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 이야기 1 : 독립의 여명 1763~1770 - 혁명은 경제에서 시작된다 미국인 이야기 1
로버트 미들코프 지음, 이종인 옮김 / 사회평론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국인 이야기 1 : 혁명은 경제에서 시작된다 (로버트 미들코프 著, 이종인 譯, 사회평론, 원제 : 

The Glorious Cause: The American Revolution, 1763-1789)”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지금까지 총 10권까지 출간된 옥스포드 미국사 시리즈 (The Oxford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Series) 중 첫번째 책으로 2017년 동 출판사에서 변역 출간된 “위대한 대의”을 3권으로 분권하여 개정한 시리즈입니다. (옥스포드 미국사 시리즈는 총 12권 프로젝트이나 두 권은 아직 미출간 상태이며 우리나라에는 아직 “미국인 이야기” 외 옥스퍼드 미국사 시리즈는 번역 소개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미국인 이야기”는 1763년부터 1789년까지 미국 독립 전쟁을 다루고 있습니다. 그 중 1권은 독립의 여명기라 볼 수 있는 1763년부터 1770년까지, 2권은 미국 독립 전쟁이 벌어지기 직전 시기인 1770년부터 1780년까지, 그리고 3권은 미국 독립 전쟁의 획기적인 전기(轉期)를 맞이하는 1780년부터 독립 전쟁이 종료되고 정부가 수립되는 1789년까지의 역사를 담고 있습니다. 이번에 읽은 “미국인 이야기” 1권은 바로 이 독립 전쟁이 벌어지기 직전에 어떤 역사가 있었는지를 자세히 알 수 있는 책입니다. 


‘견제 없는 권력은 모든 자유를 파괴한다’

 


모든 역사는 맥락이 있습니다. 특정 어느 시점을 잘라서 보면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들이 있지만 통사적으로 살펴 보면 앞선 시기에 벌어진 어떤 사건들이 그 특정 시점의 역사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 눈에 들어오곤 합니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시점은 1763년부터입니다. 바로 7년 전쟁(1756~1763)이 종료된 시점으로 영국 정부는 재정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식민지에 여러 세금 항목을 신설하였고, 아메리카 식민지인들은 이에 저항을 하기 시작합니다. 인지세법은 폐지되었지만 툰젠드 법에 의해 신설된 관세 위원회와 세금 징수관들은 아메리카인들의 반발을 불렀고, 각종 소요사태가 벌어집니다. 그리고 벌어진 살인 사건은 미국 독립 전쟁이 일어나는데 중요한 동력이 되기도 합니다 



인지세법에 이은 설탕법, 툰젠드 세입법 등 세금이슈로 인해 불거져 점점 고조되던 아메리카 식민지와 영국의 갈등은 이제 정치 체제 문제로 확대되면서 더욱 분명하게 둘 사이의 선을 분명하게 갈라놓게 되고 아메리카인들은 이 문제를 지속적으로 해결하려고 영국 정부에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영국 정부는 아메리카인들의 노력에 대해 다르게 대응함으로써 이제 아메리카인들가 항의하는 형태와 역학 관계가 변화하려고 합니다. 

이 책은 7년 전쟁이 마무리되는 시점부터 독립 전쟁의 도화선이 된 “보스턴 학살 사건 (Boston Massacre)”에 이르기까지 한 호흡에 달려갑니다. 이제 2권을 읽어야 할 것 같습니다.



덧붙이는 말 : 사람이 죽은 사건에 대해 뭐라 말하긴 그렇지만 ‘학살 (massacre)’이라 이름 붙이기에는 좀….

덧붙이는 말 : 자치기가 우리나라만의 놀이가 아니었군요. 책에서 흥분한 군중들이 몽둥이 뿐 아니라 아이들이 가지고 자치기 막대기까지 들고 나왔다는 구절이 있어 찾아 보니 Tip-cat이라는 놀이에 사용되는 막대기인 것 같더군요. 


