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디베어는 죽지 않아 안전가옥 오리지널 27
조예은 지음 / 안전가옥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조예은 작가의 장편을 읽었습니다. “테디베어는 죽지 않아 (조예은 著, 안전가옥)”입니다.




이번에 읽은 이 장편소설은 심령물이라는 기본 구조에 재개발에 소외되어 도시에서 밀려나는 빈민들의 이야기를 담아내 풍부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주인공 황화영은 가출팸에 속해있지만 복수를 위해 2000만원을 모아야 하는 소녀입니다. 2000만원을 모으기 위해 알바를 하지만 그 알바에서도 짤리고, 가출팸의 중심 인물 우영진은 월세를 올리려 합니다. 그리고 우영진은 월세를 올리지 않는 조건으로 불법적인 일의 미끼를 제안합니다. 하지만 미끼 역할만 하면 되는 줄 알았던 화영은 미끼가 아니라 불법적인 일의 거래물이 되어버리고 맙니다. 

그리고 또 한 명의 주인공 한도하. 항상 사촌형 한도현과 비교당하면서 가정 폭력에 노출되지만 최소한의 인간성을 잃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어떤 사건에 휘말리면서 인간이 아닌 작은 곰인형이 되어버립니다. 이제 황화영을 도와 자신의 몸을 찾아야 합니다. 그리고 알게 된 진실…


이 책에는 두 명의 주인공 외에 재, 한정혁 등 다양한 반동 인물들이 등장합니다. 이들은 단순한 악이 아닙니다. 그들에게는 악을 추구하는 스스로의 대의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강력한 악을 행할 수 있지요. 그리고 그 악을 행할 수 있는 힘도 가지고 있습니다. 

엄마의 죽음에 의문을 가진 황화영, 자신의 몸을 빼앗긴 한도하. 두 주인공은 결국…


처음 조예은 작가를 알게 된 게 “뉴서울파크 젤리장수 대학살 (안전가옥)”이라는 작품이었는데 독특한 설정의 작품인데다 현실의 고민을 충분히 우려낸 이야기로 훌륭한 역량을 보여준 작가입니다. 이후 출간하는 작품마다 이야기의 즐거움에다 의미까지 충분히 담아내어 독자들에게 즐거움을 안겨줄 줄 아는 작가임을 항상 증명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읽은 “테디베어는 죽지 않아” 역시 단선적이지 않은 이야기 구조에 의미를 겹겹히 담아내었습니다. 

조예은 작가를 좋아하는 독자라면 반드시 읽어봐야 할 소설로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그리고 조예은 작가를 몰랐던 작가라 하더라도 입문에 손색 없는 소설이라 생각합니다.



#테디베어는죽지않아 #조예은 #안전가옥 #몽실북클럽 #몽실서평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민주주의에 반대한다 - 무능한 민주주의를 향한 도전적 비판
제이슨 브레넌 지음, 홍권희 옮김 / 아라크네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6년 누구도 믿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나버리고 말았습니다. 미국 대통령으로 트럼프 (Donald John Trump)가 당선된 것입니다. 이후 트럼프는 온갖 기행을 통해 이야기거리를 만들어냈지만, 중요한 것은 대통령에 재임 중인 기간부터 대통령을 퇴임한 지 꽤 시간이 지난 지금까지 민주주의라는 제도에 대한 회의감을 들게 한다는 사실입니다. 사실 민주적 절차를 통해 민주주의와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사람이 당선되는 경우를 자주 보아오곤 했습니다. 트럼프 이후에도 마찬가지이지요. 이스라엘의 네타냐후 (Benjamin Netanyahu), 브라질의 보우소나르 (Jair Messias Bolsonaro) 이탈리아의 멜로니 (Giorgia Meloni) 같은 지도자들도 등장했습니다.


