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인 (양장) 소설Y
천선란 지음 / 창비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인 (천선란 著, 창비)”을 읽었습니다.


‘그곳은 원래 죽은 땅이었다.’


(스포일러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바랍니다.)


공장은 꽤 오랜 세월 운영되었지만 폐기물을 파묻었다 들켜 막대한 벌금을 물고 망해버렸습니다. 그리고 철거가 되었지만 풀 한포기 자라지 않는 땅이 되어버립니다. 누구도 그 땅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고 몰래 쓰레기를 버리고 가는 그런 땅이 되어 버렸지만 한 여자가 그 곳에 화원을 짓겠다고 나타납니다. 


매일같이 땅을 갈고 폐기물을 끄집어냅니다. 


아무도 믿지 않았지만 한 달 만에 땅을 다 파헤쳤고 두 달 뒤 파란 진주가 뿌려진 것처럼 빛나는 땅 위에 식물들이 자라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브로멜리아드 화원이 문을 엽니다.


고등학생 ‘나인’은 이상한 일을 겪고 있습니다. 몸에서 싹이 자라고 어떤 남자애의 환영이 보이는 그런 일 말입니다. 지모는 어떤 소리가 들려도 걱정하지 말라고 이야기합니다. 그저 때가 된 것 뿐이라며.

친구들은 아프냐며 물어보지만 아픈 것 같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다시 생각해보면 역시 미치는 중인 것 같습니다.

나인은 또 신경 쓰이는 게 있습니다. 바로 실종된 선배. 

왜 이렇게 신경 쓰이는 지는 모르지만… 


“무너진 다리 (그래비티북스)”로 강렬한 데뷔작을 선보였으며 “천 개의 파랑 (허블)”로 한국과학문학상 대상을 수상한 작가, 천선란. 천선란 작가는 최근 SF 문학에서 김초엽, 황모과 등과 더불어 가장 각광 받는 작가 중 하나입니다. 그녀가 식물의 목소리를 듣는 ‘평범한’ 여고생의 이야기를 들고 우리에게 돌아왔습니다. 


실종 사건에 얽힌 비밀, 그 비밀을 쫓는 고등학생들의 이야기는 많은 영어덜트 작품에서 다루고 있는 소재이지만 작가 특유의 상상력에서 비롯한 독특한 소재, 강한 질감이 느껴지는 문체 덕분에 뻔한 이야기가 아니게 됩니다. 그리고 작가가 이야기하고 싶은 것이 분명한 타인에 대한 관심과 그로 말미암은 연대감. 



‘어떻게 모르는 척해. 사람 한 명이 지구에서 멸종했는데’


천선란 작가의 작품에는 묵직한 바디감을 주는 커피와 같은 질감이 느껴집니다. 추운 겨울에 천천히 마시는 뜨거운 커피 한 잔 같은 작품이 되지 않을까 하여 추천드리고 싶은 작품입니다.


#나인, #천선란, #창비, #이북카페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별들이 흩어질 때 - 2021 월터 상 수상작 Wow 그래픽노블
빅토리아 제이미슨.오마르 모하메드 지음, 전하림 옮김 / 보물창고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별들이 흩어질 때 (빅토리아 제이미슨, 오마르 모하메드 共著, 전하림 譯, 보물창고, 원제 : When Stars Are Scattered )”를 읽었습니다.


‘처음 몇 해의 기억은 내게 남아 있지 않다.’


케냐의 난민 캠프에 살고 있는 오마르, 하산은 형제입니다. 하지만 아버지와 어머니는 없습니다. 소말리아 내전 때 농부였던 부모님과 헤어진 상태로 케냐의 난민 캠프에 들어왔기 때문입니다. 두 형제는 부모님과 헤어진 세월이 이제 더 길어져 버렸습니다. 배고프고, 할 것도 업고. 무엇이든 부족한 난민 캠프에서의 삶은 고달프기만 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힘든 것은 바로 미래가 없다는 것.  


그러던 오마르에게 배움의 기회가 찾아오고 실낱 같은 희망을 품게 됩니다. 



찾아오지 않는 부모에 대한 원망, 실낱 같은 희망이 무너져 버리는 고통. 그 모든 것을 겪기에는 오마르가 너무 어리기만 합니다. 하지만 난민 캠프에서는 어리다고 봐주기에는 어른들의 삶도 고달픕니다. 카트잎이나 씹어야 그나마 조금 잊을 수 있을까요?



