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보이지 않는
폴 오스터 지음, 이종인 옮김 / 열린책들 / 2011년 1월
평점 :
절판


소설가로서 폴 오스터는 능수능란하다. 여러 의미가 있지만 독자를 애태우는 방법을 잘 안다는 점에서 그렇다. 서스펜스가 없으면 이야기는 힘을 잃고 마는데, 폴 오스터의 작품은 첫 장부터 이야기가 끝나는 순간까지 긴장을 늦출 수 없게 하는 힘이 있다. 이는 장르소설같은 드라마틱하고 역동적인 사건이 펼쳐져서라기보다 어떤 사건이 펼쳐지든 궁금증을 유발시키는 장치를 활용할 줄 아는 덕이다. 즉 플롯의 효과를 기교적으로 활용할 줄 아는 작가의 노련함에서 오는 힘이라 할 수 있다.

그의 신작 <보이지 않는(Invisible)>도 전작과 마찬가지로 독창적인 플롯을 통해 스토리를 통제한다. 허구이지만 허구가 아닌 척 하는 액자식 구조를 사용하고 있지만, 그 조차 그리 단순하지 않다. 소설은 한 편의 소설이 완성되어가는 과정을 그린 외화 속에 주인공 워커의 삶에 대한 본래 이야기를 삽입시킨다. 이 소설의 외화는 내화의 신빙성을 더하기 위한 역할에만 그치지 않고, 내화와 상호보완하며 본래 이야기 속 감추어진 진실을 추적하는 역할까지 한다. 사실 사건 속의 진실을 파헤치는 설정이라는 것은 그 자체로 어불성설이랄 수도 있다. 소설의 본질은 어차피 허구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설의 화자는 '진짜 이야기'가 있음을 염두에 두고 그것을 파헤치려는 시도를 멈추지 않는다. 허구이면서 허구가 아닌 척 시치미를 떼며 허구와 사실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는 이 독특한 구조에 의해 이야기는 탄탄한 긴장감을 획득한다.

소설 흐름상 전체 이야기를 통제하고 있는 서술자는 2부에서 등장하는 소설가 제임스 프리먼이다. 어느날 대학 동창 애덤 워커가 보내 온 신비한 경험담에 특별한 관심을 갖게 된 그는 그 미완성 원고의 나머지 부분을 채워넣기 위해 애덤 워커의 삶을 추적한다. 애덤 워커가 보내 온 원고에는 범죄와 사랑, 욕망과 집착 등 인간의 원초적 심리가 혼재된 일련의 사건들이 서술되어 있다. 애덤 워커의 경험담은 그 자체로도 흥미진진하지만 제임스 프리먼의 관점에서 파헤쳐지는 진실에 의해 더욱 큰 호기심을 불러 일으킨다. 애덤 워커의 진술과 다른 인물들의 증언 간의 불일치는 진실을 신비스럽게 왜곡시키고 독자를 혼란에 빠뜨린다.

소설이 추적하고 있는 진실은 두 인물의 삶에 있다. 애덤 워커와 루돌프 보른. 이 두 인물의 우연한 만남과 이로 인해 묘하게 뒤틀려 가는 인물의 운명이 소설의 큰 줄거리를 이룬다. 그런데 이들의 운명은 하나의 책임감 있는 서술자에 의해 친절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각각의 운명은 여러 시점을 오가며 남겨진 자들의 증언과 소설 속 또 다른 텍스트를 통해 한 차례 걸러진 채로 전달된다. 이 책의 전체를 구성한 것으로 되어 있는 제임스 프리먼은 애덤 워커가 남긴 그의 삶과 세실이 남긴 루돌프 보른의 삶을 적절하게 구성하는 역할로 작가의 통제 안에 있는 유일한 인물이다. 작가는 제임스 프리먼을 제외한 다른 인물들의 운명에 관여하지 않는다. 제임스 프리먼이 워커의 원고와 세실의 일기를 얻게 된 과정을 그리는 것이 작가의 유일한 개입이다. 이 때문에 뉴욕에서 추방당한 보른과 파리에서 추방당한 워커의 의도적이라 할 만큼 대칭적이고 작위적인 운명조차 상당한 객관성을 확보한다. 서술자는 심지어 인물들의 이름은 가명이며 지명도 왜곡된 것이라는 능청스러운 고백마저 서슴지 않고 있는데, 이 시치미 떼기의 궁극적인 효과는 본 이야기 속 서스펜스의 극대화라고 할 수 있겠다.