사실 우리가 지금 누리고 있는 민주주의는 지금까지 출현한 많은 정치 제도 중 가장 훌륭한 것은 맞지만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민주주의에 반대한다 (제이슨 브레넌 著, 홍권희 譯, 아라크네, 원제 : Against Democracy)”은 이러한 민주주의 제도에 대한 문제의식을 던져주는 책입니다.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민주주의가 가장 바람직한 통치 형태라는 믿음에 대한 반론을 설득력 있는 주장을 통해 제시합니다. 민주주의의 결함을 정교하게 분석하며, 유권자의 능력, 무지, 비합리성과 같은 문제에 초점을 맞춥니다. 각 개인의 인지적 편견과 제한된 정보가 최적의 정책 선택을 저해한다는 것을 증거와 함께 뒷받침하여 유권자가 합리적이라는 신화에 대해 저자는 논박합니다. 

대안적 통치 체제, 특히 지식인 지배를 우선시하는 에피스토크라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여 제도적 정치 모델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합니다. 저자는 에피스토크라시를 지지하는 입장을 옹호하며, 이는 다수의 전제적 통치를 방지하고 더 잘 근거를 갖춘 의사 결정을 보장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물론 이에 대한 반론도 많습니다. 하지만 민주주의의 결함을 경시해서는 안 되며, 대안적 정치 모델이 필요하다는 것을 저자는 역설합니다. 


이 책에서 저자가 주장하는 바에 모두 동조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민주주의 이념에 동의하는 사람은 이 책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하지만 민주주의가 가진 결함은 너무나 분명하고 이를 고쳐야 하는 것에는 모두가 동의할 것입니다. 그것이 소수 지식인에 의한 지배를 정당화하는 에피스토크라시가 아닐지라도 말이지요.

하지만 책을 통해 현재 민주주의 체제의 결함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보다 나은 그리고 바람직한 정치 제도에 대한 고민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드는데 이 책은 훌륭한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민주주의에반대한다 #제이슨브레넌 #홍권희 #아라크네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여전히 공룡시대에 산다 - 가장 거대하고 매혹적인 진화와 멸종의 역사 서가명강 시리즈 31
이융남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룡은 정말 매력적인 존재입니다. 수억 년에 걸친 진화의 과정을 거쳐 전성기를 누렸지만 어 느 한 순간 사라져버린 존재. 거대한 덩치, 매력적인 생김새. 그래서 아이들이 그렇게 좋아하는지 모릅니다. 


공룡에 대해 일반인이 느끼는 감상이라 할 수 있는 저 문장은 사실 오류가 많습니다. 공룡은 멸종하지 않았고, 여전히 전성기를 누리고 있지요. 진화라는 무기를 통해 바로 ‘새’가 되어서 말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여전히 공룡시대를 살아가는 지 모르겠습니다.


“우리는 여전히 공룡시대에 산다 (이융남 著, 21세기북스)”는 서가명강 시리즈 중 31번째 책입니다. 


생명은 어느 한 순간 태어나지 않았습니다. 생명 진화는 38억년이라는 장구함을 지니고 있지요. 천문학적 시간을 통해 우리는 이렇게 태어나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흔히 그 시간을 잊곤합니다.


책에 따르면 아주 가까운 곳, 우리가 살아가는 한반도라는 공간에도 그 흔적들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공룡 발자국 화석 같은 경우도 있지만 아시아 최초로 발견된 집단 산란지 화석 같은 경우도 전 세계적으로 드문 화석 같은 경우도 한반도에서 발견되기도 합니다.  심지어 신생대에는 코끼리 (현대의 코끼리가 아닌 조상격이 되는 원시 코끼리)도 한반도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어느 곳에나 생명 진화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 읽은 이 책은 진화라는 개념을 통해 고생물학이 지금 우리에게 무엇을 가르쳐 주는가를 살펴보는 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과거에 어떤 생물이 지구상에 살았다는 내용만으로 이루어진 책이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우리는 어디로부터 왔고, 어디로 가는지, 그리고 지금 이 순간에도 진화는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게 해주는 책입니다. 진화의 과거와 현재, 그로 인해 유추해볼 수 있는 미래까지. 고생물학은 바로 그런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순수한 지적 호기심만으로 이루어진 학문이라 할 지라도 그런 호기심들이 쌓이다 보면 현재를 비춰주는 거울이 될 수 있는 것이지요. 


