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의 흑역사 - 세계 최고 지성인도 피해 갈 수 없는 삽질의 기록들 현대지성 테마 세계사
양젠예 지음, 강초아 옮김, 이정모 감수 / 현대지성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자의 흑역사 (양젠예 著, 강초아 譯, 이정모 監, 현대지성, 원제 : 科學大師的失誤)”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양젠예 (楊建鄴)는 중국의 원로 과학자로 과학사 전반을 살펴보기 위해 과학자들의 실패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 왔다고 합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물이 바로 이 책, “과학자의 흑역사’입니다. 중국 교육부 공인 독서 교육 추천도서로도 선정된 바 있는 “과학자의 흑역사”는 2020년 개정판으로 재출간되었는데 이번에 읽은 책은 이 판본을 바탕으로 번역한 책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왜 과학책을 읽는 지 곰곰히 생각해 봤습니다. 누군가와 이야기할 거리를 만들기 위해서일까요, 아니면 과학적 지식을 늘리기 위해서일까요? 물론 그런 이유도 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과학적 사고방식이나 리터러시를 늘리기 위해서일 것입니다. 하지만 자칫 잘못하면 지적 허영이나 오만함에 파묻힐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과학은 언제나 거인의 어깨 위에서 조금 더 먼 곳을 바라보는 방식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그 끝에 무엇이 있는지는 아무도 모르기에 언제나 더듬거리며 조금씩 앎의 범위를 넓혀 왔던 것이지요. 과학을 대하는 데 있어 겸손을 잃어버리면 누구나 오만과 광신에 빠질 수 있다는 사례들을 이 책을 통해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흔히들 과학은 진리의 학문이라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과학은 회의(懷疑)의 학문이자 가설의 학문입니다. 끊임 없이 회의(懷疑)하고 가설을 검증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는 학문인 것이지요. 그렇기에 과학은 믿는다(believe)라는 말보다는 신뢰한다(trust)는 말이 더 어울리지 않을까 합니다. 과학은 신앙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믿음의 함정에는 누구나 빠질 수 있습니다. 이 책에서 숱하게 다루고 있는 많은 위대한 과학자들 역시 그 함정을 피해갈 수 없었습니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책에서 언급한 찬드라세카르 (Subrahmanyan Chandrasekhar, 1910~1995)의 사례는 매우 의미심장합니다. 찬드라세카르는 찬드라세카르 한계라는 발견을 한 위대한 과학자 중 한 명입니다. 그는 자신의 발견에 대한 비난을 견디다 못해 자신의 주 연구분야를 떠나게 된 아픈 경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를 배웁니다. 바로 ‘겸손’이지요. 위대한 발견은 오만한 정신에서 비롯하지만 새로운 공헌을 위해서는 자연을 대하는 겸허한 태도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습니다. 그는 위대한 과학자 아인슈타인이 40대 이후 그 이전의 아인슈타인보다 위대하지 않고 과학에 공헌한 바가 적다는 사실을 지적하며 자연에 대한 오만함을 원인으로 들었습니다. 위대한 과학자는 자연을 바라보는 자신의 과학적 관점 덕분에 위대해졌고 이로 인해 그 관점만이 옳고 정확하다는 생각에 빠지면서 오만해진다고 찬드라세카르는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자연은, 그리고 진리는 언제나 그런 위대한 과학자를 뛰어넘는다고도 찬드라세카르는 이야기합니다.



#과학자의흑역사, #양젠예, #강초아, #이정모, #현대지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후 붕괴, 지옥문이 열린다 - 펜타곤의 인류 멸종 시나리오
마이클 클레어 지음, 고호관 옮김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군이라는 특수한 집단의 관점에서 바라본 기후위기라는 측면에서 매우 독특한 관점을 독자들에게 보여줍니다. 과학자나 환경 운동가가 바라본 기후위기와는 또다른 느낌을 주는데 바로 굉장히 실재적이며 현실적이라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후 붕괴, 지옥문이 열린다 - 펜타곤의 인류 멸종 시나리오
마이클 클레어 지음, 고호관 옮김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후 붕괴, 지옥문이 열린다 (마이클 클레어 著, 고호관 譯,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원제 : All Hell Breaking Loose)”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마이클 클레어 교수는 안보 전문가로 군축협회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한 바 있으며 외교 관계, 에너지 정책 등에 대한 전문가이자 작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21세기 국제자원 쟁탈전 (이춘근 譯, 한국해양전략연구소, 원제 : Rising Powers, Shrinking Planet)”라는 저서가 번역 소개된 바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합중국 대통령직에 취임한 지 얼마되지 않은 시점에 행정명령 13653호를 폐지합니다. 바로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한 미국의 대비’입니다. 이 행정명령에는 미국의 모든 연방 기관이 기후 위기가 각 기관의 업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확인하고 대비 태세, 그리고 회복력을 강화할 수 있는 조치들을 담은 행정명령이었습니다. 이 행정명령을 폐지한다는 것은 기후위기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를 담은 것이었죠. 하지만 미 국방부는 이에 따르지 않고 기후 위기에 대해 기존과 동일한 스탠스를 유지합니다. 물론 민간 통제를 받아야 하는 군의 입장으로서는 어쩔 수 없이 대외적인 활동에 있어 대통령의 명령을 따르고 있었지만 내부적으로는 기후 위기에 대한 대응을 게을리 하지는 않았습니다. 트럼프라는 반이성주의의 대표이자 정치인의 스탠스와는 관계없이 기후 위기는 직면한 리스크이자 실제로 벌어지고 있는 안보상 직접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는 실재였으니까요. 