우리는 “모가디슈 (류승완 監)”를 통해 1991년 소말리아 내전 당시 긴박한 상황을 보았고, “블랙 호크 다운 (리들리 스콧 監)”을 통해 그 내전의 치열함을 목격했습니다. 하지만 스쳐 지나가는 단역들일 뿐 소말리아 사람들의 삶에 대해서는 제대로 목도한 적이 없습니다. 

아무런 이해관계도, 정치적 입장도 없이 자신이 땅일 일구고 살던 곳에서 쫓겨나 목숨만 부지하겠다는 일념으로 피난을 떠난 난민들. 하지만 인접 국가도, 선진국도 그들을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그곳에서 두 소년은 살아갑니다. 

난민의 생생한 삶을 그 삶을 살아온 ‘오마르’ 모하메드의 이야기를 만화가 빅토리아 제이미슨이 그래픽 노블로 펼쳐냅니다. 가슴 절절한 이야기, 하지만 수 백만 분의 일일지언정 희망에 기대어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이 책을 통해 들을 수 있습니다. 


꼭 한 번 읽어보세요. 그리고 아이들과 이야기를 함께 나누어 보세요. 아이들의 눈은 어른과는 다르더군요. 그리고 책 말미의 덧붙이는 말을 꼭 읽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별들이흩어질때, #빅토리아제이미슨, #오마르모하메드, #전하림, #보물창고,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둠 : 재앙의 정치학 - 전 지구적 재앙은 인류에게 무엇을 남기는가 Philos 시리즈 8
니얼 퍼거슨 지음, 홍기빈 옮김 / 21세기북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둠, 재앙의 정치학 (니얼 퍼거슨 著, 홍기빈 譯, 21세기북스, 원제 : Doom: The Politics of Catastrophe)”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니얼 퍼거슨 (Niall Campbell Ferguson, 1964~)은 영국 출신의 역사학자이며 경제사학자입니다. 특히 그는 대중 대상 역사 서적 집필로 이름을 크게 얻었는데 우리나라에 번역 소개된 책들도 상당히 많습니다. 또한 그의 저서 중 상당수는 이미 TV 다큐멘터리로 제작되어 많은 방송국에서 방영했을 정도로 대중적 인기가 매우 높습니다. 

하지만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그는 학문적 엄밀함에 대해서도 상당한 비판을 받고 있으며 미국과 영국의 제국주의에 대해 그가 가진 긍정적인 견해에 대해서도 많은 비판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출판사에서 소개하는 것처럼 21세기 최고의 경제사학자라는 타이틀은 무리가 있지만 그의 글쓰기는 대중들에게 상당히 많이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매우 쉽게 다가가는 것은 사실입니다. 



니얼 퍼거슨은 많은 재난의 역사를 연구하면서 어떤 재난도 완전하게 외생적인 사건은 없다고 단언하고 있습니다. 물론 소행성 충돌 같은 사건은 예외일 수 있지만 마지막으로 벌어진 소행성 충돌은 지금으로부터 약 6600만 년 전에 벌어졌고 인류가 역사적으로 당한 재난의 대부분은 외생적 변수 외에 내재적 변수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인재 (人災)와 천재 (天災)를 구분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단언합니다. 


특히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대규모 감염병 사태의 경우는 더욱 그렇습니다. 바이러스나 세균은 그 자체로 존재할 뿐 이것이 감염병 사태를 일으키려면 사회적 네트워크가 허용해야 가능합니다. 결국 재난은 정치, 경제, 문화에 심대한 영향과 결과를 가져오지만 그것의 성격은 우리의 직관과도 다른 경우가 많다는 것이지요. 

재난을 예측 가능성으로 구분하면 회색 코뿔소 (grey rhino), 검은 백조 (black swan), 드래곤 킹 (dragon king)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역시 사회적 네트워크의 복잡성에 영향을 받는 것을 보면 더더욱 그렇다는 것이 저자의 주된 주장입니다. 


