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은 어떻게 행동이 되는가 - 목표를 세우고 성취하는 인지조절의 뇌과학
데이비드 바드르 지음, 김한영 옮김 / 해나무 / 2022년 2월
평점 :
“생각은 어떻게 행동이 되는가 (데이비드 바드르 著, 김한영 譯, 해나무, 원제 : ON TASK: How Our Brain Gets Things Done)”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데이비드 바드르 (David Badre)는 브라운대학교에 재직 중인 교수로 인지과학, 언어학, 심리학을 연구하는 분이라고 합니다. 특히 인간 인지 분야에 대한 연구로 명성이 높다고 하며, 뇌의 인지조절과 관련하여 선구적 연구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 사람이 있습니다. 스마트폰 알람을 새벽 5시에 맞추면서, 일찍 일어나 조깅을 하겠다는 야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음 날 새벽이 되면 그 알람 소리를 듣고 설 깬 상태에서 슬그머니 알람을 끕니다.
바로 이 사례에 이 책의 핵심이 담겨져 있습니다.
인간의 뇌는 (저자의 표현에 따르면) 경이롭기 그지 없는 정신 활동을 통해 목표 관리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고 합니다. 깨어 있는 동안에 목표가 떠올랐다 가라 않는 활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집니다. 그 목표는 사업, 주택 매입, 가족 계획 등부터 커피를 마신다거나 크림을 찾는 등 사소한 것까지 매우 광범위합니다. 하지만 그 목표를 끝까지 추구하지는 않습니다. 역시 정신 활동을 통해 끊임없이 목표를 재설정하거나 재평가합니다. 또한 예기치 않거나 원하지 않았던 다른 목표가 끼어들어도 큰 무리 없이 우리의 뇌는 이를 처리합니다.
이것은 뇌가 행하는 놀라운 성과이지만 우리의 뇌는 이것을 정말 잘합니다. 그래서 사람은 이것을 그저 일상으로 여깁니다. 하지만 이 놀라운 활동에는 약점이 있습니다. 뇌는 끊임없이 목표를 세우고, 추적하고, 평가하고, 수정하지만 이를 정확한 행동과 일치시키는데에는 정교하고 빼어난 신경 메커니즘이 필요합니다. 이를 인지조절 혹은 집행 기능 (Executive function)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에게는 이러한 인지조절을 통찰할 방법이 마땅히 없다는데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 사이에는 거대한 심연이 존재하는데 인지조절 과정 자체가 그 심연에 자리잡고 있을 뿐 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의 둘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다는거죠.
이러한 인지조절 능력에 손상을 입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여러 다양한 신경계 질환을 앓는 사람들이죠. 흔히 전전두 피질 (Prefrontal Cortex)에 손상을 입은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이러한 전전두피질이 우리의 최상위 정신 기능이라 할 수 있는 인지조절 능력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인간이 하나의 행동을 성공시키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이 얼마나 많은지를 생각해본 적은 없습니다. 단지 아는 것만 가지고는 행동으로 이어지지는 않죠. 단순하게 바나나를 먹는 것만 해도 엄청나게 많은 조건들이 포함됩니다. 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 사이의 간극에 대해 오랫동안 과학자들은 이해하지 못했고, 심지어 많은 과학자들은 아는 것 = 행동으로 가정하고 연구를 지속해왔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행동하기 위해서는 아는 것 뿐 아니라 행동을 제어할 구조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은 현대적 컴퓨터가 등장하고 난 다음이었다고 합니다. 컴퓨터의 제어 흐름을 통해 인간 역시 아는 것과 행동 사이에 간극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 것이죠.

이 책, “생각은 어떻게 행동이 되는가”는 신경과학 분야에서 최근 각광받는 인지조절 (Cognitive control) 이론의 성취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흥미로운 대중교양 과학 서적입니다. 최근 뇌과학이라 불리우는 신경 과학 관련 대중 과학 서적이 많이 출간되고 있는데 단순히 뇌과학이 아니라 인간의 행동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독서 경험을 할 수 있게 도와준 책이 되었습니다.
#생각은어떻게행동이되는가, #해나무, #데이비드바드르, #김한영, #신경과학, #인지조절이론, #이북카페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