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크래프트 : 좀비 섬의 생존자 마인크래프트 공식 스토리북
맥스 브룩스 지음, 윤여림 옮김 / 제제의숲 / 202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마인크래프트 : 좀비 섬의 생존자 (맥스 브룩스 著, 윤여림 譯, 제제의 숲, 원제 : Minecraft: The Mountain)”를 읽었습니다. 



저자는 맥스 브룩스 (Max Brooks, 1972~)입니다. 네, 바로 그 맥스 브룩스 맞습니다. “세계대전 Z (박산호 譯, 황금가지, 원제 : World War Z)”, “좀비 서바이벌 가이드 (장성주 譯, 황금가지, 원제 : The Zombie Survival Guide)”의 저자입니다.


이 책은 마인크래프트 개발사인 모장 (Mojang)이 기획하고 유수의 작가들이 참여한 마인크래프트 공식 스토리북  시리즈 중 한 권입니다. 그러고 보니 시리즈 첫 편도  “마인크래프트 : 좀비 섬의 비밀 (손영인 譯, 제제의숲, 원제 : Minecraft: The Island )”도 맥스 브룩스가 열었네요. 이 외에도 무르 래퍼티 (Mary Lafferty), 캐서린 M. 발렌티 (Catherynne M. Valente) 등의 이름도 보이는데 시리즈에 참여한 작가진들의 면면이 대단합니다.. 


모든 것이 블록으로 이루어진 이상한 세계, 마인크래프트. 2011년 처음 서비스를 시작한 마인크래프트는 특유의 높은 자유도로 인해 많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폭력성이 높지 않고 레고처럼 사용자가 마음껏 마인크래프트 세상에서 하고 싶은 것을 마음껏 할 수 있는 게임성으로 인해 특히 아이들에게 인기가 좋은 게임입니다. 출시된 지 10여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1억이 넘는 사용자가 즐기고 있습니다.


벗어나야 한다는 생각으로 ‘섬’을 떠난 ‘나’. 바다로 나가 전력을 다해 노를 저어보지만 바다 한 가운데에서 길을 잃을 뻔하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제 충분히 경험도 쌓이고 그동안 좀비가 득실 대는 바로 그 낯선 세계에서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하기도 했습니다. 충분한 식량, 도구 들을 차근차근 준비하였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바로 나침반과 ‘빈’ 지도. 이제 새로운 모험을 시작할 것입니다. 이 지도를 하나 하나 채워나가면서 


하지만 ‘나’는 이제 이 세상의 모든 것을 알게 되었다고 생각했지만 아직 진짜는 제대로 알지 못했다는 사실을 깨닫고 맙니다. 그리고 친구를 만납니다. ‘나’는 친구로부터 가이(Guy)라는 이름을 선물받고 친구에게는 서머(Summer)라는 이름을 선물해줍니다. 

이제 친구와 함께 진짜 모험을 다시 시작합니다.





아이들이 마인크래프트를 즐기다 보면 자신들만의 이야기를 만들어가고 그 이야기를 부모에게 들려주곤 하는데 꽤나 흥미로운 이야기들입니다. 아마도 마인크래프트 특유의 자유도, 그리고 스스로 이야기를 풀어나갈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의 특징 때문일 것입니다. 정해진 이야기를 따라가는 여타의 게임과는 다른 특징이지요.

 이 책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어린이 대상의 소설이지만 성인이 읽어도 재미있는 소설입니다. 또한 굳이 마인크래프트라는 게임을 알지 못해도 게임 판타지 장르의 일종으로 읽어도 무리가 없을 정도로 잘 쓰여져 있습니다. 물론 마인크래프트의 많은 요소들이 소설 속에 자연스레 녹아 있기 때문에 게임을 알면 더 재미있게 즐길 수가 있겠지요. 이 책을 읽는데 유일한 장애는 전작을 읽지 않은 터라 주인공이 ‘섬’에서 겪은 모험이 어떤 것인지 궁금해지는 것 뿐이었습니다. 반드시 전작을 읽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마인크래프트, #좀비섬의생존자, #좀비섬의비밀, #맥스브룩스, #윤여림, #제제의숲,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필로소피 랩 - 내 삶을 바꾸는 오늘의 철학 연구소
조니 톰슨 지음, 최다인 옮김 / 윌북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필로소피 랩 (조니 톰슨 著, 최다인 譯, 윌북, 원제 : Mini Philosophy: A Small Book of Big Ideas)”를 읽었습니다. 




