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오포이트리
좌용주 지음 / 이지북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까지 조연에 그쳤던 지구과학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빅히스토리를 다룬 많은 책들에서 간단하게만 언급하고 지나갔던 많은 과학적 사실들을 담고 있습니다. 지구과학과 빅히스토리에 관심이 많은 독자들에게 추천드리고 싶은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오포이트리
좌용주 지음 / 이지북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오 포이트리 (좌용주 著, 이지북)”을 읽었습니다. 이 책은 지구과학을 다룬 책입니다. 


태양계가 만들어지고 5000만년 정도 지난 시점,  태양으로부터 3번째 떨어진 행성, 원시 지구도 어느 정도 모양이 갖춰지고 있었습니다. 물론 뜨거운 마그마 덩어리에 불과하긴 했지만. 이때 비슷한 궤도를 돌고 있던 화성 크기의 행성 테이아가 원시 지구와 충돌하게 됩니다. 그 결과 지구의 마그마가 체적 팽창하여 주변으로 흩어지게 되고 그것들이 다시 뭉쳐 달이 됩니다. 

이것은 현재로서는 달과 지구의 탄생을 설명하는 가장 유력한 가설인 거대충돌설입니다. 지구는 최초로 태양계에 나타난 원시지구와 테이아라는 행성과의 충돌에 의해 탄생하였으며 달 역시 그 부산물이라는 의미입니다. 


최근까지도 지구 과학은 학문적 중요성에 비해 대중에게 큰 관심을 받지 못했습니다. 우리가 발을 디디고 사는 유일한 행성이 바로 지구임에도 불구하고 말이지요. 화려하고 경이로운 우주, 세상 모든 것을 설명하고 있는 것만 같은 물리학, 우리 생활 깊숙히 들어와 있는 화학, 주변에서 언제나 볼 수 있으면서도 호기심을 자아내는 생물학 등에 비해서 지구과학은 대중의 호기심과 관심을 받기에는 애매하였지요. 하지만 기후 위기가 점차 심화되면서 대중의 관심 영역에 지구과학이 포함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지구과학과 관련해 본격적으로 다룬 대중과학 서적은 여전히 부족하기만 합니다. 지구과학은 빅히스토리나 기후위기를 다룬 책에서 하나의 파트로 작게 다루어진 책들을 읽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지오 포이트리”의 가장 큰 특징은 그 동안 많은 과학 서적에서 조연이나 엑스트라로 취급하던 지구과학을 주연으로 삼고 있는 책이라는 것입니다. 지구가 처음 생성되는 시기부터 대기와 바다가 만들어지는 시기, 그리고 지각이 만들어지고 판구조 운동을 시작하던 시기까지 자세히 이야기해줍니다. 

특히 이 대목이 중요한 것은 바로 지구가 특별한 이유, 생명이 탄생하고 번성한 (지금까지) 유일한 행성이 될 수 있었던 조건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다음으로 다루어야 하는 이야기는 생명의 탄생, 그리고 생명과 지구가 상호작용을 통해 다시금 서로 진화하는 내용일 것입니다. 

그리고 지구 위에 두 발로 서서 문명을 일구어낸 인류가 등장합니다. 그리고 인류 문명의 눈 부신 발전은 기후 위기를 촉발시켜 많은 생명을 대멸종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구와 우주의 시간으로 보면 이러한 대멸종은 어쩌면 순환의 과정일지도 모릅니다. 언젠가는 판구조 운동도 멈추고 해양과 대기도 소멸해버릴 테니까요. 그리고 결국 지구도, 태양도 소멸할 운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이 책, “지오 포이트리”는 빅히스토리를 다룬 대중과학서적입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조연에 그쳤던 지구과학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빅히스토리를 다룬 많은 책들에서 간단하게만 언급하고 지나갔던 많은 과학적 사실들을 담고 있습니다. 지구과학과 빅히스토리에 관심이 많은 독자들에게 추천드리고 싶은 책입니다.  










#지오포이트리, #좌용주, #이지북, #리뷰어스클럽, #지구과학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록 - 미국을 지배하는 또 하나의 제국 건들건들 컬렉션
폴 배럿 지음, 오세영 옮김, 강준환 감수 / 레드리버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록 (폴 배럿 著, 오세영 譯, 강준환 監, 레드리버, 원제 : Glock : The Rise of America's Gun)”을 읽었습니다.   

 ​




이 책의 독특한 점은 총기 규제에 대한 특정한 의견, 즉 찬성과 반대에 대해 한 쪽에 치우쳐 서술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다만 글록이라는 총기 브랜드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그리고 어떻게 미국 시장에 받아들여졌는지에 대한 사실을 있는 그대로 다루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이라는 나라와 구성원들이 총기에 대한 의견과 문화, 그리고 그 이면까지를 다루면서 왠만한 스릴러 소설을 능가하는 섬뜩함을 독자에게 느끼게 하고 있습니다. 


