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로소피 유니버스 - 29인 여성 철학자들이 세상에 던지는 물음
수키 핀 지음, 전혜란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필로소피 유니버스 (수키 핀 編, 전혜란 譯, RHK, 원제 : Women of Ideas: Interviews from Philosophy Bites)”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수키 핀 (Suki Finn)이 철학적 주제에 대해 여러 철학자들과 나눈 인터뷰를 엮은 대담집입니다. 


책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들은 ‘여자란 누구인가’, ‘남과 여의 본질’, ‘도덕’, ‘동물권’, ‘불평등’, ‘ 사회적 박탈감’, ‘다문화주의’, ‘자유주의’, ‘편견’, ‘혐오’, ‘취향 차이’, ‘언어와 맥락’, ‘전쟁’, ‘불교’, ‘철학과 대중의 삶’ 등으로 매우 다양하고 범위가 넓습니다. 그리고 그 주제 하나 하나가 세상을 살아가면서 한번이라도 의문을 떠올렸을 법한 주제들이기도 하구요.


그런데 인터뷰이(interviewee) 중 눈에 띄는 분이 있습니다. 바로 마사 C. 누스바움 (Martha C. Nussbaum)입니다. 우리나라에도 많은 책들이 소개되어 잘 알려져 있으며 저명한 법철학자이자 정치철학자입니다.  

마사 C. 누스바움은 고전, 교육, 정치까지 넘나드는 지적 여정을 잘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그녀가 천착하고 통찰하는 주제는 바로 사랑, 연민, 혐오 같은 감정인 것 같습니다. 이 책에서 그녀가 다룬 주제 역시 바로 혐오라는 감정입니다. 그녀는 “혐오와 수치심 (조계원 譯, 민음사, 원제 : Hiding from Humanity: Disgust, Shame, and the Law)”에서 혐오라는 감정을 위험한 사회적 감정이라 정의한 바 있습니다. 혐오라는 감정이 개인에 그치지 않고 다른 집단에 투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사회적 피해가 발생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혐오를 다른 집단에 투사하는 것은 인간의 무의식적인 행위의 발로로 자신의 동물성을 인식하는 것을 회피하고자 하는 방편 중 하나라는 것이 마사 C. 누스바움 주장의 핵심입니다. 다른 사람, 다른 사람들을 자신과 별개의 집단으로 만든 다음, 가까이 해서는 안될 집단으로 취급해버림으로써 자신은 안전해지는 것이지요. 


 


철학(哲學)은 무엇일까요? 삶과 거리가 먼 학문이라고 생각하지만 경영철학, 정치철학, 인생철학 등등 우리는 의외로 철학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곤 합니다. 철학(哲學, philosophy)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면 ‘인간과 세계에 대한 근본 원리와 삶의 본질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합니다. 근본 원리나 본질을 찾기 위해서는 왜 그러한가를 물어봐야 하는데, 이것을 보면 철학은 질문을 하며 그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 대한 학문이라 봐도 좋지 않을까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어느 순간에 질문하는 법을 잊어가고는 있지는 않은가 하는 두려움이 생겼습니다. 모든 것이 풍족하게 주어진 상태. 궁금한 것이 있으면 손바닥 위의 기계를 조작해 검색만 해보면 나오는 시대. 좀더 진지하고 깊은 질문이 의미가 없어진 시대. 


하지만 이런 때에야 말로 삶에 대한, 현상에 대한 질문 그리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인 철학이 더욱 중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인간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이 책이 더욱 흥미로운 점은 이 책에서 질문과 답을 이어가는 철학자들이 모두 여성들이라는 점입니다. 역시 여성인 편자(編者) 수키 핀은 런던대학교 로얄할러웨이에서 철학을 강의 중인 철학자로 이 책, “필로소피 유니버스”가 처음으로 쓴 대중서적이라고 합니다.