#우리는여전히공룡시대에산다 #이융남 #21세기북스 #서가명강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가 수학 좀 대신 해 줬으면! - SF 작가의 수학 생각
고호관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가 수학 좀 대신 해 줬으면 (고호관 著, 사이언스북스)”를 읽었습니다.



고호관? 바로 SF작가이자 번역가로 잘 알려진 분이지요. 하지만 이 분의 본업은 사실 따로 있었는데 바로 ‘과학동아’, ‘수학동아’의 기자이자 편집자로 활동했습니다. 또한 과학사와 과학철학을 공부한 분이기도 하구요.

‘수학동아’ 편집자를 지냈지만 고호관 작가도 역시 수학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는 이야기를 합니다. 누군가 그런 이야기를 한 것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누구나 수포자이다. 다만 언제 포기했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라구요. 그 만큼 수학이 어렵다는 이야기겠지요. 하지만 수학이 없었다면 인류 문명 역시 없었을 것입니다. 수학은 자연의 언어이기도 하지만 기술의 언어이기도 하니까요.

그럼 수학 잡지의 편집자까지 지냈던 분이 바라보는 수학과 그에 대한 생각은 어떤가에 대해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수학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들도 많은데 흥미로운 시사점들을 던져줍니다.

개표방송을 보시는 분들이 상당히 많죠? 저 역시 지지하는 후보가 당선되기를 바라면서 개표방송을 보곤 하는데, 누가 짠 것도 아닌데 손에 땀을 쥐게 하는 경우가 잦습니다. 개표 초반 뒤지다가 역전하기도 하고, 앞서다가 역전당하기도 합니다. 또한 어떤 선거에서는 엎치락 뒤치락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여기에도 재미있는 수학적 사실이 숨어 있다고 합니다.


개표 과정 내내 한 후보가 다른 후보를 앞설 확률은 생각보다 높지 않다고 해요. 책에는 ‘베르트랑의 투표 용지 정리’라는 개념이 등장합니다. 표 차이가 꽤 많이 나서 당선되는 경우에도 개표 과정 내내 당선된 후보가 낙선한 후보를 앞서는 확률은 그리 높지 않더라구요.


이 뿐만이 아닙니다. 수학은 여전히 우리 삶에서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의 생명을 지켜주기도 합니다.. 이번 팬데믹을 통해 바로 감염병의 확산 추이를 추정하는 모델들을 비로소 알게 되었고, 그것의 정확도는 생각보다 높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지요.


즉, 이러한 수학모델을 통해 방역 당국이 그에 적합한 대책을 수립하고, 사망률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COVID-19 팬데믹 기간 동안 우리는 여실히 느끼기도 했습니다.


요즘 수학이 어디에 필요해라는 이야기를 많이 듣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수학이라는 분야가 ‘쓸모’가 많다는 사실에 대해 일반 대중들이 많이 알게 된 덕분이겠지요.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수학에 큰 벽을 느낍니다. 더구나 첨단 수학으로 가게 되면 인지의 범위를 훌쩍 넘어서는 경우도 많다고 해요. 하지만 여전히 수학은 우리의 삶을 보다 풍요롭게 해주기도하고, 안전하게 살아가기도 하게 해주는 소중한 도구이기도 합니다. 조금만 더 수학에 대해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은 어떨까 합니다. 이번에 읽은 “누가 수학 좀 대신 해줬으면”은 그 시선에 이해를 보태는 좋은 책으로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자 스파이 - 나치의 원자폭탄 개발을 필사적으로 막은 과학자와 스파이들
샘 킨 지음, 이충호 옮김 / 해나무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자 스파이 (샘 킨 著, 이충호 譯, 해나무, 원제 : The Bastard Brigade: The True Story of the Renegade Scientists and Spies Who Sabotaged the Nazi Atomic Bomb)”를 읽었습니다.