왜 하늘에 별들이 존재하는지, 왜 배워야 하는지, 왜 살아야 하는지, 왜 우리는 윤리적이어야 하는지 등의 질문은 많은 학문들을 만들어 냈습니다. 그리고 그런 많은 학문들은 철학 (Philosophy)이 그 밑바탕을 이루고 있다고들 이야기합니다. 아마도 철학이라는 학문은 자연, 세계, 인간에 대한 질문과 그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자연, 세계, 인간에 대한 질문은 우리가 접하는 거의 모든 주제를 통괄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학은 학문적 가치에 비해 소홀히 평가 받기도 합니다. 그리고 철학에 관심이 있다고 하더라도 현대 철학의 경우 일반인들이 접하기에는 다소 난해한 부분이 많아 철학사 전반적인 흐름에서 지식으로만 접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렇지만 철학이라는 학문 자체가 ‘질문’에서 출발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은 이미 많은 철학자들이 고민한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지만 여전히 우리는 특정 고민을 해결할 열쇠를 어떤 질문이 가지고 있는지를 알 수 없습니다.


이 책, “필로소피 랩”은 철학 입문서이기도 하지만 실제 삶에서 철학이 어떤 효용을 건네 주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실용적인 접근을 시도한 책입니다.




즉 단순히 어떤 철학자가 어떤 이야기를 했고, 그 이야기는 어떤 철학적 사조에 해당한다는 식의 소개가 아니라 우리는 왜 도덕적으로, 윤리적으로 살아가야 하는지, 어떻게 사는 것이 윤리적인지에 대해 구체적인 철학적 질문과 연결시켜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입니다.

이는 굳이 윤리 뿐 아니라 존재, 예술, 사회적 관계, 종교, 문학, 언어, 과학, 심리학, 일상, 인식과 인지, 정치와 경제 등 우리를 둘러싸고 있고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대부분의 영역에 걸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직면한 많은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어떤 문제는 무엇이 문제인지 질문조차 떠올리지 못하는 경우도 많구요. 하지만 많은 문제는 질문을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해결되는 문제도 있습니다. 우리가 했던 많은 질문들은 과거 선현(先賢)들이 이미 비슷한 질문을 했던 질문들이며 그 답으로 가는 과정 역시 남겨놓은 것들이 많습니다. 동서고금 선현(先賢)들의 질문과 과정을 참고 삼아 우리 인생의 많은 문제에 지침으로 삼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 책을 그러한 지침을 삼을 수 있는 많은 철학적 질문을 설명하고 있어 도움이 많이 되는 책입니다. 



#필로소피랩, #조니톰슨, #최다인, #윌북,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침대에서 담배를 피우는 것은 위험하다
마리아나 엔리케스 지음, 엄지영 옮김 / 오렌지디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편적인 감정과 현상을 독특한 작품 세계에 녹여낸 마리아나 엔리케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침대에서 담배를 피우는 것은 위험하다
마리아나 엔리케스 지음, 엄지영 옮김 / 오렌지디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침대에서 담배를 피우는 것은 위험하다 (마리아나 엔리케스 著, 엄지영 譯, 오렌지디, 원제 : Los peligros de fumar en la cama)”를 읽었습니다.


독특한 제목의 이 소설은 마리아나 엔리케스 (Mariana Enriquez, 1973~)의 소설집입니다. 저자인 마리아나 엔리케스는 아르헨티나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이라고 합니다. 가정 폭력, 성폭력, 아동학대 등 사회 현실을 고딕풍의 은유에 녹여내는 독특한 작풍으로 알려진 저자는 첫 소설부터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에는 “우리가 불 속에서 읽어버린 것들 (엄지영 譯, 현대문학, 원제 :  Las cosas que perdimos en el fuego)를 통해 소개되기도 한 작가입니다. 

특히 이번에 읽은 “침대에서 담배를 피우는 것은 위험하다”은 2021년 부커 국제상 숏리스트 (최종후보)에 선정되기도 한 작품입니다. 부커상은 노벨문학상, 공쿠르상과 더불어 최고 권위를 인정받는 문학상으로 2016년 한강 작가가 “채식주의자 (창비)”로 수상한 바 있습니다. 


(스포일러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바랍니다.)


“침대에서 담배를 피우는 것은 위험하다”는 호러적이면서도 보르헤스(Jorge Francisco Isidoro Luis Borges, 1899~1986)를 연상하게 하는 마술적 느낌을 줍니다. 하지만 저자만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느낌을 날 것 그대로 느낄 수 있습니다. 첫 수록작인 ‘땅에서 파낸 앙헬리타 (El Desentierro de la Angelita)’부터 칵테일처럼 뒤섞여 있는 그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썩어 문드러지고 축축하면서 끈적거리는 살점을 그대로 묘사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쾌하거나 공포스럽다기 보다는 땅 속에서 오랜 시간 보낸 아기 천사의 세월이 느껴지기도 하고 자신이 묻힌 곳으로 돌아가고 싶어하는 마음이 그대로 전해지는 묘한 경험을 하게 됩니다. 아마도 현실을 묘사하듯이 건조한 어투로 적, 환상적 상황을 그려내고 있는 특유의 문체 때문인 것 같기도 합니다. 아니면 비록 비현실적 상황에 직면해 있음에도 발을 디디고 있는 현실을 놓치지 않는 섬세한 관찰력 때문일 수도 있겠습니다. 


