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의 과학 - 발사 원리와 총신의 진화로 본 총의 구조와 메커니즘 해설 지적생활자를 위한 교과서 시리즈
가노 요시노리 지음, 신찬 옮김 / 보누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총의 과학 (가노 요시노리 著, 신찬 譯, 보누스, 원제 : 銃の科学 知られざるファイア・アームズの秘密)”를 읽었습니다. 




가노 요시노리 (かの よしのり)는 무기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일본 내에서 각종 군사도서를 출간한 경력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그의 저서 중 “미사일의 과학 (권재상 譯, 북스힐, 원제 : ミサイルの科學 : 現代戰に不可欠な誘導彈の秘密に迫る)”, “일발필중 저격의 과학 (이종우, 유삼현 공역, 북스힐, 원제 : 狙擊の科學 標的を正確に擊ち拔く技術に迫る)” 등이 소개되어 있으며 이번에 읽은 “총의 과학”은 우리나라에 소개되는 저자의 책 중 세번째 책입니다.


책의 구성은 총의 정의, 역사에 대해 설명한 다음 총에 있어 가장 중요한 탄약의 원리, 형태, 구조를 설명합니다. 그리고 4장부터 권총, 서브머신건, 라이플, 기관총, 산탄총 등 각종 총에 대한 설명을 들려줍니다. 그리고 총과 탄환에 대한 과학에서 탄도학이 빠질 수 없겠지요. 7장에서 바로 탄도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장에서는 총상 (銃床, stock)에 대한 이야기로 마무리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Stock을 총신 혹은 총몸이라는 표현을 쓰는데 아마도 일본식 표현을 그대로 직역하다 보니 총상으로 번역을 한 것 같습니다. 


고급스러운 총몸은 주문자의 체격에 맞게 목재로 가공하여야 한다고 저자는 소개하고 있습니다.총은 몸에 맞지 않을 경우 탄환이 보통 어긋나는 경우가 많아 군용 같은 제식총 역시 개인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제작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총몸의 형태는 원피스형과 투피스형으로 나누어지는데 하나의 블록 형태로 만든 것을 원피스 형이라고 하고 총몸의 길이에 따라 하프스톡(half stock)과 풀스톡(full stock)으로 나눌 수 있다고 합니다. 이중 하프스톡은 오늘날 스포츠용 총 대부분이 이 형태로 제작된다고 합니다. 왜냐 하면 풀 스톡의 경우 너무 길어서 뒤틀리기 쉽고 명중률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기관부를 사이에 두고 총몸을 앞 뒤로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투 피스형이라고 하는데 이때 앞부분을 포엔드 (forend), 뒷 부분을 숄더 스톡 (shoulder stock)이라고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보통 군용총은 이러한 형태가 아니라 그립을 독립적으로 달아 스리 피스 형태를 취한 것이 많다고 하네요, 


총은 칼과 창으로 대표되는 냉병기를 전쟁의 뒷자리로 몰아내 버리면서 전쟁의 양상을 획기적으로 바꾼 무기입니다. 이런 총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근대 이후의 전쟁의 양상에 대한 이해의 폭이 현저히 좁아질 수도 있습니다. 총의 작동 원리와 함께 총이 역사에 끼친 영향을 대해 이해하고 싶다면 이 책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총의과학, #가노요시노리, #신찬, #보누스,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와 함께한 시간 - 마지막 드래곤 에린의 모험 책 읽는 샤미 10
남세오 지음, 김찬호 그림 / 이지북 / 202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너와 함께한 시간 (남세오 著, 김찬호 畵, 이지북)”을 읽었습니다. ‘마지막 드래곤 에린의 모험’이라는 부제를 가지고 있는 이 책은 아동용 판타지 소설입니다.




저자인 남세오 작가는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KFE)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는 현직 과학자입니다. 그리고 이 분의 또다른 모습은 환상문화웹진 거울에서 활동하는 ‘노말시티’입니다. 다른 작가들과 함께 낸 단편선들이 많은데 최근 “중력의 노래를 들어라 (아작)”를 통해 단독 단편집을 출간하기도 했습니다. 

그의 작품들을 읽고 있으면 판타지, 미스터리 등 다양한 시도가 엿보입니다. 하지만 남세오 작가의 메인은 SF스러움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인간은 문명을 건설하고, 과학과 기술을 발전시켜 드래곤 만의 영역이었던 하늘까지 지배하려고 합니다. 드래곤은 생명의 수호자로서 지켜만 볼 뿐 이를 제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욕심은 끝없이 뻗어나가 핵전쟁의 가능성이 그 어느때 보다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쟁이 시작되면 드래곤 역시 생존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

전쟁에 개입을 해야 할까요?



이번에 읽은 “너와 함께한 시간”은 용과 검이 등장하는 판타지가 베이스이지만 공군, 핵무기 등 현대식 무기들도 등장합니다. 


용 vs 핵무기, 용 vs 전투기.


어울리지 않는 듯한 느낌이지만 그럼에도 납득이 되는 대결 구도가 이루어질 것 같다는 기대가 샘 솟고 흥미를 더해줍니다. 




하지만  이야기는 다소 무겁습니다. 이 책에서는 인간과 드래곤, 두 지능을 가진 종족의 갈등과 공존. 그리고 인간 왕국끼리의 전쟁, 드래곤 내부의 갈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대상 연령이 낮아 쉽게 읽히면서도 공존과 갈등에 대해 생각해 볼 거리를 던져주는 작품입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재미있어요. 좋은 작품입니다.