 

 

 

 

이 책은 저자가 펜타곤 (미 국방부) 보고서, 미 연방 정부 문서와 기후 위기와 관련한 각종 전문가들과의 인터뷰 등을 통해 기후 위기가 미국의 외교 및 안보에 미치는 영향과 실제로 진행하고 있는 대비책을 분석한 책입니다.

 

기후 위기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그 동안 기후 위기에 대해 설왕설래하면서 그 진위 여부에 대한 판단을 보류했던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 기후 위기를 체감하면서 이제는 동의하는 쪽에 서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기후 위기에 대한 많은 책들이 나와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과학자 아니면 환경 운동가들이 자신들의 관점에서 기후 위기를 바라보고 이야기하였습니다. “기후 붕괴, 지옥문이 열린다”는 독특한 관점을 보여주고 있는데 바로 군의 관점에서 서술한 책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가 군사적 활동, 그리고 국가적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것이지요. 보통 군이나 국방부는 특성상 보수적인 판단과 의사결정을 할 수 밖에 없는 집단이지만 기후 변화에 대해서는 누구보다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기후 변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후 위기가 얼마나 우리에게 가까이에 와 있는지를 역설적으로 드러내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동안 인류 문명의 멸망이라는 소재는 SF에서 자주 활용해왔던 그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그 소재는 SF 소설이나 영화보다는 대중과학서적이나 사회과학서적에 자주 활용되곤 합니다. 바로 탄소 위기로 인해 촉발되는 기후 위기 때문인데요 그만큼 우리에게 가까이 다가온 아젠다라 봐도 무방하다 생각합니다.  이 책은 앞서 소개드린 바와 같이 군이라는 특수한 집단의 관점에서 바라본 기후위기라는 측면에서 매우 독특한 관점을 독자들에게 보여줍니다. 과학자나 환경 운동가가 바라본 기후위기와는 또다른 느낌을 주는데 바로 굉장히 실재적이며 현실적이라는 것입니다. 기후 위기에 대한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일독을 권해 드립니다.

 

 

 

#기후붕괴지옥문이열린다, #기후변화, #마이클클레어, #고호관,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 #리뷰어스클럽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적분의 힘 - 복잡한 세상을 푸는 단순하고 강력한 도구
스티븐 스트로가츠 지음, 이충호 옮김 / 해나무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적분의 힘 (스티븐 스트로가츠 著, 이충호 譯, 해나무, 원제 : Infinite Powers: How Calculus Reveals the Secrets of the Universe)”을  읽었습니다.


저자인 스티븐 스트로가츠 (Steven Strogatz)는 코넬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인 수학자로 특히 카오스와 복잡계 이론의 권위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저서는 “동시성의 과학, 싱크 (조현욱 譯, 김영사, 원제 : Sync: How Order Emerges From Chaos In the Universe, Nature, and Daily Life)”과 “x의 즐거움 (이충호 譯, 웅진지식하우스, 원제 : The Joy of x: A Guided Tour of Math, from One to Infinity) 등이 우리나라에 번역 소개된 바 있습니다. 이 중 “동시성의 과학, 싱크”는 십 수년 전에 정말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미분이 놀라운 것은 바로 특정인에 의해 발명된 도구라는 것입니다. 한 사람이 아닌 두 천재가 각각 독립적으로 발명했다는 점은 더욱 놀랍습니다. 그 주인공은 바로 뉴턴(Isaac Newton, 1643~1727)과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von Leibniz, 1646~1716)입니다. 두 천재가 발명한 미분은 수학과 과학의 물결을 완전히 바꾸어 버립니다. 

이 책, “미적분의 힘”은 미적분이라는 도구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그리고 실생활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알려줍니다. 또한 미적분이 발명된 이후 과학사 전반에 걸쳐 미적분이 어떻게 활용되고 발전하였는지 역시 알려줍니다. 