#미국인이야기, #혁명은경제에서시작된다 #로버트미들코프, #이종인, #사회평론



ㅁ 본 서평은 부흥 카페 서평 이벤트 ( https://cafe.naver.com/booheong/212204 )에 응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매일 죽은 자의 이름을 묻는다 - 세계적인 법의인류학자가 들려주는 뼈에 새겨진 이야기
수 블랙 지음, 조진경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매일 죽은 자의 이름을 묻는다 (수 블랙 著, 조진경 譯, 세종서적, 원제 : Written in Bone: Hidden Stories in What We Leave Behind)”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수 블랙 (Sue Black)은 영국 출신으로 세계적인 법의학자이자 해부학자라고 합니다. 특히 저자는 남아시아 대지진으로 인해 인도양에서 발생한 쓰나미로 많은 피해자가 발생하였을 때 사망자의 신원 확인을 위해 태국에 파견되기도 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법의학 발전에 끼친 공로를 인정받아 대영 제국 데임 (Dame) 작위를 수여받기도 했습니다. 그의 저서는 우리나라에는 “남아 있는 모든 것 (김소정 譯, 밤의책, 원제 : All That Remains: A Renowned Forensic Scientist on Death, Mortality, and Solving Crimes)”을 통해 번역 소개된 바 있습니다. 


이번에 읽은 “나는 매일 죽은 자의 이름을 묻는다”는 저자가 하는 일에 대한 책입니다. 즉, 법의학자로서 죽은 자의 신원, 즉 이름을 찾아주는 일 말입니다.

2001년 11월, 젊은 연인이 여행을 하다 외진 시골길 옆에 버려진 은색 가방을 발견합니다. 아주 무거운 은색 가방에는 갈색 액체가 흘러나오고 있었습니다. 경찰에 신고했고 그 안에서 벌거벗겨진 젊은 여성 시신을 발견합니다. 

아시아계 여성인 것 같은데 도저히 알 방법이 없습니다. 수 블랙은 X레이 사진과 시신을 살펴본 후 동북아 계열임을 밝혀내었으며 지문을 통해 신원을 확인합니다.

바로 한국계 방문객인 진XX.

살해 동기를 포함한 사건의 진상은 이후 재판을 통해 밝혀집니다. 동일한 수법으로 살해된 또 한 명의 시신이 범인의 집에서 발견되었고 범인은 종신형을 선고 받습니다. 




책 서두에 흥미로운 이야기가 하나 나옵니다.


‘삶에 대한 기억은 뇌에만 쌓이는 것이 아니다.’


처음에는 이게 무슨 이야기인지 몰라 어리둥절했습니다.

저자는 법의학자로서 죽은 자의 이름을 찾아주는데 주로 활용하는 여러 실마리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특히 인간의 뼈는 200개가 넘는데, 다른 조직들이 다 썩어 흙으로 돌아가더라도 오랜 기간 동안 형태를 유지하면서 남아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뼈는 이미 죽어버린 기관이지만 우리가 살아 있는 한 뼈 역시 살아있다는 사실을 흔히 잊곤 합니다. 뼈도 상처가 나면 스스로 치료하기도 하고 영양분을 공급받고, 불순물을 제거하는 그런 기관입니다. 그러므로 이런 뼈에도 사람이 살아 있는 동안에 겪은 일들이 하나 하나 쌓이곤 한답니다. 식단, 골절, 운동습관 등등.


저자는 이런 인간의 조직들을 활용하여 찾아낸 실마리를 하나 하나 엮어 죽은 자의 이름을 찾아냅니다. 바로 그게 수 블랙이 하는 일이라고 합니다. 


법의학자로서 세계적인 명성을 가진 분이라 알고는 있었지만 글도 이렇게 흥미롭고도 재미있게 잘 쓰시는 분이라는 사실을 이번에 처음 알게되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 먼저 출간된 “남아 있는 모든 것” 역시 흥미롭게 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나는매일죽은자의이름을묻는다, #수블랙, #조진경, #세종서적, #컬처블룸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 삶이 불쾌한가 EBS 오늘 읽는 클래식
박은미 지음,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기획 / EBS BOOKS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박은미 著, 한국철학사상연구회 企, EBS Books)”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한국철학사상연구회가 기획하고 EBS Books가 펴내는 ‘오늘 읽는 클래식’ 시리즈 중 하나로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Arthur Schopenhauer, 1789~1860)의 저서인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Die Welt als Wille und Vorstellung)”에 대한 해설서입니다.