이 책, “둠, 재앙의 정치학”은 니얼 퍼거슨이 그동안 많은 저서에서 다룬 재앙, 재난이라는 소재를 ‘삶’, 정치 그리고 정책이라는 관점에서 다루고 있는 역사책입니다. 특히 그는 이 책을 통해 니얼 퍼거슨은 COVID-19에 의한 팬데믹 상황의 영향은 국내 정치보다는 지정학적 영역에 더 크게 작용할 것이라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중국 간에 벌어지고 있는 2차 냉전은 팬데믹 이전에 이미 시작되었지만 팬데믹 도중, 그리고 펜데믹이 종식된 이후 더 치열하게 벌어질 것임을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COVID-19에 의한 팬데믹 상황이 백신 접종에도 불구하고 나아지지 않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재난의 역사를 일람할 수 있는 이 책은 재난 이후의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을 판단하는데 필요한 시의성과 인사이트를 주는 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덧붙이는 말) 우리나라에 번역 소개된 니얼 퍼거슨의 저서들 (공저 제외)

둠, 재앙의 정치학 (홍기빈 譯, 21세기북스, 원제 : Doom: The Politics of Catastrophe)

시빌라이제이션 (구세희, 김정희 共譯, 21세기북스, 원제 : The Civilization: the West an the Rest)

금융의 지배 (김선영 譯, 민음사, 원제 : The Ascent of Money: A Financial History of the World)

광장과 타워 (홍기빈 譯, 21세기북스, 원제 : The Square and the Tower: Networks and Power, from the Freemasons to Facebook)

증오의 세기 (이현주 譯, 민음사, 원제 : The War of the World: Twentieth-Century Conflict and the Descent of the West)

로스차일드 (윤영애 譯, 21세기북스, 원제 : The House of Rothschild, 전 2권)

제국 (김종원 譯, 민음사, 원제 : Empire: How Britain Made the Modern World)

위대한 퇴보 (구세희 譯, 21세기북스, 원제 : The Great Degeneration)

하이 파이낸셔 (김지현, 정현선 共譯, 21세기북스, 원제 : High Financier: The Lives and Time of Siegmund Warburg)

콜로서스 (김일영, 강규형 共譯, 21세기북스, 원제 : Colossus: The Rise and Fall of the American Empire)

현금의 지배 (류후구 譯, 김영사, 원제 : The Cash Nexus : Money and Power in the Modern World, 1700~2000)





#둠재앙의정치학, #니얼퍼거슨, #홍기빈, #21세기북스, #책좋사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화로 배우는 의학의 역사 - 개정판 한빛비즈 교양툰 14
장 노엘 파비아니 지음, 필리프 베르코비치 그림, 김모 옮김, 조한나 감수 / 한빛비즈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로 배우는 의학의 역사 (장 노엘 파비아니 著, 필리프 베르코비치 畵, 김모 譯, 조한나 監, 한빛비즈, 원제 : L'incroyable histoire de la médecine)”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지난 2019년에 출간된 동명의 책의 개정판으로 기존판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이야기들을 추가한 판본입니다.


저자인 장 노엘 파비아니 (Jean-Noël Fabiani)는 프랑스 의사이자 교수로 학생들 앞에서 효과적인 강의를 하기 위해 의학사에 대한 일화를 들려주기 시작했다고 하는데 이런 강의가 바로 이 책에 나온 이야기들로 엮어졌다고 합니다.

그림을 그린 분은 필리프 베르코비치 (Philippe Bercovici)로 만화 잡지 편집자이자 만화가입니다. 


 

이 책은 많은 일화를 통해 의학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특히 인상 깊게 읽었던 부분은 바로 여성 의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주 오랜 기간 동안 의학에 여성을 위한 자리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고대 그리스의 아그노디케에게는 자신의 모든 것을 희생할 만큼 큰 열정이 있었습니다. 남장을 하고 의학을 배우고 다른 사람을 치료하는 데 목숨을 걸었으니까요. 아그노디케는 의사로서 명성이 높아지자 다른 의사들의 질투를 받게 되었습니다. 아그노디케가 여성임을 동료의사가 고발하였고 마침내 법정에까지 서게 됩니다. 벌거벗겨진 아그노디케는 처벌을 받을 위험에 처해져 있었으나 그녀로부터 치료를 받은 많은 사람들의 탄원에 힘입어 방면되었고 아테네에서는 여성의 의료를 금지하는 행위가 마침내 폐지되었습니다. 하지만 오랜 기간 동안 유럽에서 여성의 의학 전공은 허용되지 않았고 2000년이 지난 1875년에 마들렌 브레에 이르러서야 프랑스에서는 여성 의학박사가 탄생하였습니다. 또한 도로테아 부카, 트로룰타, 엘리자베스 블랙웰, 엘리자베스 가렛, 크룸프케와 에드워드, 수잔 노엘 등 의학에 여성이 진출할 수 있도록 길을 연 선구자들의 이야기가 이 책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김점동이라는 분은 1900년 의학박사 학위를 받아 최초의 한국계 여성 의학박사가 되었는데 아쉽게도 프랑스 분이 쓴 책이다 보니 이 사례는 안나오네요.)