#필로소피유니버스, #수키핀, #전혜란, #RHK,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동산, 설계된 절망 - 국가는 어떻게 승자가 정해진 게임을 만들었는가?
리처드 로스스타인 지음, 김병순 옮김, 조귀동 해제 / 갈라파고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동산, 설계된 절망 (리차드 로스스타인 著, 김병순 譯, 조귀동 解, 갈라파고스, 원제 : The Color of Law: A Forgotten History of How Our Government Segregated America)”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리차드 로스스타인 (Richard Rothstein)은 현대사 연구자이자 정책 전문가로 주거와 교육 불평등에 오랜 기간 천착해온 분으로 이 책을 통해  미국의 차별 정책을 부동산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습니다. 일견 개인의 차별 혹은 편견이라 생각했던 흑백차별이 사실은 정책적이며 법적인 분리였음을 분명히 밝히고 있는 책입니다. 



법은 차별적이지 않으며 중립적이라 생각하지만 이는 흔한 착각에 불과합니다. 법은 결코 현실을 앞서 갈 수도 없고 현실을 이끌지도 않습니다. 그리고 만인에게 평등하지도 않습니다. 이 책의 원제가 ‘법의 색’인 이유가 바로 그것입니다. 미국내 인종 차별이 노예 해방 이후 수백년동안 이어질 수 있었던 것은 개인적 차원의 뿌리 깊은 차별의식이나 편견이 아니라 법적 분리였음을 이 책은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전향적인 판결을 통해 사회를 선도한다고 알려진 미국 사법부 역시 이러한 법적 분리에 있어 분명한 책임이 있음을 저자는 많은 사례를 통해 보여 줍니다. 

인간이 사람답게 살기 위한 기본적으로 충족되어야 할 것들 중에 의식주가 있습니다. 이 중 주(住)는 일상을 영위하며 재충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수단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부의 축적과 대물림의 수단으로 생각하는 많은 사람들로 인해 불평등의 원인이 되고 있기도 합니다. 특히 미국에서는 이러한 부동산에 의한 차별이 실제 뿌리 깊은 인종 차별의 수단이 되었고 적극적 우대조치( affirmative action)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끈질기게 남아 있음을 이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신자유주의를 받아들인 IMF 체제 이후부터 불평등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부동산 폭등으로 인해 주거에 의한 차별 역시 점차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이 앞으로 점차 가속화되면 흑백 차별을 포함한 각종 차별과 그로 인한 사회문제가 다른 나라의 현상이라 강건너 불구경 하듯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이 책을 통해 미국이라는 나라의 차별의 역사를 파악하는데 그치지 않고, 우리나라에 초점을 맞춰 현재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 대해 이 책의 시사점을 적용하여 다시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는 독서경험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부동산설계된절망, #적극적차별, #흑백분리, #인종차별, #리차드로스스타인, #김병순, #조귀동, #갈라파고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교 사상 - 10개의 강의로 도교 쉽게 이해하기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가미쓰카 요시코 지음, 장원철.이동철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교사상 (가미쓰카 요시코 著, 장원철, 이동철 共譯, AK, 원제 : 道敎思想10講)”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1938년부터 교양 서적으로 출간되고 있는 일본의 이와나미 (岩波) 신서 시리즈의 하나로 2020년에 출간한 도교 사상에 대한 10가지 강의를 다룬 교양 인문학 서적인 “道敎思想10講”을 번역한 책입니다.


저자인 가미쓰카 요시코 (神塚淑子)는 중국 사상사를 전공으로 하는 철학자로 일본 나고야대학 명예교수라고 합니다. 특히 도교 연구에 있어 권위를 인정받는 분이라는 평가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책에서는 도교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교의 사상적 측면에 중심을 두고 핵심적인 내용을 총 10강으로 구성하였습니다.

10강의 구성은 도교의 시작과 전개, 노자(老子)를 통해 살펴본 도교의 사상, 생명관과 우주관, 그리고 도교에서 말하는 신격(神格), 수양(修養), 윤리와 사회 사상, 불교와의 관계, 문학 및 예술, 일본 문화에 미친 영향 등으로 되어 있습니다. 



