 분이라고 합니다. 특히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WinterOri)을 통해 오일파스텔로 누구나 따라 그릴 수 있는 그림에 대한 영상을 연재하고 있기도 합니다.



왁스 오일 크레용이라고도 불리우는 오일파스텔은 사실 매우 익숙한 재료입니다. 우리가 어린 시절 미술 시간에 자주 사용했던 크레파스의 정식 화구 명칭이 바로 오일파스텔이기 때문입니다. 일본 업체가 오일 파스텔의 브랜드 명칭을 크레파스라고 정했는데 이것이 대중화되면서 일반명사처럼 되었다고 합니다.


이 책, “조용한 오리와 오일파스텔”은 그림을 그리기 위해 필요한 준비물부터 차근 차근, 친절하게 알려줍니다. 오일 파스텔이 있어야 하겠지요. 고가의 오일 파스텔이 아니더라도 저자가 추천하는 제품으로도 충분히 책에 있는 그림들을 그려낼 수 있습니다. (제가 쓰는 것도 저자가 추천한  제품이더라구요.) 그리고 스케치북이 필요할 겁니다. 또 다양한 기법의 구사를 위해 색연필, 블렌딩 도구 (찰필, 면봉 등), 마스킹 테이프, 마카펜 등이 있습니다. 이 정도면 준비가 끝납니다. 오일파스텔은 집에서 할 수 있는 취미 중에 그나마 금전적 부담이 적은 취미 중에 하나에요.


가끔 마스킹 테이프가 종이를 상하게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책에서는 그런 일이 벌어지지 않게 도와주는 팁들도 알려주고 있습니다. 어떤 종이를 골라야 할지, 종이가 상하지 않게 마스킹 테이프를 부착하고 떼어내야 하는지, 오일파스텔 가루를 어떻게 제거해야 하는지 등등 말입니다. 


그리고 처음부터 그림을 그려내라고 윽박지르지도 않습니다. 어떤 책들은 연습도 하기 전에 바로 그림부터 그리라고 말하는 듯한 책들이 있는데 이 책에서는 선 긋는 연습, 면 채우는 연습, 기본 형태 그리기 등, 기초적인 연습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특히 구름이나 물결 같은 경우 초보자가 표현하기 어려운 부분 중 하나인데 이런 것들을 쉽게 따라해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요. 


이제 책에 나온 그림을 한번 그려볼까요? 저는 이 그림을 그려보기로 마음 먹고 그려봤습니다.


몇 몇 부분 막히는 부분이 있었는데 저자의 설명 덕분에 표현법을 쉽게 익히면서도 따라 할 수 있었습니다. 


 



COVID-19로 인해 바깥 외출이 자유롭지 않은 시대, 집에서 할 수 있는 취미 생활을 찾다 오일파스텔을 접하였지만 누구에게 배운 것은 아니라 한계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조용한 오리님의 유튜브를 통해 다양한 기술 등을 접할 수 있어 유익했는데 이번에 책을 통해 정리하는 기회가 되기도 했습니다.




#조용한오리와오일파스텔, #김지은, #큰그림, #책과콩나무, #처음부터차근차근기초다지기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신의 역사 - 비너스, 미와 사랑 그리고 욕망으로 세상을 지배하다
베터니 휴즈 지음, 성소희 옮김 / 미래의창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신의 역사 (베터니 휴즈 著, 성소희 譯, 미래의창, 원제 : Venus and Aphrodite: A Biography of Desire)”는 그리스, 로마, 이집트, 중세, 르네상스와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류가 가진 욕망과 여성성에 대한 신격 부여로 이름지어진 비너스가 어떻게 변천해왔고 우리는 어떻게 기억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책입니다. 


저자인 베터니 휴즈 (Bettany Mary Hughes, 1967~)은 영국의 역사학자, 저술가, 다큐멘터리 제작자로 그의 작품 중 “아테네의 변명 (강경이 譯, 옥당, 원제 : The Hemlock Cup: Socrates, Athens, and the Search for the Good Life)”이 우리나라에 번역 소개되어 있습니다.


