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크의 정부론 - 권력의 기원을 찾다 ㅣ EBS 오늘 읽는 클래식
김성우 지음,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기획 / EBS BOOKS / 2021년 12월
평점 :
“로크의 정부론 : 권력의 기원을 찾다 (김성우 著, EBS북스)”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김성우 교수는 한국철학사상연구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한 바 있으며 현재는 상지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라고 합니다. 또한 대중에게 철학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기 위해 상당히 많은 저작 활동을 하기도 하였는데 이 책, “로크의 정부론” 역시 그 중 하나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책은 한국철학사상연구회에서 기획하여 EBS북스에서 펴낸 ‘EBS 오늘 읽는 클래식’ 시리즈 중 한 권입니다. 또한 이 책은 제목 그대로 로크 (John Locke, 1632~1704)가 사회 계약론에 기반하여 정부, 그리고 권력의 철학적 의미와 사상적 토대를 구축한 ‘정부론’과 로크에 대한 사상을 해설하고 있는 대중 철학서적입니다. 특히 로크의 이러한 사상은 프랑스 혁명과 미국 독립전쟁에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현대 민주주의 사상의 근간이 되는 자유주의 사상의 기원이 되기도 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습니다.
저자는 이러한 의미를 다시 되새기면서 현대를 철학적으로 볼 때 ‘로크의 시대’라 주장합니다. 특히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철학적 기반은 스미스(Adam Smith, 1723~1790)의 ‘국부론’, 밀(John Stuart Mill, 1806 ~1873)의 ‘자유론’과 더불어 로크의 ‘정부론; 위에 성립되어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이렇듯 현실의 원리와 논리를 탐색하는 로크나 스미스, 밀의 철학을 바로 실천철학이라고 하는데 저자가 가장 관심을 갖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물론 현대 사회에 와서는 이론적, 실천적 한계를 드러내기도 하고 있어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현대의 정치적 원칙들 대부분은 로크의 사상을 바탕으로 발전시킨 것이므로 여전히 로크의 ‘정부론’은 자유주의에 입각한 권력의 원칙과 철학적 사상의 원형이 되고 있다고도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이 책은 존 로크의 생애를 통해 자유주의적 철학자의 면모를 보여주면서 시작합니다. 그리고 2장에 이르러서 본격적으로 존 로크의 저작인 정부론에 대한 해설을 들려줍니다. 특히 로크의 사상 중 이성이 곧 자연법이며,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평등하고 독립적인 존재라는 개념은 근대 이전 계급을 비롯해 불평등하다고 믿어온 인간관(人間觀)을 바꾸어 놓은 중요한 개념이기도 합니다. 근대 이전 사회에서 인간은 개인이 아니라 가문 등 신분으로 존재했습니다. 즉, 신분에 의한 불평등이 당연하다고 생각되어졌지요. 하지만 로크는 인간은 평등하다고 믿었으며 또한 거기에서 한발 더 나아가 ‘독립’적 존재임을 드러냅니다. 즉, 사회라는 것은 개인을 엮어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사회를 이루는 구성요소이자 최소 단위이라는 것입니다. 결국 이러한 개념은 사회계약론의 출발점이 됩니다. 독립적이며 평등한 개인들이 사회를 이루기 위해 약속이 필요하고 그 약속은 바로 사회계약의 형태를 띄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로크의 사상 중 현대 민주주의 정치 체계에 크게 영향을 준 것 중 또 하나는 바로 ‘권력 분립’이라는 개념입니다. 우리는 3권 분립이 명확한 정치 체계에 익숙하지만 과거에는 군주제에 의해 권력이 집중되어 있는 정치 체계가 대부분이었습니다. 물론 3권 분립은 몽테스키외 (Montesquieu, 1689~1755)에 의해 정립되었지만 그 기반이 된 사상이 바로 로크의 ‘권력 분립’ 개념입니다.

우리는 민주주의 국가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권력을 정의하는 핵심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개념들은 당시 권위주의적 정치 체계 하에서 많은 철학자나 사상가들이 고민을 통해 만들어낸 개념입니다. 이러한 개념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원형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로크의 정부론”은 저자의 해설을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은 독서 경험이 되었습니다.
#로크의정부론, #권력의기원을찾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김성우, #인문교양, #철학, #EBS북스, #리뷰어스클럽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