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의 예술
레이먼드 챈들러 지음, 정윤희 옮김 / 레인보우퍼블릭북스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레이몬드 챈들러 하드보일러 단편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용기의 땅 1부 5 : 영혼을 먹는 자들 용기의 땅 1부 5
에린 헌터 지음, 윤영 옮김 / 가람어린이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용기의 땅 5 : 영혼을 먹는 자들 (에린 헌터 著, 윤영 譯, 가람어린이, 원제 : Bravelands #5 :The Spirit-Eaters)”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아프리카 대초원을 배경으로 사자 피어리스, 개코원숭이 쏜, 코끼리 스카이 등 동물 영웅들의 모험을 다루고 있는 ‘용기의 땅’ 시리즈의 5번째 책으로 에린 헌터(Erin Hunter)의 동물 판타지물입니다. 저자인 에린 헌터는 ‘전사들(Warriors)’ 시리즈, ‘살아남은 자들(Survivors)’ 시리즈, “모험을 찾아 떠나는 자들(Seekers)’ 시리즈 등 동물이 주인공인 모험 판타지 시리즈를 주로 쓰는 작가 집단입니다. 빅토리아 홈즈(Victoria Holmes)라는 사람이 이 작가 집단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시리즈 전체와 5권의 스포일러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바랍니다.)


피어리스(Fearless). 사자 무리(Pride) 우두머리 갈란트의 새끼는 용기를 인정받아 아버지로부터 새로운 이름을 받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행복했던 날들도 떠돌이 타이탄으로 인해 산산히 부서져 버립니다. 겨우 도망쳐 개코원숭이 무리에 섞여 들게 되지만 아직 갈기털도 없는 어린 사자일 뿐. 자신의 무리를 만들고 복수에 성공할 수 있을까요? 타이탄은 자연의 법칙을 거스르며 용기의 땅을 위험에 처하게 하고 있습니다. 

드디어 자신의 무리를 만들고 우두머리가 되는데 성공한 피어리스. 타이탄에 대한 복수의 첫걸음을 시작합니다. 하지만 삐그덕 대는 무리. 존경을 받지 못하는 우두머리. 피어리스는 자신이 만든 무리에서 떠나기로 결심합니다. 그리고 사라진 타이탄을 찾아 나서는데… 

 


코끼리 스카이는 어머니의 뼈로부터 끔찍한 환영을 보게 되는데, 그것은 바로 미래를 내다 본 것이었습니다. 스카이는 위대한 영혼을 담을 위대한 부모를 찾아 고난의 수탐을 계속하다 드디어 위대한 아버지를 만납니다. 그 위대한 아버지는 바로…


개코원숭이 중 가장 낮은 계급인 깊은 뿌리에 속한 쏜 (Thorn)은 얼른 높은 잎 계급에 올라 베리와 함께 살아가는 밝은 미래를 꿈꾸고 있습니다. 스팅어는 불쌍한 코뿔소 스트롱하이드를 꼬드겨 위대한 어머니를 죽여버리고 위대한 아버지를 사칭했습니다.이 비밀을 알게 된 쏜. 계급 상승에 대한 욕구와 양심 사이에서 갈등하지만 결국 양심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위대한 아버지의 사칭자이자 모든 동물을 속이려 한 스팅어와 등을 지게 됩니다. 쏜은 그 폭군을 무너뜨리기 위해 자신의 목숨과 친구들을 모두 잃을 각오를 했고 결국은 성공시켰습니다. 그리고 찾아온 위대한 영혼. 한낱 개코원숭이에 불과한 자신에게 위대한 영혼이 깃들 리 없다고 믿는 쏜은  운명을 피해 도망치기만 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깨닫고 위대한 아버지가 됩니다. 그리고 쏜이 바라는 것은 평화로운 용기의 땅이기만을… 하지만 평화는 잠시 다시 용기의 땅에 어둠이 찾아옵니다. 


  

이 책에서 펼쳐지는 이야기는 분명 재미있습니다. 


하지만 시리즈를 거듭할수록 이야기는 점차 무거워지고 있습니다. 5권까지 이어지는 이야기들이 복잡하기도 하고 아이들이 받아들이기에 다소 무거웠지만 그래도 부모의 지도 하에 대상 연령의 독서가 무난한 수준입니다. 또한 독자의 연령이 중고등학생 혹은 성인이라면 무리 없이 받아들일 수 있고 소화 가능하다고 보입니다. 이제 1부의 마지막인 6권만 남아 있습니다. 어떤 이야기로  전체 이야기를 마무리할 것인지 정말 기대됩니다. 