비너스로 대표되는 여신의 원형은 약 5천년 전에 만들어진 조각상 ‘렘바의 여인상’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성적 특징이 매우 강하게 묘사된 신성한 생명력을 상징하는 ‘렘바의 여인상’은 남성성과 여성성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저자에 따르면 사랑의 여신, 비너스의 먼 조상이자 흥미로운 조상이라고 합니다. 

비너스 (그리스에서는 아프로디테라 불리웠던)는 단순한 존재가 아닙니다. 다산과 성, 생식을 의미하는 여신이기도 하지만 전쟁이 여신이기도 했습니다. 이는 인간의 격정 그리고 욕망을 신격화한 존재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하지만 점차 남성이 공동체의 요직을 차지하게 되면서 남성성과 여성성이 혼재된 비너스는 남성성을 잃어버리고 자취를 감춥니다. 욕망을 상징하던 이 여신에게는 이제 여성성만 존재하게 된 것입니다. 그러면서 과거 전쟁으로 표현되던 격정과 욕망은 성욕과 음탕함을 상징하는 여신이 되기도 하고 변덕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이는 아마도 가부장적 사회질서가 조금씩 인류 사회에 스며들면서 여신의 상징성이 변화된 모습이 아닐까 합니다. 


고대의 인류는 가지고 있는 지식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자연 현상, 혹은 위대하다고 생각했던 존재에 대해 신격을 부여하였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영생불멸이라는 여성의 본성은 우리를 끌어당긴다’라고 괴테가 이야기하였듯 여성이 가지고 있는 재생산이라는 특징 역시 신격을 부여 받기에 적합하였을 것입니다. 


여성에게 부여된 신격은 이후 가부장적 유일신 전승에 의해 끊임없이 공격받고 몰아내어졌다고 조지프 캠벨 (Joseph John Campbell, 1904~1987)은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여신의 전형적이고도 상징적인 힘은 변화를 통해 끝끝내, 그리고 여전히 살아남아 있습니다. 그것은 인류 최초의 신전이 바로 어머니의 품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여신의역사, #비너스, #클레오파트라, #베터니휴즈, #성소희, #미래의창, #책책책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학을 만든 사람들 - 과학사에 빛나는 과학 발견과 그 주인공들의 이야기
존 그리빈 지음, 권루시안 옮김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은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어떤 천재가 한번에 만들어낸 학문이 아닙니다. 과학은 마치 오랜세월 동안 쌓인 모래, 흙, 자갈들이 퇴적암이 되듯 인류가 과거부터 조금씩 축적하고 구축한 아카이브에 가깝습니다. 과학은 정답을 찾아내는 과정이 아니라 오답을 걸러내는 과정의 학문이라는 이야기가 있듯이 그렇게 발전해왔습니다. 


우리가 대중과학서적을 읽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보통은 과학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서라는 것이라 대답하겠지요. 물론 이런 이유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보다 더 중요한 이유는 과학이라는 학문이 어떻게 발전해 왔고 지금의 과학적 지식이 어떤 경로와 과정을 거쳐 축적되었는지를 이해함으로써 과학적 사고방식을 배양하는 목적이 더 중요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과학을 만든 사람들 (존 그리빈 著, 권루시아 譯, 진선북스, 원제 : Science, A History 1543–2001)”는 과학사에 아로새겨진 과학적 발견과 그것을 이루어낸 과학자들의 이야기입니다. 

현대 과학의 뿌리라 할 수 있는 르네상스기에 과학이라는 거대한 나무로 자랄 수 있는 싹 하나를 틔우기 위한 많은 과학자들이 있었습니다. 코페르니쿠스(Nicolaus Copernicus, 1473~1543)는 우주의 어둠을 조금씩 걷어냈고, 튀코 브라헤(Tycho Brahe, 1546~1601)와 케플러(Johannes Kepler, 1571~1630)는 우주의 움직임을 알아내고자 했습니다. 갈릴레이(Galileo Galilei , 1564~1642)에 의해 많은 질문들이 만들어졌고, 그 거인들의 어깨 위에서 뉴턴(Isaac Newton, 1643~1727)이라는 새로운 거인이 고전 역학의 토대를 만들어냅니다. 또한 다윈(Charles Robert Darwin, 1809~1882)이라는 또 다른 거인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이런 거인들 역시 과학이라는 거대한 도전 앞에서는 향후 나타날 거인들의 밑그림이 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드디어 원자와 분자의 신비가 파헤쳐지고 빛과 전자의 비밀이 인류 앞에 드러나게 됩니다. 

