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죽음
호세 코르데이로.데이비드 우드 지음, 박영숙 옮김 / 교보문고(단행본)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은 선사 시대 인류에게는 어쩌면 이해하지 못하는 영역의 개념이 아니었을까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인류는 그렇게나 많은 죽음과 관련한 의식들을 만들어냈을지도 모르지요. 언제 어디서 죽음이 닥칠지 모르는 환경에서 인류는 죽음을 극복하려는 꿈을 꾸었을 것입니다. 비록 자신이 아니더라도 어디선가는 신의 모습으로, 어디선가는 영웅의 모습으로 그러한 꿈을 투영했을지도 모르지요. 심지어 천하를 통일한 진시황마저 불로초를 찾기 위해 서복을 동쪽 바다 건너까지 보냈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이니 불로불사는 인류의 원초적 열망 같은 것이 아닐까 합니다. 

생명과학이 고도로 발달하면서 최근 많은 투자 자금이 몰리는 과학 연구 분야도 바로 노화 연구에 대한 분야라고도 하지요. 덕분에 노화와 죽음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최신 과학 뉴스가 빠르게 업데이트 되고 있습니다.


“죽음의 죽음 (호세 코르데이로, 데이비드 우드 共著, 박영숙 譯, 교보문고, 원제 : La muerte de la muerte: La posibilidad científica de la inmortalidad física y su defensa moral)”은 바로 이러한 노화와 생명체의 사멸에 관련한 과학 연구의 최신 트렌드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한 대중과학서적입니다. 


항노화나 노화 역전, 그리고 죽음의 극복에 대한 이야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노화와 그에에 영향을 미치는 근본적인 메커니즘과 요인을 포함하여 노화 과정에 대한 개요에 대한 이해가 필수로 수반되어야 합니다. 이 책을 이런 이해를 위한 설명에 충분한 분량을 할애하여 일반 독자를 노화 연구의 세계로 이끕니다. 

또한 재생 의학의 발전, 재생 의학이 어떻게 인간의 수명을 잠재적으로 연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소개를 충실히 전개합니다. 이 책에 따르면 노화를 멈추고 새로운 젊음을 찾기 위해 다양한 동물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마이클 로즈 박사는 노랑초파리의 기대수명을 4배나 연장하기도 하고, 로버트 레이스 박사는 예쁜꼬마선충의 수명을 10배까지 연장하기도 했지요. 

학계에서만 이런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아니 노화 연구, 혹은 노화 역전에 대한 연구에 대한 투자규모는 기업이 대학을 앞지른 지 오래입니다. 페이팔의 창업자 중 하나인 피터 틸,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 구글의 세르게이 브린과 레리 페이지, 메타의 마크 주커버그 등 이제 이름만 들어도 누구나 알 법한 이 사람들이 앞다투어 투자하는 분야가 되었지요. 이제 많은 전문가들은 항노화와 노화 역전 기술의 개발은 가능성의 영역을 넘어서 시점의 영역으로 들어섰다 평가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 책에서 흥미로운 점은 항노화, 노화 역전과 관련한 연구들을 소개하는데 그치지 않습니다. 인류의 기대수명을 늘려온 (어쩌면 매우 단순하지만 효과적인) 방법들을 소개하기도 하고, 노화 역전 프로젝트가 성공하고 대중들에게 광범위하게 적용될 때 벌어질 수 있는 사회적, 정책적 수단들을 고민하게 하기도 합니다. 또한 노화 역전이 가져올 철학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해서도 독자들로 하여금 한번 더 생각할 수 있는 화두를 던져주기도 합니다.