도교는 신격을 다룸에 있어 구제(救濟)가 매우 중요한 문제라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도교에서의 구제는 크게 두가지로 나뉘는데 이것이 다른 종교 사상과 다른 점이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나는 신격이 등장하여 구제하는 형태와 자력으로 이상적 형태를 추구하는 구제의 형태로 나뉘는데 중국에서는 두가지 흐름의 도교 교단이 모두 등장했다고 합니다. 특히 전자의 흐름에서 나타난 구제는 현실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는 현세적 성격을 가진 구제로, 이러한 사고방식은 정치 체제를 뒤엎어 민생을 살리려는 정치 운동의 흐름과도 맞닿아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노자는 비록 도교의 교조(敎祖)는 아니지만 일찍이 신격화되어 민중의 삶에서 구제를 내려주는 구세주의 이미지를 갖게 되었으며 지상의 종말과 혼란을 수습할 진군(眞君)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고 저자는 설명합니다.  이후 불교 사상을 수용하면서 이런 모습은 더욱 체계화되고 구체화되었다고 합니다.


도교 전통 중 신선(神仙)에 대한 동경은 바로 자력 구제의 형태에서 나타난 흐름으로 금단, 양생의 전통을 가지고 되었다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또한 불교 대승 사상을 도교가 수용하면서 자력 구제가 곧 모든 존재에 대한 구제로까지 확대되었는데 이는 ‘영보경’이라는 도교 경전에 잘 나타나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도교에 대해 알고 있는 사실들은 매우 단편적입니다. 무협소설을 좋아하는 분들은 무당파나 전진파 같은 문파가 생각나는 분들도 있을 것이고, 양생, 도사, 부적이나 점복 같은 것들을 떠올리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도교 사상은 특히 중국 전통에서 도교는 불교나 유고와 더불어 삼교(三敎) 중 하나로 간주될 정도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선도(仙道)에 큰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도교적 요소들이 동아시아 문화 깊은 곳까지 남아있지만 일반 대중들에게 도교는 그리 친숙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도교에 대해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었고 동아시아 문화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도 감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도교사상, #가미쓰카요시코, #장원철, #이동철, #AK, #이와나미시리즈,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파민네이션 - 쾌락 과잉 시대에서 균형 찾기
애나 렘키 지음, 김두완 옮김 / 흐름출판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파민네이션 (애나 램키 著, 김두완 譯, 흐름출판, 원제 : Dopamine Nation: Finding Balance in the Age of Indulgence)”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애나 렘키(Anna Lembke)는 스탠퍼드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중독의학 교수이자 스탠퍼드 중독치료센터 소장으로 재직 중인 분이라고 합니다. 특히 저자는 각종 중독 문제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만나면서 중독 현상과 관련한 정신 질환에서 뛰어난 연구 업적을 남겼고 미국 정부 및 의회에 중독 정책의 자문을 맡고 있다고 합니다.  

 

이 책은 과학적 지식이나 도파민이 쾌락 중추를 어떻게 자극하는지에 대한 과학적 지식이나 정보를 알려줄 뿐 아니라 저자의 풍부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도파민 분비를 자극하는 것들이 넘쳐나는 쾌락 과잉 시대의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어떻게 하면 중독 현상에서 벗어나 균형을 찾을 수 있을지에 대해 충고하는 책입니다. 


책의 첫머리에 등장하는 제이콥이라는 환자의 사례부터 충격적입니다. 성 중독에 빠진 그는 자신의 전문 기술을 활용해 자위 기계까지 만들어냅니다. 하지만 주변인들에게는 자신의 중독을 알리지 못하는 이중 생활을 계속합니다. 쾌락을 경험하지만 그에 비례한 죄책감과 고통이 뒤따라오는 삶을 수십 년 간 이어오다 저자에게 상담을 요청한 것입니다. 


저자는 쾌락과 고통이 한 묶음이라 이야기합니다. 뇌가 가진 보상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파민은 노출 빈도가 높아질수록 경험의 중독성이 커지게 됩니다. 하지만 뇌는 그 쾌락을 담당하는 곳과 같은 곳에서 고통도 함께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쾌락과 고통은 저울의 양 끝에 달린 추와 같이 작용한다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영원히 지속될 것으로 염원하는 쾌락의 순간은 뇌의 균형이 점차 고통 쪽으로 기울게 되면서 더 큰 쾌락을 찾게 된다는 것이죠. 