그리고 또 하나의 세기의 거인이 등장합니다. 바로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1879~1955). 진정한 현대 과학의 시작을 알린 인물입니다. 하지만 인류는 과학에 대한 도전을 멈추지 않습니다. 태양이 우주에서 가장 가벼운 수소로 되어 있는 거대한 기체 덩어리라는  사실을 알아내고 블랙홀을 찾아냈으며 우주의 기원을 알아냈습니다. 그리고 이 도전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입니다. 과학은 하나의 답을 찾아내면 그 답으로 인해 수천, 수만가지의 질문이 새로 생기는 질문이니까요.




이 책은 르네상스 이후부터 약 500여년 간 진행된 과학의 발전사를 다룬 대저작입니다.  보통 이런 주제의 책들은 수박 겉핥기 식으로 대충 구색만 갖춘 경우가 많은데 이 책은 그 기간동안 이루어진 주요 과학적 업적들을 충실하게 기록하고 있으며 독자들에게 쉬우면서도 재미있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21세기,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에서 일어나는 많은 일들은 바로 과학이나 기술과 관련된 것들이 많습니다. 우리가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과학을 모르고 과학적 사고방식을 하지 않는다면 진실로 그 일들과, 그 일들에 관련한 문제들의 본질을 볼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우리, 인류가 지금까지 이루어 놓은 과학적 업적의 경이와 그 한계에 대해 이 책을 통해 조금이라도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서 매우 좋은 독서경험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과학을만든사람들, #존그리빈, #권루시아, #진선북스, #이북카페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러구트 꿈 백화점 2 - 단골손님을 찾습니다 달러구트 꿈 백화점
이미예 지음 / 팩토리나인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달러구트 꿈 백화점 2 (이미예 著, 팩토리나인)”을 읽었습니다.


잠을 자야지만 갈 수 있는 마을. 그곳에서는 많은 존재들이 꿈을 만들고 판매하고 있습니다. 그 곳에서 최고의 핫플레이스는 바로 달러구트 꿈 백화점. 이 마을에 오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달러구트씨가 엄선하여 판매하는 꿈을 좋아합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을 만족시킬 수는 없나 봅니다. 단골 손님이었다가 어느 순간 발길을 끊는 분들도 계시니까요. 달러구트씨는 이제 2년차에 접어든 페니을 민원관리국에 데려가는데….

결국 페니는 꿈과 관련한 민원을 해결해야 합니다. 페니는 당연히 민원을 해결하고 단골손님의 끊긴 발길을 다시 이어줄 수 있겠지요? 





전편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매우 흥미롭게 생각했지만 튀거나 반전이 없는 잔잔한 이야기에 너무나 동화스러운 분위기. 그리고 장르문학에 대해 유독 박한 평가를 내리거나 잘 받아들이지 않는 국내 독자들 등을 생각했을 때 대중적인 성공할 수는 없을 것이라 예상했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서 이루지 못하는 꿈을 ‘꿈’에서라도 이루고 싶어하는 작은 소망들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소한 이야기들과 함께 들려주었기에 많은 사람들이 이 책에 공감했고, 그래서 (제 예상과는 다르게) 대중적으로도 놀라운 성공을 거둘 수 있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전편 “달러구트 꿈 백화점”을 통해 기존 이야기와 전혀 다른 새로운 이야기를 들려줬던 이미예 작가는 또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 것인지 기대하고 읽었습니다. 

‘단골손님을 찾습니다’라는 부제를 가진 이번 “달러구트 꿈 백화점 2”은 소설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전작보다 훨씬 나은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또한 전편에서 구축한 세계관을 조금씩 넓히면서도 단단하게 다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읽는 내내 따뜻한 이야기에 미소를 지으며 이야기를 즐길 수도 있구요. 

