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고기를 위한 변론 - 지속가능한 지구생태계와 윤리적 육식에 관하여
니콜렛 한 니먼 지음, 이재경 옮김 / 갈매나무 / 2022년 4월
평점 :
육류 섭취를 하지 않는 채식주의자들도 있기는 하지만 일반적인 경우 사람이 살아가면서 육류 섭취를 피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육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같은 칼로리를 갖는 곡물 2~10배가 필요하다고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매우 떨어지는 식량 자원이기도 합니다. 더구나 육류를 생산하는 가축을 키우고, 가축의 먹이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생태발자국은 지속적으로 쌓이게 됩니다. 불행히도 육류 생산은 기후 위기에 있어 악영향을 끼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다가올 기근에 있어서도 효율적인 식량 자원은 아니라는 이야기입니다.
그 뿐 아닙니다. 육류 생산을 위해서는 반드시 도축이라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과정은 생명에 대한 살해의 다른 말입니다. 우리가 먹고 살기 위해 눈 감고 있는 부분이기는 하지만 비윤리적이라는 일부 주장은 딱히 틀린 표현은 아닌 것 같습니다.
기후위기 시대를 맞이하여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구축하면서 인간의 육류 생산과 소비에 있어 윤리성을 촉구하는 책이 출간되어 읽어보았습니다.
“소고기를 위한 변론 (니콜렛 한 니먼 著, 이재경 譯, 갈매나무, 원제 : Defending Beef: The Case for Sustainable Meat Production )”가 바로 그 책입니다.

저자는 니콜렛 한 니먼 (Nicolette Hahn Niman)인데 미국의 환경운동가로 공장식 사육보다는 윤리적 사육방법을 통해 지속가능한 가축 사육을 위한 캠페인으로 알려져 있는 분이라고 합니다. 특히 저자는 스스로가 채식주의자이지만 육류 소비에 대해 긍정적이며 자연의 이치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생각하며 육류 소비를 전면적으로 부정하거나 금지하자는 주장을 하는 분은 아니라고 합니다. 단지 환경오염 유발이 심각하고 동물권에 취약한 기존의 공장식 사육에 대해 반대하고 있을 뿐이라는군요.
이 책을 통해 환경보호론자들에 의해 지구 생태계의 파괴자이며 기아 문제의 주범으로 꼽히는 목우 산업에 대한 변론과 대안을 읽다 보면 앞서 이야기한 저자의 관점과 주장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많은 환경론자들이 이야기하듯 소고기로 대표되는 육류소비가 가져오는 각종 폐해, 예를 들어 고혈압, 뇌졸증, 심장병, 비만과 같은 식이 관련 만성질환 발병률 등은 허구라고 저자는 일갈합니다. 미국의 환경 조건이나 식이 관련 만성질환 발병률이 악화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소고기’와는 관계가 없다는 것입니다.
일단 100년전이나 지금이나 지구상 존재하는 가축의 수는 변함이 없고, 미국인들의 칼로리 섭취 중에서 육류나 동물성 지방이 차지하는 비중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오히려 식이 관련 만성질환 발병률의 증가는 과거에 비해 소비가 증가한 곡물, 설탕, 식물성 지방에 그 원인이 있다는 것이지요. 또한 미국인들의 육류 섭취 역시 소고기를 비롯한 적색육 위주의 소비에서 가금류나 생선으로 확장되었다는 농업 데이터를 근거로 삼아 주장합니다.
저자는 오히려 이런 허구적 서사보다 환경 문제에서 중요하면서 집중해야 하는 문제는 바로 생태발자국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을 개선하는 것이라 이야기합니다. 특히 지금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기후위기의 상당 부분은 현행 농업이나 축산업으로 인해 야기되고 있는 측면이 강합니다. 생산량 증대라는 목표 때문에 축산업, 농업의 필수 기반인 토양 생태계를 파괴하고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방식으로 농업을 영위하였고, 증대된 농업 생산량은 식량 과소비를 불러왔으며 지구 반대편에서는 기근에 시달리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저자는 지구 환경 악화를 되돌리고, 기근 문제를 해결하면서 지속가능하며 윤리적인 농업과 축산업을 위해서는 지금의 방식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촉구하고 있습니다. 문제의 핵심은 소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방법’에 있다는 것이 저자가 이 책을 통해 독자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소고기를위한변론, #니콜렛한니먼, #이재경, #갈매나무, #리뷰어스클럽, #환경, #기후위기, #사회, #농업, #축산업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