#죽음의죽음 #호세코르데이로 #데이비드우드 #박영숙 #교보문고 #컬처블룸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물학의 쓸모 - 인류의 과거, 현재, 미래를 읽는 21세기 시스템의 언어 쓸모 시리즈 3
김응빈 지음 / 더퀘스트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물학의 쓸모 (김응빈 著, 더퀘스트)”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김응빈 교수는 연세대에 재직 중인 생물학자인데, 특히 미생물 관련 연구를 주로 하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자신의 연구를 대중들에게 알리는 일도 소홀히 하지 않는데 그 성과는 “나는 미생물과 산다 (을유문화사)”, “온통 미생물 세상입니다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술, 질병, 전쟁 : 미생물이 만든 역사 (교보문고)” 등과 같은 대중과학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 읽은 책은 그동안 미생물 중심의 저서에서 살짝 궤를 달리하는 책입니다. 생물학, 생명과학이라는 큰 틀은 같지만 그동안 미생물이 인간 그리고 인류 역사에 미친 영향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에 대한 책들이었지만, 이번에는 생명과학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그에 그치는 게 아니라 인간은 생명시스템이라는 네트워크의 일원으로서 그 안에 살아가는 존재일 뿐 아니라 매우 많은 상호작용을 하는 존재임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모든 생물은 자연환경에 흔히 존재하는 평범한 원소 30여 가지로 이루어졌을 뿐입니다. 하지만 이것들이 결합하고 시스템을 이루는 과정에서 느닷없이 생명이라는 현상이 나타났고, 그 현상은 오랜 진화의 시간을 거쳐 ‘특별한’ 존재가 되었습니다. 즉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물의 구성 요소를 이루는 원소는 특별한 것이 아니지만 생명이라는 현상이 창발되고 특별한 존재가 된 것이지요. 생명 시스템의 더욱 특별한 점은 바로 네트워크적이라는 것입니다. 세균이라는 단순한 생물도 생명시스템 안에서 수천개의 화학반응이 동시에 일어나고, 타자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개개의 시스템을 유지하려 한다는 점이지요. 


책에서 저자가 밝히고 있는 최근 생물학, 생명과학의 학문적 경향은 바로 ‘숲’을 바라보는 것이라고 합니다. 개체 단위, 혹은 세포 단위의 생물학이 아니라 수많은 유전자, 단백질, 화합물 사이를 오가는 상호 작용 네트워크를 규명해 생명현상을 이해하는 경향이지요, 이것을 시스템생물학이라 한다는군요.



흥미로운 내용들이 매우 많은데 가장 흥미로웠던 부분은 바로 3차 전지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보통 전지라고 하면 건전지나 리튬이온전지를 생각합니다. 1차 전지와 2차 전지이죠. 그리고 기술 트렌드에 밝은 분들은 연료 전지를 떠올리시는 분들도 계실텐데요, 바로 연료 전지가 바로 3차 전지입니다. 보통 연료전지라 함은 수소연료전지 (HFC)가 일반적이고 가장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생물학 관련 서적에 걸맞게 바로 미생물연료전지 (MFC)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미생물의 호흡 작용을 통해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기술인 것이지요.  



이 책에는 이외에도 생물학, 생명과학의 역사, 트렌드와 최신 이론, 그리고 그에 기반한 많은 이야기거리들을 다양하게 소개하고 있는데, 특징적인 부분은 바로 쉬운 글쓰기입니다. 어려운 개념에 대해 일반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풀어서 설명하고 있는 것이지요. 


#생물학의쓸모 #생명과학 #생물학 #생명시스템 #김응빈 #컬처블룸 #더퀘스트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두 번째 인류 - 죽음을 뛰어넘은 디지털 클론의 시대
한스 블록.모리츠 리제비크 지음, 강민경 옮김 / 흐름출판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0년대초에는 21세기 느낌이 없었는데 이제 21세기인 것을 실감하게 되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생에너지 비즈니스 바이블 - High Output 재생에너지
정성민 지음 / 라온북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탄소중립은 결국 비즈니스와 정책으로 풀어야 한다는 생각인데, 이 책에서 시사점을 얻기를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치스 파이터즈 안전가옥 쇼-트 19
전삼혜 지음 / 안전가옥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후속작이 나오지 않을까 했는데!! 역시나! 기다렸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