 이 해설서를 쓰신 저자는 박은미 소장으로 철학박사로서 건국대, 세종대에서 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는 철학을 일반 대중에게 알리는 활동을 많이 하고 있는 분이라고 합니다. 


서양 철학의 흐름에서 기독교적 신앙에 기반을 둔 종교적 사고방식 혹은 회의 없는 맹신 등에 대립되는 개념으로 이성론 혹은 합리론이라 불리우는 합리주의 철학사조가 대두된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을지도 모릅니다. 데카르트 (René Descartes, 1596~1650), 스피노자 (Baruch Spinoza, 1632~1677), 라이프니츠 (Gottfried Wilhelm von Leibniz, 1646~1716) 같은 사람들이 이 사조의 대표적인 인물들입니다. 

이후 합리주의 혹은 이성주의에 반대하는 철학적 흐름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생철학 혹은 반합리주의 철학이라 부릅니다. 쇼펜하우어는 이러한 반합리주의 철학의 대표적인 철학자 중 한 사람으로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는 기존 이성 중심주의 세계관과 결별을 선언하는 신호탄과도 같은 철학서라 볼 수 있다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특히 쇼펜하우어의 생철학은 이후 실존주의 철학에 영향을 크게 주었고, 현대 철학을 구성하는 많은 아이디어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저자는 밝히고 있습니다.


특히 현대 철학의 흐름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가 바로 세계 대전이라고 저자는 밝히고 있습니다. 철학자들이 신뢰해온 인간의 이성에 대한 믿음이 깨진 사건이며, 인간의 이성이 무력(武力) 앞에서 무력(無力)해진 것을 경험한 후 실존주의적 철학의 흐름이 나타나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 원류가 바로 쇼펜하우어의 생철학이라고 합니다. 

이 철학의 핵심 중 하나는 ‘인간의 이성을 신뢰할 수 없’고, 또한 인간은 이성이 아니라 의지에 따라 움직인다는 것입니다. 서양 철학자들은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이며, 그 이성을 통해 인간이 가진 많은 것들을 쌓아올렸다고 믿었지만 쇼펜하우어는 달랐습니다. 쇼펜하우어는 철학자들이 사람들이 살아가는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고, 경험하지 못했기에 그런 이야기를 한다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쇼펜하우어는 인간의 현실은 항상 이성의 설명력을 뛰어넘는다고도 이야기했습니다. 또한 쇼펜하우어는 그 이전 서양철학에서 열등한 것으로 보았던 신체, 즉 ‘몸’을 강조하고 이성을 두뇌의 작용일 뿐이라 생각했고, 인간의 행동은 이성적 결론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감정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보았으며, 자신이 원하는 결론을 미리 정해놓고, 그것을 합리화라는데 이성을 사용하는 존재라 보았습니다. 


그렇기에 쇼펜하우어에게 인간의 본질은 이성이 아니라 바로 의지인 것입니다. 





인간이 인지를 가지게 된 이후 세상 만사에 대한 호기심 역시 함께 가지게 되었을 것입니다. 철학은 이러한 인간의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한 학문입니다. 아주 거칠게 정의하자면 인간 스스로와 세상 만사에 대한 ‘왜’를 탐구하는 학문이 철학일 것입니다. 철학은 과학 이전 세상을 설명하는 도구였고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왜’는 사실 인간의 언어로 규명하기 참 어려운 것들일 것입니다. 하지만 인간의 사고를 구성하고 ‘왜’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언어라는 도구를 사용해야만 합니다. 그렇기에 철학은 어렵습니다. 또한 철학의 역사가 쌓여온 시간 만큼이나 철학자들이 사용하는 언어 역시 쌓여왔기에 그 흐름을 따라오지 않고서는 그 전체 맥락을 파악하는 것 역시 어렵죠. 