히포크라테스라는 이름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지만 의외로 의학의 역사는 일반인들에게는 낯선 분야입니다. 또한 쉽게 접근하기도 어려운 분야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책은 의학사를 일화 중심으로 꾸며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여 들려줌으로써 지루하지 않으면서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접근성 측면에서 탁월합니다. 의학사에 궁금했던 독자에게 추천드리고 싶은 책입니다. 



#만화로배우는의학의역사, #장노엘파비아니, #필리프베르코비치, #김모, #조한나, #한빛비즈,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죽은 자가 말할 때 - 법의학이 밝혀낸 삶의 마지막 순간들
클라아스 부쉬만 지음, 박은결 옮김 / 웨일북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은 자가 말할 때 (클라아스 부쉬만 著, 박은결 譯, 웨일북, 원제 : Wenn die Toten sprechen: Spektakuläre Fälle aus der Rechtsmedizin )”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클라아스 부쉬만 (Claas Buschmann)은 베를린 샤리테 대학병원에서 법의학과장을 역임한 바 있는 독일 법의학자입니다.

법의학( forensic medicine)이란 법률상 문제가 되는 의학적 사항을 연구하는 의학의 세부 학문입니다. 법의학자는 이러한 법의학에 종사하는 직업을 의미하는데 보통 법학과 의학 양 분야에 해박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고 합니다.


지하철 터널 안에서 미라화된 사람의 발이 발견됩니다. 그 발이 어디에서 왔는지, 누구의 발인지 아무도 알지 못합니다. 저자는 직업적 호기심에 여러 기록들을 살핍니다. 몇 년 전 사건이 눈에 띕니다. 젊은 청년이 열차에 뛰어 들어 사망한 사건. 이 사건의 특이한 점은 사라진 왼쪽 발입니다. 이번에 발견된 미라화된 발은 왼쪽 발일까요? 그때 사라진 청년의 발이 맞을까요?


완전히 미라화 되어 왼발인지 오른발인지 알 수도, 청년의 것인지, 노인의 것인지 알 수도 없습니다. 결국 저자는 그 발에서 DAN 샘플을 채취해 그 청년의 샘플과 비교해보기로 합니다. 


과연 이 발은 그 청년의 잃어버린 왼발일까요?



이 책은 저자가 법의학자로서 자신의 경험을 엮은 것입니다. 그가 15년 동안 법의학자로 재직하면서 겪은 인상깊은 12가지의 사건을 책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삶과 죽음은 하나가 아니며 언제나 죽음에 직면하고 있는 삶을 살아갑니다. 하지만 보통은 살아가면서 죽음을 떠올리지 못하며 추상의 영역에 두려고 합니다. 저자는 늘상 죽음을 직면하는 직업적 특성 상 죽음이 추상적 영역에만 머물러 있지 않습니다. 또한 저자는 죽음이 ‘외롭거나 억울하지 않도록’ 죽은 자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말을 듣고자 노력하는 직업적 소명의식도 가지고 있습니다.


‘죽은 이들은 슬픔과 고통으로부터 자유롭다. 그에 비해 살아 있는 우리는 아직 죽음을 앞두고 있다. 그것은 오히려 잔혹한 일일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삶과 죽음의 사례를 접하면서 죽음이 추상적인 영역이 아님을, 억울한 죽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우리가 알지 못하는 영역에서 많은 노력이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법의학이라는 분야는 드라마나 영화를 통해 많이 접했지만 그렇게 접한 법의학은 법의학이 가진 많은 얼굴 중 극히 일부임을 알기도 했습니다.  





#죽은자가말할때, #클라아스부쉬만, #박은결, #웨일북,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