하지만 전편에서 이미 맛본 동화적 분위기는 이제는 다소 식상합니다. 그리고 이야기의 공간적 범위는 비록 확장되었지만 전편과 비슷한 이야기 구조, 그리고 여전히 한 챕터 내에 해결되는 짧은 호흡 등은 마치 1편을 다시 읽는 듯 했습니다. 이야기의 형식, 구조, 규모 등에서 변화를 주어 새로운 느낌을 가미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작가가 구축한 이 흥미로운 세계관을 활용해 지속적으로 후속작이 나올 것 같은데 다음 작품을 기대해보겠습니다. 





#달러구트꿈백화점2, #이미예, #팩토리나인, #몽실서평단, #몽실북클럽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의 왕 : 잿병아리 나르만 연대기 3
히로시마 레이코 지음, 이소담 옮김 / 소미아이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의 왕 : 잿병아리 (히로시마 레이코 著, 이소담 譯, 소미아이, 원제 : 白の王)”를 읽었습니다.



가인 히로시마 레이코 (廣嶋 玲子, 1981~)는 일본의 아동문학가인데 ‘이상한 과자 가게 전천당’ 시리즈로 유명한 작가입니다. 그 외에도 ‘십 년 가게’, ‘트러블 여행사’, ‘신비한 고양이 마을’, ‘요괴의 아이를 돌봐드립니다’, ‘유령 고양이 후쿠코’, ‘혼령 장수’, ‘보건실의 마녀 선생님’, ‘비밀의 보석 가게 마석관’, ‘기묘한 모모 한약방’ 등 판타지를 베이스로 한 아동용 소설로 국내에도 많은 팬을 확보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아이샤는 탑을 오르내리며 의뢰를 받아 물건을 찾아주는 ‘잿병아리’ 소녀입니다. 자신 만의 탑을 가져 이제는 스스로의 힘으로 먹고 살아야 합니다. 

어느 날 아이샤는 커다란 초록색 돌을 찾아달라는 의뢰를 받습니다. 크기는 올빼미 눈 정도, 귀한 분께 부탁받은 소중한 물건이라고 합니다. 대가는 은화 열여섯 냥.


아이샤는 보석을 찾아내지만 아이샤의 가슴에 보석이 박혀버리고, 이로 인해 의뢰자, 타스란과 함께 눈물의 계곡으로 가야합니다. 그곳에서 보석을 뗄 방법을 찾을 수 있을까요? 




이번에 읽은 “백의 왕 : 잿병아리”는 막막한 사막, 유일한 오아시스에 자리 잡은 나르만 왕국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 나르만 연대기의 세번째로 “청의왕 : 탑의 소녀 (이소담 譯, 소미아이, 원제 : 青の王)”, “청의 왕 : 왕의 탄생 (이소담 譯, 소미아이, 원제 : 青の王)”의 후속편입니다. 


기존 히로시마 레이코의 작품은 대부분 우리 주변에서 일어날 법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판타지적 요소를 가미해 이야기를 흥미롭게 들려주는 스타일이었는데 반해, 이번 나르만 연대기는 아라비안 나이트 느낌을 주는 정통 판타지 작품입니다. 아동용 판타지라 해서 가질 수 있는 선입관이나 편견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나르만 연대기는 아이들도 읽을 수 있을 정도로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면서도 이야기 구조나 모험은 그런 선입관이나 편견을 부술 정도로 흥미로우면서도 몰입감이 대단합니다. 


원래 이 시리즈는 애초에 “청의 왕”에서 이야기를 완결하고 끝내면서 시리즈로 이어지지 않을 계획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청의 왕” 이후 너무나도 멋진 세계관에 사로잡힌 팬들의 열화와 같은 성화에 힘입어 “백의 왕”, “적의 왕” 시리즈로 이어졌다고 합니다. 그런 뒷 이야기를 듣고 보면 이 나루만에서 만들어진 세계는 독자들의 바람으로 만들어진 것이라 봐도 무방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이들도 히로시마 레이코가 만들어낸 나루만이라는 세상을 너무나도 좋아하는군요. “적의 왕” 이후에도 시리즈가 계속 이어졌으면 하는 바램이 있는데 작가가 워낙 많은 시리즈를 이어가고 있어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 생각이 드는군요. (하지만 살짝 기대해볼게요. 아직 “적의 왕”도 한국에서는 출간이 안되었는데 너무 이른 기대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백의왕, #잿병아리, #나르만연대기3, #히로미사레이코, #이소담, #소미아이,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