<보이지 않는>은 현대인이 맞닥뜨리는 다양한 심리를 세밀하고 지적으로 풀어내고 있어 이야기 자체로도 충분히 매력적이다. 그러나 이 소설의 참된 매력은 '무엇'을 말하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말하느냐 하는 문제에서 부각된다.  <파이이야기>, <존재의 세가지 거짓말>, <사랑의 역사> 등과 같이 구조적인 기교를 통해 재미를 더하는 소설들은 약간의 모호함이 긴 여운으로 남는다는 특징이 있다. <보이지 않는>이 보여준 시점의 혼용과 역동적인 구성 방식도 이야기 자체의 흥미를 한층 더해줄 뿐 아니라 오랜 여운을 남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토장이의 딸 - 상
조이스 캐롤 오츠 지음, 박현주 옮김 / 아고라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조이스 캐럴 오츠의 소설은 새삼스럽지만 매번 소설 읽는 재미가 어떤 것인지 일깨워 준다. 전통적인 의미에서 소설이 갖추어야 할 모든 것이 작품 안에 녹아 있다. 독창적인 기법이나 노골적인 정치성향을 드러내지는 않지만 소설적 재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에 있어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그래서 조이스 캐럴 오츠의 장편들은 어마어마한 분량으로 압도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술술 잘 읽힌다. 스케일이 큰 그의 서사는 독창성과 상상력에 의존하기보다 철저하게 사실성에 기반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인물의 운명을 보다 설득력 있게 보여주는데 성공하고 있다. 특히 그는 여성의 운명에 지나치게 가혹하다.  

조이스 캐럴 오츠의 2007년 작 <사토장이의 딸>은 전체 3부의 구성 안에 한 여성의 삶을 총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1부에서는 폭력과 광기를 견디는 모습을, 2부에서는 과거로부터 벗어나려는 치열한 도피의 과정을, 3부에서는 지난 운명에 대한 성찰과 정체성의 문제에 기반한 대단원을 그려낸다. 이 3부를 관통하는 서사에는 이방인으로서, 하층민으로서 혹은 여성으로서 부당한 억압에 맞서 주어진 삶을 오롯이 살아내고자 했던 주인공의 치열한 운명이 생생하게 펼쳐진다.   

야생의 세계에서 자비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들이 몸 담아야 했던 시공간을 '동물의 세계'로 비유한 제이콥 슈워트의 말은 제법 그럴싸하다. 그 자신이 역사적 피해자이지만 부당한 권력 구조에 의해 오히려 멸시받아야만 했던 제이콥에게 신세계는 무자비한 싸움이 난무하는 야생의 공간이다. 이곳에서 쥐에게 내장을 갉아 먹히는 고통을 묵묵히 참아내는 것 밖에 할 수 있는 일이 없는 제이콥은 자신의 삶을 방기하고 죽은 자를 위한 무덤을 팔 뿐이다. 그러나 무자비한 '동물의 세계'에서는 그 자신 또한 동물과 다를 바 없다. 자신의 지성이 소용되지 않는 곳에서 증오 하나로 영혼을 온통 소진한 제이콥에게 유일하게 군림할 수 있는 대상은 가족이다. 그의 증오는 가족을 향하게 되고, 자신이 피해 온 폭력의 세계를 그 스스로 재현하기에 이른다. 그 결과 그의 아내는 생과의 타협을 거부한 채 스스로 고립되기를 원하고, 자식들은 그의 증오를 이어받아 또 다른 폭력의 세계로 내던져진다. 이들 가족이 거주지인 무덤에 둘러싸인 작은 돌오두막은 그 자체로 또 하나의 무덤이다. 제이콥과 그의 아내는 이 오두막 속에 영원히 매장됨으로써 "동물의 세계에서 약자들은 금방 죽음을 당한다"는 논리를 증명해 보인 반면, 그들의 세 자식들은 무덤 속을 탈출함으로써 생을 증명한다. 이 소설은 오두막을 떠난 세 자식들 중 유일한 여자였던 레베카 슈워트의 삶을 좇아간다. 이른바 '동물의 세계'에서 '약자'로서 어떻게든 살아 남고자 했던 한 여성의 이야기다.  