표제작인 ‘침대에서 담배를 피우는 것은 위험하다’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8페이지 남짓한 짧은 이 작품은 해봤을 사소한 사실을 통해 노인 문제, 도시 속의 고독, 불안감 등을 흥미로운 방식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저는 이 작품을 읽으면서 현대인의 불안, 고독, 우울 등을 드러낸 작품이라 생각했습니다. 현실과 밀접하게 그리고 언제나 맞닿아 있지만 내가 미처 깨닫지 않으면 곁에 있음에도 보지도 느끼지도 못하는 감정들이 스쳐지나는 순간 같다고나 할까요. 보편적인 감정과 현상을 독특한 작품 세계에 녹여낸 마리아나 엔리케스의 다른 작품도 번역되기를 기다려보겠습니다. 



#침대에서담배를피우는것은위험하다, #마리아나엔리케스, #엄지영, #오렌지디, #리뷰어스클럽, #세계문학, #환상소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근본 없는 월드 클래스 안전가옥 쇼-트 9
류연웅 지음 / 안전가옥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본 없는 월드 클래스 (류연웅 著, 안전가옥)”를 읽었습니다. 안전가옥에서 출판하는 중편 시리즈인 ‘안전가옥 쇼-트’의 아홉번째 책입니다.


이 책의 저자인 류연웅님은 이번에 처음 만나는 작가인데 독특한 글쓰기를 하는 작가입니다. 


한채연, 혼란대학교 미디어학과에 재학중인 리포터 지망생입니다. 어렸을 적 방송 출연을 계기로 미디어 소녀라 불리우며 대중의 각광을 받았으나 ‘근본’이 없어 지금은 잊혀진 존재. 수업 조별 과제 중 김덕배를 인터뷰하고 다큐멘터리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런데 A 학점을 얻지 못하면 조원들에게 1억원씩 6억원을 물어내야 합니다. 절체절명의 상황. 근데 김덕배가 누구야?


김덕배, 2030년 월드컵 지역예선 한일전에서 결승골을 터뜨린 축구 선수. 평범한 고등학생(선수가 아니라 그냥 학생) 이었으나 댓글놀이의 희생양으로 대표팀에 차출된 ‘근본’ 없는 선수. 하지만 미디어와 인터넷 여론으로 인해 한국 축구의 희망으로 떠오르나 월드컵 본선 전패와 대규모 폭동의 원인을 제공하였으며 그로 인해 축구는 사회 5대악으로 지정되기도 합니다. 지금 어디에 있는지 아무도 모르는 존재.


근본 없는 리포터 지망생 한채연이 조별 과제의 일환으로 근본 없는 월드 클래스 김덕배를 인터뷰하기 위해 좌충 우돌하는 이야기를 다룬 이 책은 일단 제목부터 눈길을 확 사로잡습니다. 월드클래스인데 ‘근본’이 없다고? 보통 ‘근본 없다’는 표현은 욕설을 대신하기도 하는데 그런 의미인가, 아니면 문자 그대로의 의미인가 도대체 무슨 의미인지 책을 읽기 전에는 알기 어렵고 호기심도 생깁니다. 


종이책 그리고 문학이 가지고 있는 정형성을 도입부부터 부숴버립니다. (복선입니다. 기억하세요) 작중 인물끼리 다툼 도중에 한 인물은 ‘10쪽을 다시 보고 오’라고 조언을 하기도 합니다. 제 4의 벽을 부수는 것도 아무렇지 않게 나옵니다.

다소 경박해보이기는 하지만 이 정도는 기존 문학의 정형성을 파괴하려는 실험적 의도로 이해해줄 수 있습니다. 더욱 황당한 것은 이야기의 전개입니다. 도저히 종잡을 수 없는 이야기의 전개는 뒷 이야기에 대한 호기심을 더욱 강하게 만들어줍니다. 


자 여기까지 이야기드렸으면 이 책에 대한 판단을 어느 정도 하셨을 겁니다. 아마도 다소 부정적이지 않을까 싶은데요. 그 판단을 그대로 두고 뒤집으면 이 책에 대한 제 개인적인 평가입니다. 


저 경박하고, 막되먹고, ‘근본’없는 형식과 이야기가 묘하게 잘 어울려 이야기의 재미와 함께 묘한 애감(哀感)을 느끼게 합니다. 작가의 다른 작품이 있나 찾아봤는데 종이책으로 정식 출간된 책은 이 책이 처음인 듯 싶습니다. 다음 작품도 기대감과 함께 기다려 봐야 할 것 같아요.


덧붙이는 말 : (더보기) 눌러 본 사람 1인이요!



#근본없는월드클래스, #류연웅, #안전가옥, #몽실북클럽, #몽실서평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