얼마 전 유사한 주제를 다룬 “중독에 빠진 뇌과학자 (주디스 그리셀 著, 이한나 譯, 심심, 원제 : Never Enough: The Neuroscience and Experience of Addiction)”를 읽으면서 현대의 중독 현상, 특히 약물 중독의 심각함에 대한 이해를 높였는데, 이 책은 그 범위를 보다 확장시켜 약물 뿐 아니라 넷플릭스, 소셜 미디어, IT 기기 등 중독 현상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와줍니다. 

특히 저자가 자신을 찾아온 한 환자의 IT 기기 의존 현상에 대한 충고가 인상깊었습니다. 깨어 있는 동안 내내 IT 기기를 통해 인스타그램, 유튜브, 팟캐스트 등 기기 의존적 삶을 살아가는 환자는 우울감,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었다고 합니다. 저자는 걷는 동안만이라도 아무것도 듣지 말고 생각이 자연스레 떠오르게 하는 시간을 가지라는 충고를 합니다. 그게 자신과 친해지는 방법이라고. 지루하지만 지루함은 발견과 발명의 기회이기도 하다는 말과 함께.



#도파민네이션, #애나렘키, #김두완, #흐름출판, #컬처블룸, #쾌락과잉시대에서균형찾기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정을 할인가에 판매합니다 - 신진 작가 9인의 SF 단편 앤솔러지 네오픽션 ON시리즈 1
신조하 외 지음 / 네오픽션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감정을 할인가에 판매합니다 (신조하, 유이립, 임하곤, 최희라, 이세형, 클레이븐, 강윤정, 이성탄, 안리준 共著, 네오픽션)”을 읽었습니다.


이 책, “감정을 할인가에 판매합니다”는 ‘휴머니티(humanity)’라는 주제로 9명의 신진급 작가들이 창작한 작품을 모은 SF 엔솔로지입니다. 신진급이라고 묶어서 표현했지만 클레이븐 작가, 유이립 작가, 이성탄 작가 같은 낯익은 이름도 눈에 띕니다. 



지금 우리 옆에 다가온 폭발적인 SF 소설 붐은 오랜 SF팬인 저에게 행복한 나날을 선사하고 있습니다. (사실 당황스럽기 만한 작품들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만) 이 장르신에서 항상 익숙했던 기존 작가 외에도 신진 작가들도 눈에 띄게 늘어나서 신선한 독서 경험도 많이 할 수 있게 되구요. 

사실 SF라고 통칭하긴 하지만 그 장르의 폭은 매우 넓기 때문에 SF 장르가 발전하고 성숙하기 위해서 작가군의 절대 숫자 증가와 함께 다루는 범위의 확대가 필요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 신진 작가의 증가 뿐 아니라 서브 장르의 확대 역시 반길 만한 현상이라 생각합니다. 


SF의 덕목을 경이감이라고 이야기한 작가도 있습니다만, 개인적으로 SF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 중 하나라 생각하는 것은 현실에서 떨어져서 오히려 현실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해주는 것 아닐까 생각합니다. SF라는 장르를 해석하면 미래나 과학에 대한 소설이 아니라 바로 현재에 대한 이야기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라 보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엔솔로지 작품집인 “감정을 할인가에 판매합니다”에 모인 작가들의 글이 바로 그런,  SF라는 본령에 충실한 작품이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작품집에 수록된 작품들은 작품별로 다소 편차는 있지만 전체적인 수준이 높습니다. 또한 소재가 특별하거나 독특하지는 않지만 다루고 있는 주제의식은 현재 혹은 근미래에 반드시 다루어야 할 쟁점이 될 수 있는 주제들입니다. 

 

 


#감정을할인가에판매합니다, , #신조하, #유이립, #임하곤, #최희라, #이세형, #클레이븐, #강윤정, #이성탄, #안리준, #네오픽션, #이북카페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