우주는 매우 수학적입니다. 특히 우주는 항상 미적분학적 언어로 쓰여진 법칙을 따르고 있습니다. 파인만은 한 소설가에게 이런 이야기를 했다고도 전해집니다. “미적분학을 배워두면 좋을 거요. 신이 사용하는 언어이니까.” 



인류는 미적분이라 불리우는 신의 언어를 통해 정보 혁명을 이루었으며 현대 문명의 대부분이 미적분의 도움을 받았다고 해도 과연이 아닐 것입니다. 미적분은 순간과 영원을 표현하는 인간의 유일한 언어라고도 불립니다. 인간은 순간을 감지하지 못하고 영원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인간이 가진 자연어로는 순간과 영원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인간은 미적분이라는 도구를 가짐으로써 기어코 순간과 영원을 문명 안으로 끌고 들어올 수 있었습니다.  



미적분은 훈련을 하지 않는 이상 어려울 수 밖에 없는 도구입니다. 하지만 비록 미적분 계산은 할 수 없다 하더라도 현대를 살아가는 문명인이자 교양인이라면 미적분이라는 도구가 어떻게 탄생되고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그리고 어디에 활용되는지에 대해서 알아 두면 좋을 것입니다.   







#미적분의힘, #스티븐스트로가츠, #이충호, #해나무,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시는 왜 사라졌는가 - 도시 멸망 탐사 르포르타주
애널리 뉴위츠 지음, 이재황 옮김 / 책과함께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시는 왜 사라졌는가 (애널리 뉴위츠 著, 이재황 譯, 책과함께, 원제 : Four Lost Cities : A Secret History of the Urban Age)”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차탈회윅, 폼페이, 앙코르, 카호키아 등 지금은 사라져 버린 4개의 도시에 대한 ‘멸망 탐사 르포르타쥬’입니다. 


저자인 애널리 뉴위츠 (Annalee Newitz, 1969~)는 저널리스트이자 편집자로 활동하고 있는 분입니다. 특히 SF 소설가로도 많은 활동을 보여주고 있는데 네뷸러상, 휴고상, 로커스상 등에 노미네이트 된 바 있으며 람다 문학상 및 시어도어 스터전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또한 SF의 의미, 그리고 실생활이나 과학, 사회에 미치는 영향들을 이야기하는 팟캐스트 ‘우리의 의견이 옳다’로 휴고상 최우수 팬캐스트상을 수상한 이력도 있습니다. 


우리는 대다수의 인류가 일상을 영위하고 있는 곳, 바로 도시가 영속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내가 가족과 함께 사랑을 나누고, 직업을 영위하고, 산책하고, 외식하는 이 공간이 짧은 시간 내에 사라질 수도 있다는 생각 자체를 떠올리지 못하지요. 아마도 수시로 이것을 떠올리는 사람이라면 아마도 강박증을 의심해봐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도시는 사라질 수 있습니다. 실제 역사에서도 많은 도시들이 사라져갔습니다. 어떤 도시는 외적의 침입을 받아 철저히 파괴되어 사라지기도 했고, 어떤 도시는 자연 재해로 인해 사라지기고 했습니다. 그리고 어떤 도시는 유지에 많은 자원이 들어갈 수 밖에 없는 설계로 인해 유지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되자 사라져 버렸습니다. 심지어 어떤 도시는 단지 잊혀져 버림으로써 사라져 버린 도시도 있습니다. 

이런 역사적 사례들은 우리가 발 디디고 살아가는 이 공간, 도시라는 공간이 언제든지 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저자는 우리의 조상들이 대지의 자유를 버리고 도시라는 좁은 공간에 스스로를 몰아넣고 살아가는 방식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궁금했다고 이야기합니다. 그 해답을 찾기 위해 지금은 사라져버린 도시의 흔적과 유적을 실제로 탐사하고 그곳에서 살았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찾아내려는 일련의 작업을 했고 그 결과물이 바로 이 책, “도시는 왜 사라졌는가”입니다. 

도시화율은 유사 이래 가장 높은 수준에 달한 지금, 인류 대부분은 도시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도시 집중 현상은 그 편리함 만큼이나 위험성도 큽니다. 저자는 지금 많은 도시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 역시 과거 번성했다 사라져버린 많은 도시들이 겪고 있는 문제와 비슷하다고 이야기합니다. 도시 집중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 지금 인류의 운명은 도시의 운명과 함께 매여 있으며 21세기 지금에 와서도 과거의 실패를 다시 겪을 수도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과거의 도시들은 실패로 끝났지만 우리의 운명은 아직은 결정되지 않았기에 과거 도시들의 실패를 통해 배워 우리가 영위하는 도시 생활이 실패로 끝나지 않았으면 한다고 저자는 소망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이 책을 통해 과거 도시가 멸망한 이야기를 읽는 이유도 바로 그런 이유일 것입니다. 





#도시는왜사라졌는가, #애널리뉴위츠, #이재황, #책과함께,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