선현(先賢)들이 인생과 우주, 자연, 사회에 대한 ‘왜’를 설명하기에 부단히도 노력하였고, 우리는 그 생각을 조금 빌리면 되지만 형이상학이라는 것이 참 빌리는 것조차 어렵습니다. 그렇기에 철학 원전은 도전하기 어렵습니다. 그렇기에 철학 사조의 흐름을 전문적으로 배우고, 그것을 일반 대중의 언어로 풀어내는 훈련을 받은 분들의 해설서는 이런 선현들의 철학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쇼펜하우어의 사상은 이후 문학, 예술, 과학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현대철학의 단초를 제시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그동안 그의 사상에 대해 제대로 알 수 있는 기회가 드물었는데 박은미 박사의 해설을 통해 보다 쉽게 쇼펜하우어의 사상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독서가 될 수 있었습니다.



#쇼펜하우어, #의자와표상으로서의세계, #박은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전환의 시대, 새로운 대한민국이 온다 - 김준형의 외교혁명 제안
김준형 지음 / CRETA(크레타)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전환의 시대 : 새로운 대한민국이 온다 (김준형 著, 크레타)”를 읽었습니다.


1인당 GDP(PPP기준)로 일본을 추월(2018년)하고, GDP로는 세계 10위(2021년)에 올랐습니다. 또한 GFP에서 발표하는 군사력에 있어서도 6위라는 높은 순위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한국은 글로벌 공급망의 가치 사슬에서 매우 중요한 축을 가진 국가일 뿐 아니라 군사력까지 강한 하드파워 강국입니다. 그 뿐 아닙니다. K-POP, 드라마, 영화 등 소프트 파워에 있어서도 이제 대한민국은 변방이 아니라 세계 중심에 한 걸음 다가서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위상이 바뀌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대한민국을 둘러싼 국제 환경은 녹록치 않습니다. 세계 최강국의 대부분이 주변 국가이기도 하지만 미중 갈등의 소용돌이 한복판에서 대한민국은 선택을 강요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양극 체제가 무너지고 한 동안 일강 체제가 유지되었지만 이제는 파편화와 대결의 질서가 움트고 있습니다. 


우리의 선택은 어떤 것이어야 할까요? 저자인 김준형 교수는 이 책, “대전환의 시대”에서 대한민국이 가진 해법은 두 가지라 이야기합니다. 하나는 남과 북의 평화를 구축하는 것, 또 하나는 미중 전략경쟁의 프레임에서 벗어나 배타적 선택을 하지 않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우리와 유사한 입장과 능력을 가진 여러 나라들과의 연대를 통해 양 강국의 대결 구도를 완충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할 수 있겠어?’, ‘우리가 뭐라고.’ 등의 열등감에 사로잡힌 패배주의적인 발상도 나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럴 힘과 역량이 있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입니다. 다만 자국이기주의, 안보포퓰리즘, 일방 외교 등을 경계해야 한다고 저자는 또한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저자는 오로지 외교를 통한 평화만이 해법이라는 주장을 끝까지 강하게 이야기합니다.  


대한민국, 한 때는 전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였으나 발전을 거듭하여 아시아의 네 마리 용으로 불리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선진국에 진입하기도 하였습니다. 

네, 선언이거나 구호로서가 아니라 객관적인 수치나 국제적 위상을 보면 이제 대한민국이 선진국이라는 것은 명백한 사실입니다. 

하지만 7-80년대를 살아온 사람들에게 대한민국이 선진국이 되었다는 사실은 머리로는 이해가 되는데 가슴으로 느껴지지는 않습니다. 워낙 오랫동안 개발도상국이라는 라벨을 달고 있어서일까요?

그런데 이러한 괴리는 일종의 인식 지체 현상을 드러내게 하기도 합니다. 대한민국이 선진국이 되었기에 세계 시민들은 그에 걸맞는 문화적, 정치적, 외교적인 태도를 대한민국에 요구하기도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인식 지체로 인해 그런 태도와 발언에 대해 다소 낯설어 하기도 하고 겸연쩍어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괴리 혹은 인식 지체를 극복하기 위해 전환, 아니 ‘대전환’의 시대를 만들어내야 합니다.