동물의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약점을 노출해서는 안 된다. 레베카 슈워트는 천대받는 자신의 뿌리와, 살인과 광기로 얼룩진 과거를 감추기 위해 새로운 운명을 찾아 나선다. 헤이젤 존스로 명명되며 과거로부터 달아나려는 레베카의 삶이 그려지면서부터 소설은 약자로서의 여성의 문제를 부각시킨다. 기나긴 도피의 여정에서 헤이젤이 만나게 되는 구원자들은 그녀의 여성성을 담보로 했을 때에만 그녀를 구원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완전한 구원자가 될 수 없다. 특히 '남자는 같이 살기 전에는 친절'하다고 믿고 있는 헤이젤에게 남자의 존재는 야생의 세계에서 생존하기 위한 방어 수단 이상으로 생각할 수 없다. 때문에 진정한 사랑과 행복의 실마리를 발견했을 때에도 머뭇거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현재의 헤이젤의 운명은 과거의 레베카에 의해 끊임 없이 영향받는다. 결국 헤이젤은 자신의 과거와 참된 정체성을 긍정하기 전 까지는 어떤 행복도 온전히 자신의 것이 될 수 없음을 이해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현재의 운명에 맞서기 보다 새로운 운명을 만들어 나가는 식으로 운명에 대항하려 했던 레베카(혹은 헤이젤)는 오랜 시간이 흘러서야 회피해 왔던 자신의 정체성에 제대로 직면하는 계기를 맞는다. 자신과 마찬가지로 동물의 세계에서 약자로서 살아 남은 사촌과의 서신 교환을 통해 레베카는 자신의 과거와 당당히 마주한다. 따지고 보면 오빠 거스와의 잠깐 동안의 해후 이후에 이미 헤이젤 내부의 레베카는 제자리를 찾고자 하는 열망을 계속 드러낸다. 거스가 헤이젤에게 말을 걸어 왔을 때의 장면은 소설 첫 부분의 낯선 남자가 레이첼에게 말을 걸어오는 장면을 오버랩시킨다. 진실 때문에 부정했던 처음의 낯선 남자와 진실을 은폐하기 위해 부정해야 했던 거스의 경우를 대칭적으로 대비시키면서 한 여자의 두 가지 삶을 하나의 선상에 놓고 보여준다. 한 여자의 전혀 다른 두 개의 삶을 통해 끊임 없이 보여지는 문제는 결국 정체성의 문제이다. '그녀가 사토장이 딸이 아니었던 때는 단 한번도 없었다.' 헤이젤 존스의 이름을 빌려 쓰고 있는 순간 조차도 이것은 진실일 수밖에 없다. 유대인으로서 사토장이 딸로서의 정체성은 본질적으로 변하지도 사라지지도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멀베이니 가족
조이스 캐롤 오츠 지음, 민승남 옮김 / 창비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력적인 캐릭터 패트릭으로 기억되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떠난다
장 에슈노즈 지음, 용경식 옮김 / 문학동네 / 2002년 5월
평점 :
품절


흥미로운 이야기. 신선한 반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켈트의 여명 - 신화와 민담과 판타지 펭귄클래식 44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지음, 서혜숙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웅진)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판타지 소설에 수차례 원용되어 왔던 서구 민담의 원류를 찾아볼 수 있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