 


 


#용기의땅5, #영혼을먹는자들, #에린헌터, #가람어린이, #윤영,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질서가 만든 질서 - 인류와 우주의 진화 코드
스튜어트 A. 카우프만 지음, 김희봉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 혁명이 이루어지던 시기, 세상의 모든 만사를 과학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던 적이 있습니다. 아무리 복잡한 것이라 하더라도 그 근원을 파고들어가다 보면 단순한 원리로 설명이 가능할 것이라는 것이지요. 또한 과거의 원인이 미래의 결과로 나타나며 과거와 현재의 관찰을 통해 미래를 알아낼 수 있다고 하는 결정론적 사고방식으로 세상을 설명하려는 시도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과학에 대해 조금 더 알아갈수록 환원주의적 사고방식이나 결정론적 사고방식은 어쩌면 틀린 것이 아닐까 하는 의문도 들었지요. 특히 양자역학의 발전은 이러한 결정론적 사고방식을 무너뜨린 ‘결정적’ 한 방이 되었습니다. 

환원주의적 사고 방식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일정한 양이 쌓이게 되면 질적 비약이 이루어진다는 양질전환 (量質轉換, quality conversion) 개념이나 하위 수준의 특징의 합이 상위 수준의 특징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환원불가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창발성 (創發性, emergent property)에 의해 제한받고 있습니다. 즉 물리학으로 우주의 모든 현상을 설명하려고 했던 과거와는 다르게, 우주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거시적인 관점에서 다른 학문 역시 함께 발전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스튜어트 A. 카우프만 (Stuart A. Kauffman, 1939~)은 생명을 원자로 설명해서는 안되다는 주장을 생명의 자기 조직화라는 개념으로 설명하며 생명의 기원에 대한 독특한 견해를 주장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 복잡계 이론생물학자입니다.  그는 이러한 자신의 독특한 견해와 세계관을 “혼돈의 가장자리 (국형태 譯, 사이언스북스, 원제 : At Home in the Universe: The Search for the Laws of Self-Organization and Complexity )”, “다시 만들어진 신 (김명남 譯, 사이언스북스, 원제 : Reinventing the Sacred: A New View of Science, Reason, and Religion)”을 통해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저자의 새로운 책이 출간되어 얼른 읽어보았습니다. 바로 “무질서가 만든 질서 (김희봉 譯, RHK, 원제 : A World Beyond Physics: The Emergence and Evolution of Life )”입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생명 현상은 물리학만으로는 설명하지 못한다고 지적합니다. 그리고 화합물 분자 혹은 원시 세포는 수억년이라는 시간 동안 ‘복잡성’ 그리고 ‘자기 조직화’ 등의 개념을 통해 끊임 없이 진화하려 하는데 이는 물리 법칙으로는 설명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선다는 것입니다. 즉, 생명은 스스로 생을 창발 (emergence)한다는 것이 저자의 핵심 주장입니다.  

 



저자의 주장은 일견 신성(엄밀히 이야기하자면 인격신)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저자는 생명은 스스로 생을 창조하고 진화하여 존재를 스스로 증명한다는 창발적 주장을 통해 현대 과학으로 아직까지 설명하지 못하는 생명의 기원이라던가 생명의 독특한 현상, 진화에 대한 저자의 과학적인 이론을 설명하는 것으로 물리학을 넘어선 (Beyond Physics) 과학의 영역에 대한 설명이라 이해하여야 할 것 같습니다.  

  

  

  

  

  

  

  

  

  

  

  

  

#무질서가만든질서, #스튜어트카우프만, #김희봉, #RHK,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래로부터의 탈출
고바야시 야스미 지음, 김은모 옮김 / 검은숲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래로부터의 탈출 (고바야시 야스미 著, 김은모 譯, 검은숲, 원제 : 未来からの脱出)”를 읽었습니다. 이 작품은 고바야시 야스미 (小林泰三, 1962~2020)이 생전에 발표한 마지막 작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저자인 고바야시 야스미는 SF, 미스터리, 호러 등 여러 장르에 걸쳐 작품 활동을 왕성하게 한 작가로 우리나라에는 “엘리스 죽이기(김은모 譯, 검은숲, 원제 : アリス殺し)”를 비롯한 미스터리 장르인 ‘죽이기’ 시리즈로 유명합니다.  

제가 이 작가를 처음 만난 게 “기억 파단자 (주자덕 譯, 아프로스미디어, 원제 : 記憶破断者)”였고,  두 번째 만난 작품이 “분리된 기억의 세계 (민경욱 譯, 하빌리스 원제 : 失われた過去と未來の犯罪)”였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세번째로 만난 작품이 이번에 읽은 “미래로부터의 탈출”입니다.  

제가 만난 고바야시 야스미 작가의 세 작품이 공교롭게도 모두 ‘기억’을 중요 소재로 다루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요양시설로 추정되는 곳에서 살아가는 노인 사부로. 몇 살인지 잘 모르겠지만 아마도 100세 정도? 텔레비전을 통해 녹화된 영상이나 멍하니 바라보던 무료한 생활. 몇 번이나 본 것 같지만 기억에 없습니다. 


  

‘기억에 남김으로써 인간은 변화’하는 법인데. 내 인생은 매번 도돌이표를 그리고 있지는 않을까? 새삼스럽게 분노가 치밀어 오릅니다.  