“대전환의 시대”는 대한민국의 새로운 위상을 살펴보고 이에 걸맞는 국제관계를 정립해야 하는 지금 시점에서 살펴 봐야 할 아젠다들에 대해 전문가의 눈으로 살펴보고 있습니다. 사실 정치와 관련한 이슈를 따라가는 게 참 어렵기도 합니다. 그런데 그게 우리 일상에서 다소 거리가 떨어져 있는 국제 외교나 국제 정치에 이르면 더더욱 그렇습니다. 그렇기에 이슈를 좇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죠. 이 책, “대전환의 시대”는 국립외교원장을 역임한 국제 정치 및 외교 전문가가 바라본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에 대한 책이어서 그런 도움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책입니다. 

 


#대전환의시대, #새로운대한민국이온다, #김준형, #크레타,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T 용어 도감 277 - 보기만 해도 쏙쏙 이해되는, 취준생·신입사원·IT 문외한 필독서
구사노 도시히코 지음, 이지호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IT 용어 도감 277 (구사노 도시히코 著, 이지호 譯, 한스미디어, 원제 : 見るだけIT用語図鑑278 新入社員、ITに苦手意識を持っている人にも役立つ)”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구사노 도시히코 (草野俊彦)는 일본 출신의 IT 개발자이자 사업가이며,  국제기관에서 IT 기술 표준화에 공헌하기도 하였으며 미국 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에서는 표준화 소위원회 의장을 역임하기도 한 바 있습니다.  


  


이 책은 저자가 서두에서도 밝히고 있듯이 IT 용어의 경우 그 범위가 너무 넓기도 하지만 인터넷에는 정보가 너무 많아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가 어떤 것인지 구분할 수 없어 어려워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책입니다. 특히 사회 초년생이나 IT 문외한의 경우 어떤 정보를 어떻게 찾아야 하는지도 모르는 경우가 많기 떄문에 이 책을 통해 기본 개념을 접할 수 있게 구성했다 밝히고 있습니다.  


  


이 책은 기본 개념과 함께 해당 개념에서 이해해야 하는 주요 포인트와 관련 용어등을 함께 보여주고 있어 전체적인 맥락에서 이해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장황한 설명보다는 일러스트레이션과 함께 핵심 사항 위주로 설명하고 있어 처음 해당 용어를 접한 사람이 이해하기 쉽습니다. 또한 실제 필요할 때 찾아보기 좋게 책 말미에 IT 용어 조견표가 첨부되어 있어 실제 활용 가치를 높입니다.  


  


IT 기술이 발전하면서 우리 생활과 업무에 스며들기 시작한지 이제 시간이 많이 흘렀습니다. IT 기술 초창기에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거나, 프린터 설정 잡거나, 엑셀 등의 작업만 해도 컴맹 소리 안듣고 직장 생활을 잘 했습니다만 이제는 그 정도로는 어림도 없습니다. AI 개발을 하거나 빅데이터를 다루는 직업은 아니더라도, 최근 직장 생활을 위해서는 NAS나 클라우드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저장 및 활용하고 마케팅을 위해서는 소설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또한, 재택 근무를 위해서는 데스크톱 가상화를 통해 사내 시스템에 접근해야 합니다. 매출을 끌어올리기 위해서 전자상거래를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하는데 여기에는 SEO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UX와 UX 디자인에 대해 진지한 고민을 해야 합니다. 최근 스미싱 등 보안 이슈가 대두되면서 보안 관리 역시 신경써야 하지요.  


또한 최근 핫한 트렌드와 관련해서는 용어를 검색해보고 이해하기 위해 머리를 싸매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고민을 한 번에 해결해줄 수 있는 솔루션이 바로 이 책, “IT 용어 도감 277”입니다. 최근 많이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개념들을 소개하고 있으며, 이러한 개념들의 기원이 되는 인물, 기업 등 폭넓은 범위의 상식까지 갖출 수 있게 도와줍니다. 더구나 한 번 읽고 끝내는 독서가 아닌 두고 두고 찾아볼 수 있는 실용성까지 갖춘 책이다 보니 더욱 가치가 있습니다.  


  


  


#IT용어도감277, #한스미디어, #구사노도시히코, #이지호, #보기만해도쏙쏙이해되는, #취준생신입사원IT문외한필독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