#마지막드래곤에린의모험, #나와함께한시간, #남세오 #이지북,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TL에 어서 오세요 그래비티 픽션 Gravity Fiction, GF 시리즈 19
클레이븐 지음 / 그래비티북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FTL에 어서 오세요 (클레이븐 著, 그래비티북스)”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클레이븐 작가는 오랜 시간 우리나라 SF 등 장르문학을 지켜온 웹진인 ‘거울’의 필진입니다. 대표작으로는 ‘마지막 러다이트’가 있고 이 작품은 “끝내 비명은 (김주영 外 共著, 아작)”에 수록작으로 실려 있습니다.


“FTL에 어서 오세요”는 클레이븐 작가가 낸 첫 장편소설인데 야심차게 장대한 시리즈로 구상한 것처럼 보입니다. 



미래에 탄생한 패스트푸드점인 FTL (Faster than Light)에는 아침부터 저녁까지 수준 높은 풀코스 요리를 맛보기 위해 혈안이 된 고객들의 대기열이 엄청납니다. 과장을 조금 보태면 항성 8개를 줄 세운 만큼이나 길지요. 새치기를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대체로 평화롭게 해결되기도 하지만 가끔은 국가 간의 전면전으로 번지고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대기열 때문에 겁먹지 않아도 되요. FTL에는 무한한 중첩공간이 있어 광속보다 빠르게 식사를 할 수 있답니다. 


‘31세기 미래에 온 것을 환영해요, 체린양’


FTL에는 비밀이 있는데 저렇게 손님 많으니 일손이 항상 부족하답니다. 과거에 살던 사람들이 죽기 직전, 납치해서 강제로 계약을 맺게 한 다음 일을 시키는거죠. 


자 이제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일단 설정이 흥미롭습니다. 무한한 중첩공간으로 무한한 손님을 받을 수 있는 식당, 그리고 시간여행 기술을 이용하여 과거에 죽기 직전의 사람을 납치, 그리고 강제노동.  


그리고 그 설정을 활용한 이야기가 매우 재미있습니다. 한 페이지마다 ‘빵빵’ 터지는 유쾌함까지 갖추고 있으니 읽는 속도도 매우 빠릅니다. 그런데 한참 웃다 보면 이 이야기는 31세기만의 이야기가 아닌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의 이야기라는 생각이 듭니다. 기업이나 조직의 논리에서 개인의 양심, 그리고 노동 인권에 대한 현실을 자각할 수 있는 독서가 되기도 합니다.




‘고작 양심 때문에요. 하지만 제가 손수 조합한 이 약물 한 방이면 (중략) 양심은 완전히 죽어버릴 거예요.’




#FTL에어서오세요, #클레이븐, #그래비티북스, #리뷰어스클럽, #SF, #과학소설, #SF과학소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은 더 좋은 날이 될 거예요 - 365 희망 일력
김재식 지음 / 토네이도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은 더 좋은 날이 될 거예요 (김재식 著, 토네이도)”를 선물받았습니다.  스프링철이 되어 있는 달력입니다.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매일 매일 한 장씩 넘기는 일력(日曆)이지요.


저자인 김재식 작가는 “사랑하게 해줘서, 고마워”, “좋은 사람에게만 좋은 사람이면 돼” 같은 에세이를 쓴 에세이스트입니다. 힘이 되는 글귀들을 모아 하루 하루 넘길 때마다 위로의 한마디를 건네는 “오늘은 더 좋은 날이 될 거예요”는 ‘365 희망 일력’이라는 부제에 걸맞는 일력이라 보입니다.


그러면 어떤 글귀들이 우리를 위로해주는 지 한 번 볼까요?


먼저 한해를 시작하는 1월 1일입니다. 


‘소망하는 모든 일이 이루어지는 기적을 바라기보다 행복하기를, 평온하기를. 가슴 따듯한 한 해가 되기를.’


첫 해, 시작하면서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희망하는 한 해가 되기를 바랍니다. 작년보다는 좀더 낫기를. 조금 더 많은 행복을 찾기를. 그렇게 새해 첫 날이 밝습니다. 하지만 작가는 ‘기적’이나 ‘행운’보다 ‘행복’과 ‘평온’을 우리에게 건네줍니다. 그래요, 기적보다는 일상의 행복이 더 소중한 법이니까요.


한 해를 마무리하는 12월 31일의 글귀는 어떨까요?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이 올 거라는 믿음이 있어 희망찬 새해를 기다린다.’


희망. 그래요. 사람은 누구나 희망을 가지고 삽니다. 그 희망이 없다면 힘든 삶을 이어갈 수 없을 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사람은 현재가 아닌 과거를 거름삼아 미래를 보고 살지요. 작가는 새해가 밝는 내일이 오늘보다 분명 나을 것이라 우리에게 이야기합니다. 


이렇게 하루 하루 작가가 들려주는 위로의 말을 들으면서 어제보다 나은 오늘을, 오늘보다 더 행복한 내일을 그렇게 위로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연도나 요일이 없어 언제나 곁에 두고 위로받을 수 있는 일력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오늘은더좋은날이될거예요, #김재식, #토네이도,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수학을 사랑한 이유 - 불가능한 꿈을 실현한 29명의 여성 수학자 이야기 내 멋대로 읽고 십대 6
전혜진 지음, 다드래기 그림, 이기정 감수 / 지상의책(갈매나무)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잊혀진 이름, 잊혀져서는 안되는 이름. SF 작가가 들려주는 수학자들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