서랍에서 발견한 일기장. 기억은 희미하지만 자신이 일기를 쓰고 있었다는 인식은 남아 있습니다.  

그러다 드는 의문. 이곳은 어떤 곳일까? 그리고 일기장에서 발견한 암호.  

‘여기는 감옥이다.’ 

사부로는 탈출을 위해 믿을 수 있는 동료를 모으기 시작합니다. 

과연 사부로는 탈출에 성공할 수 있을까요? 

  

기억은 비록 불완전하지만 인간의 정체성을 정의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렇기에 기억은 문학이나 영화의 소재로 다양하게 활용되어 왔습니다. 특히 과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억을 SF적 소재로 활용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기억이라는 소재를 소설 속의 장치로 활용할 경우 정체성 혼란에 대한 묘사를 그럴 듯 하게 하거나 서술 트릭을 통해 독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소재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매력적이지만 철학적인 질문을 던지는데도 매우 유용합니다.  

또한 이 작품에는 중요한 질문 하나가 더 던져집니다. (이 질문은 스포일러의 가능성이 있어 어떤 질문인지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고바야시 야스미는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소재들을 적절히 활용하면서, 몰입감 있는 이야기 구조로 만들내는데 매우 탁월한 작가이기도 하였습니다. 이번에 읽은 “미래로부터의 탈출” 역시 장르적 재미를 종횡 무진 보여주는 작품으로 저자가 가진 작가로서의 역량이 십분 발휘된 작품으로 미스터리 팬도, SF 팬도 모두 만족시켜줍니다.  

  

  

  

  

  

#미래로부터의탈출, #고바야시야스미, #김은모, #검은숲,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민주주의가 안전한 세상 - 세계질서의 위기와 자유주의적 국제주의
G. 존 아이켄베리 지음, 홍지수 옮김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민주주의가 안전한 세상 (G. 존 아이켄베리 著, 홍지수 譯,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 원제 : A World Safe for Democracy: Liberal Internationalism and the Crises of Global Order )”을 읽었습니다. 

 

  

 

  

 

이번에 읽은 “민주주의가 안전한 세상”은 민주주의의 위기에서 민주주의를 지켜낼 방안을 ‘자유주의적 국제주의’라는 개념 하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저자인 G. 존 아이켄베리 (Gilford John Ikenberry, 1954~)는 미국의 정치학자이자 국제 관계학의 권위자로 학계 뿐 아니라 오바마 및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정책에 영향을 미친 학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자유주의적 국제주의의 이념은 이상향을 추구하자는 것이 아니며 폭정, 잔혹함, 불관용에서 민주주의를 생존시키는 것을 1차 목표로 삼는 실용주의적, 개혁지향적, 편의적 접근 방식이라 설명합니다.  사실 자유주의(liberalism)는 대중영합정치가나 권위주의적인 정치가 모두에게 비판받고 있는 사상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19세기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근대적 민주주의를 탄생시키고 발전시키는데 가장 큰 공헌을 한 사상임에 틀림이 없을 뿐더러 현실 정치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했던 것도 사실입니다.  

 

  

 

이러한 자유주의가 쇠퇴하였을 때 국제 정세와 민주주의가 어떻게 위기에 빠지게 되었는지를 이 책에서 저자는 이야기하면서 자유주의적 국제주의를 복원하여야 우리의 민주주의를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어떤 정치학자는 민주적 제도와 규범이 점차 침식되고 있으며 반민주 세력은 마치 도둑고양이처럼 몰래 민주주의를 전복시키고 있는데다 이러한 민주주의의 위기는 전 세계적인 현상이라 진단하였습니다.  이외에도 많은 전문가들은 최근 민주주의의 위기라는데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이러한 민주주의의 위기는 비단 신흥국가 뿐 아니라 전통적으로 민주주의적 규범이 공고한 국가에서도 일어나고 있어 더욱 큰 위기라고도 합니다. 그 원인은 신자유주의의 세계화에 의한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이 심화되면서 포퓰리즘, 반지성주의가 침투할 여지를 주었으며, 이로 인한 젠더, 인종, 종교, 계급, 경제적 갈등이 심화되었기 때문이라고들 이야기합니다.   

 

민주주의적 전통이 비교적 공고한 국가들의 경우 당장에 민주주의가 뒤집어지지는 않더라도 민주주의적 제도, 규범, 문화 기반은 점차 침식되어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지요.  

 

  


 

최근 많은 언론의 행태를 보면 이러한 민주주의적 문화 기반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 실감나는 요즘 이 책을 통해 민주주의의 위기를 실감하고 어떻게 우리의 민주주의를 지켜낼 수 있을지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는 독서 경험이 되었습니다. 

 

  

 

  

 

#민주주의가안전한세상, #G존아이켄베리, #홍지수,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 #리뷰어스클럽, #사회사상, #정치, #외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