너무 성의 없이 대충 지은 듯한 제목이라 제목만 보고는 그냥 넘어가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작가가 샘 킨 (Sam Kean)!! 



 “사라진 스푼 (이충호 譯, 해나무, 원제 : The Disappearing Spoon: And Other True Tales of Madness, Love, and the History of the World from the Periodic Table of the Elements )”, “바이올리니스트의 엄지 (이충호 譯, 해나무, 원제 : The Violinist’s Thumb: And other tales of Love, War, and Genius, as written by our Genetic code )”, “뇌과학자들 (이충호 譯, 해나무, 원제 : The Tale of the Dueling Neurosurgeons: The History of the Human Brain as Revealed by True Stories of Trauma, Madness, and Recovery )”, “카이사르의 마지막 숨 (이충호 譯, 해나무, 원제 : Caesar’s Last Breath: Decoding the Secrets of the Air Around Us)”과 같이 주옥 같은 대중과학서로 유명한 바로 그 작가죠.



샘 킨의 신작이라니, 안 읽을 수 없죠. 일단, 어떤 책인지 봅시다. ‘나치의 원자폭탄 개발을 필사적으로 막은 과학자와 스파이들’이라는 부제가 있습니다.



미국은 맨하탄 프로젝트를 통해 원자폭탄 개발에 성공했는데 나치는 시도조차 안했을까하는 점이 항상 궁금했었습니다. 그 궁금증을 해결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만약 나치가 원자폭탄을 먼저 개발했다면 그 뒤의 세계사는 마치 “높은 성의 사내 (필립 딕 著, 남명성 譯, 현대문학, 원제 : The Man in The High Castle )”처럼 되었을 수도 있겠지요.



이 책은 모 버그를 비롯해 나치의 원자폭탄 개발을 방해하는 임무에 참여한 원자 스파이들을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처음 등장하는 모 버그는 과학자도 군인도 아니었습니다. 바로 야구선수였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흔히 과학사에서 이름을 접하던 리제 마이트너, 이렌 퀴리 같은 과학자들도 등장합니다. 그리고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깊이 있는 리서치와 생존 대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미국과 나치 사이에 벌어진 원자폭탄 개발 경쟁을 생생하게 묘사한다는 점입니다. 일반 대중에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 중 하나는 나치 독일이 원자력을 활용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울였는지가 이 책에는 정말 자세하게 소개되고 있습니다. 



원자 스파이들은 독일 핵 시설 침투, 우라늄 생산 방해, 중요 물질 운송 방해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나치의 원자폭탄 개발을 방해합니다. 그리고 그 작전은 언제나 위험이 도사리고 있었지요. 


 


이 책에서 보다 흥미로운 점은 등장인물들이 가진 윤리적 딜레마와 도덕적 모호성이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점입니다. 저자인 샘 킨은 그들이 그런 행동을 해야만 했던 이유가 충분히 있었다고 변호하면서, 초자연적인 힘, 바로 원자력이 미치광이의 손에 들어가는 것만은 막았어야 했다고, 그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그것만을 막을 수 있다면 모든 것을 희생할 수 있는 마음을, 원자 스파이들이 가졌었다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언제나 그렇지만 사실을 기반으로 한 저자의 스토리텔링 능력은 정말 대단합니다. 또한 등장인물들이 가진 개인적인 배경, 그리고 동기를 드러냄으로써 인물 개개인에 대한 몰입도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그들이 희생해야 했던 점과 도전의 어려운 부분을 명백하게 독자들에게 설득해냅니다.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이름 없는 영웅들이 수행한 비밀 작전에 대한 흥미진진하고 철저한 조사를 바탕으로 한 뛰어난 역사 논픽션 책이자 과학사 책으로 많은 분들에게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원자스파이 #샘킨 #이충호 #해나무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