 




글록은 성(性)을 매개로 유명인사들을 공략하면서 시장 내 인지도를 넓혀갑니다. 스트립쇼 극장인 골드 클럽에서 매주 목요일 진행한 ‘글록의 밤’ 에피소드에 이런 내용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코카인과 같은 마약, 성매매 등 불법적인 수단들이 활용되죠. 물론 글록의 책임자는 이러한 불법 행위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강조하기는 하지만 늘 이곳에서는 불법적인 수단들이 늘상 활용되었습니다. 

또한 글록은 그 총을 사용하는 사람이 누구인지는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비록 경찰 등 법 집행 기관에 납품하기는 해도 영화 등 대중매체에서는 총의 성능을 강조할 수 있다면 범죄자가 사용하는 장면도 허용합니다. 다른 총기 브랜드와는 다르게 말이지요. 실제로 ‘다이하드 2’에서 테러리스트들이 사용한 총기로 글록이 대중 문화에 처음 등장합니다. 미국 대중은 그 총이 누가 사용하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얼마나 힙(hip)한지 그리고 성능이 얼마나 좋은지가 중요한 것이었죠. 

이 책에서 더욱 섬뜩한 것은 바로 일반 시민들의 인터뷰 내용이었습니다. 그들은 총기를 소유함으로써 더욱 안전하다고 느낀다고 입을 모아 이야기합니다. 심지어 성경 구절, 혹은 신의 가르침으로 총기 소유 및 휴대를 정당화하고 신의 뜻을 따르는 것이라 이야기하는 대목은 정말 놀라웠습니다. 

 ​
 


이 책은 ‘글록’이라는 총기 브랜드를 이야기함으로써 그 이면에 숨은 미국의 총기 문화에 대해 정면으로 다루고 있는 책입니다.독립부터 서부 개척 시대를 거치면서 자경단 문화가 발달한 미국이라는 나라에서 총기는 정말 복잡한 문제임이 틀림없습니다. 비슷한 문화와 의식구조를 가지지 못한 우리로서는 도저히 상상도 할 수 없는 문제일 것입니다. 하지만 그들이 총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받아들이고 있는지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 수 있는 계기가 된 독서 경험이었습니다.

#글록, #폴배럿, #오세영, #강준환, #레드리버, #북이십일, #건들건들,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술 피리 - 동화 속 범죄사건 추리 파일
찬호께이 지음, 문현선 옮김 / 검은숲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술 피리 (찬호께이 著, 문현선 譯, 검은숲, 원제 : 魔笛 : 童畵推理事件簿)”를 읽었습니다. 



작가는 미스터리/스릴러 장르를 좋아하는 분들은 잘 알고 계실, 바로 찬호께이 (陳浩基)입니다. 원샨(文善)과 더불어 중국어권 미스터리 / 스릴러 장르의 대가로 손꼽히는 작가입니다.

소년 잭 밀릿은 사람을 잡아 먹는다는 전설을 가진 거인을 죽인 혐의로 붙잡혔습니다. 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던 잭은 빚을 갚기 위해 소를 팔러 나갔다가 콩 다섯 알과 바꿔옵니다. 화난 어머니는 콩을 마당에 던져버렸는데 그 콩이 거대한 줄기가 되어 높이 자라난 것입니다. 잭은 그 콩줄기를 타고 올라가 거인의 금화를 가져와 빚을 갚았습니다. 그리고 황금알을 낳는 암탉, 스스로 연주하는 황금 하프 등 보물을 가져옵니다. 마침내 거인에게 들켜 쫓기다 콩줄기를 잘라낸 잭. 거인은 추락해 죽고 맙니다. 거인의 아내로부터 살인죄로 고발을 당하게 되는데….

