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머릿속에선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 카이스트 김대식 교수의 말랑말랑 뇌과학
김대식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뇌과학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한 책. 유익하다. 뷔페식의 글이 갖는 장단점이 있다. 재미있지만 읽고 나면 크게 남는 게 없는 것 같은 느낌도 그 때문이 아닐까 싶다. 성과위주의 한국사회(특히 학계)에 대한 비판도 들어있다는 점에서 엇비슷한 다른 과학책들과 색깔이 약간 다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르기아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 11
플라톤 지음, 김인곤 옮김 / 이제이북스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물론 마이크 센델의 책과 완전히 겹치지는 않는다. 그러나 정의롭다는 것에 대해 '따져'보고 있다는 것, 그리고 우리가 알고 있다고 확신하던 것이 과연 옳은지 의심을 품게 만든다는 점에는 그의 책과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다고 느꼈다.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들을 읽으며 느끼는 것이 여럿 있는데 무엇보다 이 대화집들이 분명 철학을 이야기하는데도 마지막 장을 덮으면 감동을 받는다는 점이다. 플라톤은 이성이 아니라 마음을 움직인다. 그는 뛰어난 문학가이기도 했다.

 

<고르기아스>는 표면적으로는 정치에 대한 이야기이며, 본질적으로는 정의와 행복을 묻는다.

그 당시 아테네에서 정치란 무엇보다 중요한 행위였고 성공의 지표였는데, 한국의 현실 정치와 너무나 유사해서, 2000년의 세월이 무상하다 싶다. 인간은 한치도 발전하지 못했다는 이야기일까?

소크라테스의 비판 '모르는 자가 모르는 자들 앞에서 아는 자보다 더 설득력이 있다'는 그 말에 무릎을 친다. 

정치인들이 하는 말들을 거를 수 있는 기준은 그저 '확신을 주는 설득'인지 '앎을 주는 설득'인지를 보면 쓸모 있겠다고 생각했다.

 

이 책에서 플라톤은 가장 기본적인 물음을 한다.

-자신이 최선이라고 여기는 것을 해야하는지, 좋다고 여기는 것을 해야하는지.

-훌륭한 것, 좋은 것, 나쁜 것, 부끄러운 것의 기준이 무엇인지.

 

소크라테스의 문답은 짜증나리만치 꼼꼼하게 따져묻고 또 묻는 방식인데

그럼으로써 다른 사람으로하여금(독자로 하여금) '생각'하게 만든다.

생각한다고 생각하지만 내가 그저 수용하고 답습했다는 것을 깨닫게 만든다.

 

그래서 이 모든 문답의 종착지는,

'나이가 많든 적든 우리는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며, 무엇을 그리고 어느 정도까지 실천해야 하는지에 대한 탐구'를 할 것이며

절제와 덕으로 자신을 다스릴 것이며

앞으로 살아가는 동안 어떻게 하면 가능한 한 최선을 삶을 살 수 있을지를 생각하고,

사적으로나 공적으로나 훌륭해 보이는 데 주의를 기울일 것이 아니라 실제로 훌륭한 상태에 있도록 하는 데 무엇보다도 주의를 기울이라는 것.

살아서나 죽어서나 정의는 물론이고 다른 덕을 모두 단련하는 것.

'이것이 가장 좋은 삶의 방식'이라는 것이다.

 

글 중의 등장인물인 카이레폰은 현재도 우리가 가끔 회의할 수 있는 질문을 소크라테스에게 던진다. 돈을 벌고 성공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여기는 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왜 바보 같이 사느냐고.

"철학을 포기하고 더 큰일에 발을 들여놓으"시고 철학은 고상한 것이나 이것만 계속하시면 "모든 것에 미숙해질 수밖에 없"으며 "무기력한 상태"로 "청소년 같"이 살 수밖에 없다고.

2000년 전에도 기본을 생각하는 것, 즉 무엇이 과연 옳고 훌륭한 것이며 진정으로 행복하다는 것은 무엇인가를 생각하는 것은 달갑지 않은 것이었고 그러나 꼭 필요한 것이었나보다.

 

지금도 그때처럼 우리의 삶은 똑같은 모습이었는지도 모른다.

"만약 (소크라테스 당신이) 하는 말이 맞다면 우리 인간들의 삶은 뒤엎어져 있고 우리는 모든 것을 마땅히 해야 할 바와는 정반대로 하고 있지 않겠습니까?"

우리 사회도 또 내 개인의 삶도 혹시 뒤엎어져 있고 마땅히 해야 할 바와는 정반대로 하고 있지 않을까? 이 책을 읽고 되돌아보게 된다.

 

마지막으로, 꼭 하고 싶은 말: 번역이 훌륭하다. 좋은 번역은 물론 이 책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깊은 이해가 전제됐기 때문일테지만, 어쨌든 번역자께서 우리말을 잘 구사해서 정말 좋은 번역을 해주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번역어의 성립 - 서구어가 일본 근대를 만나 새로운 언어가 되기까지
야나부 아키라 지음, 김옥희 옮김 / 마음산책 / 201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번역투라는 말은 부정적인 의미가 강한데 사실은 기존언어에 변화를 이끌어내는 마중물일 수도 있다. 번역어의 성립과정을 언어학적,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살펴본 흥미로운 책. 저자는 낱말 하나에서 일본문화의 큰 흐름과 문명 간의 권력관계까지 읽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캉디드 혹은 낙관주의 열린책들 세계문학 54
볼테르 지음, 이봉지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술 방식이 낯설어서 익숙해지는 데 시간이 걸리긴 하지만 정말 매력적인 작품이다. ‘위악적인 아리러니가 넘치는 걸작‘이라고 <평생독서계획>의 저자 패디먼은 말하는데 이건 정말로 ‘걸작‘이 맞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림과 닫힘 - 인문학적 상상을 통한 종교문화 읽기
정진홍 지음 / 산처럼 / 200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분의 문장이 낯설어서 못 읽겠다고 하는 사람도 있었다. 하지만 잘 곱씹어서 읽어보면 종교에 대해서 매우 이성적이면서 동시에 독실한 마음을 발견하게 된다. 종교에 비판적인 사람이라면 더욱더 이 책을 읽어봤으면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