쥐디트, 드 레 남작 부인은 상인이던 아버지가 화재로 인해 많은 재산을 잃고 다치게 되자 아버지의 빚을 청산하기 위해 드 레 남작과 결혼하였습니다. 어느 날 지하 깊은 곳에 감춰진 비밀의 방에서 시체 두 구를 발견합니다. 두 시체 모두 여자 옷을 입고 있었고, 머리카락도 쥐디트와 같은 옅은 금발이었습니다. 시체를 발견한 쥐디트는 그간 들었던 소문이 생각나면서 남편의 이상한 행동들도 납득이 갔습니다. ‘푸른 수염’은 변태적 살인마였던 것입니다. 이제 자신의 차례라 생각한 쥐디트는 탈출을 감행하게 되는데… 

최근 하멜른에는 쥐가 많이 늘어났습니다. 곡식을 훔쳐먹을 뿐만 아니라 어린애들까지 물어뜯어 주민들의 골치거리가 되었지요. 이때 특이한 쥐잡이꾼이 나타납니다. 광대옷을 입고 피리를 불어 주민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쥐잡이꾼은 대지주에게 제안을 하나 합니다. 자신이 쥐를 없애주겠으니 426두가트를 달라고. 부지런한 공예가의 5년 수입에 해당하는 엄청난 금액도 그렇지만 그렇게나 구체적인 금액이라니, 뭔가 이상합니다. 하지만 대지주와 쥐잡이꾼의 거래는 성사되었습니다. 그리고 쥐잡이꾼은 쥐를 모두 처리하였는데도 대지주는 약속했던 돈을 주지 않습니다. 화가 난 쥐잡이꾼은 마을 떠나게 되는데..


이 책, “마술 피리”는 동화 속의 사건들을 재구성하여 그 안에 숨은 범죄와 범인을 찾아내는 추리 소설입니다. 그리고 각 사건들은 다양한 이야기들을 품고 있으며 여러 측면에서 접근 가능합니다. 
사실 독자들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동화와 비슷하게 전개되지 않을 것이라는 사전 정보를 갖거나, 이를 추측하고 책을 읽습니다. 하지만 찬호께이의 전개는 이를 뛰어넘습니다.  또한 특히 16세기 말~17세기초를 배경으로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어 역사 소설의 일면도 가지고 있습니다. 중세 말의 풍경을 핍진하게 그려내고 있어 몰입감도 매우 좋습니다. 저자의 말을 통해 이 당시 풍경을 그려내기 위해 사전 조사도 매우 충실하게 했음을 알 수 있었고 납득이 충분히 되었습니다. 

찬호께이를 원래 좋아하던 독자라면 충분히 만족하고 즐길 수 있는 작품이 될 것이고, 그 동안 찬호께이를 접하지 못했던 독자라면 입문작으로도 손색없는 작품이 될 것 같습니다.


#마술피리, #찬호께이, #문현선, #검은숲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종의 허리 가우디의 뼈 - 탐정이 된 의사, 역사 속 천재들을 진찰하다
이지환 지음 / 부키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종의 허리, 가우디의 뼈 (이지환 著, 부키)”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이지환님은 현재 건국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전문의로 활동하고 있는 현직 의사입니다. 하지만 본업 외에도 문학이나 역사를 특히 좋아하고 현상 속에서 단서를 찾아내 그 이면에 숨은 이야기를 상상하는 일에 매우 큰 매력을 느끼고 있다고 하네요. 2020년 ‘조선왕조실록’에 실린 기사에서 세종의 증세를 이용해 세종이 강직성 척추염을 앓았다는 사실을 추측한 바 있습니다. 이 책은 그의 취미 (?)를 살려 역사적 인물들의 다양한 병증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풀어낸 대중 역사서이자 대중 의학서입니다. 


저자가 책에서 다루고 있는 역사적 인물들은 세종, 가우디, 도스토옙스키, 모차르트, 로트레크, 니체, 모네, 프리다, 퀴리, 말리 등 정치가, 소설가, 음악가, 수학자, 철학자, 화가, 음악가 등 그 범주가 매우 넓습니다. 하지만 공통점 역시 있는데 모두 병증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의학이라는 분야가 일반인들에게는 매우 어려운 학문임에는 틀림없습니다. 하지만 증상들을 관찰하고 병의 원인을 찾아내는 과정은 마치 한 편의 추리소설을 보는 듯한 재미를 주기도 합니다. 책에서도 언급한 명탐정, 셜록 홈즈를 탄생시킨 작가, 아서 코난 도일(Sir Arthur Conan Doyle , 1859~1930)의 전직이 바로 의사인 이유도 이에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몇 년 전 인기있었던 미드 ‘닥터 하우스 (House M.D.)’의 모델이 바로 셜록 홈즈였다는 것도 재미있는 연관성입니다.

이 책은 닥터 하우스가 드라마에서 보여줬듯 의사의 가장 중요한 일, 바로 진단의 과정을 보여주는 책입니다. 마치 추리소설의 탐정처럼 주어진 단서를 바탕으로 질병과 그 질병의 원인을 찾아가는 과정을 재미있는 이야기로 풀어주고 있습니다. 추리 소설이나 의학 서적을 좋아하는 독자 모두 흥미롭게 즐길 수 있는 책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세종의허리가우디의뼈, #이지환, #부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