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 성격만 알아도 행복해진다 - 행복한 아이를 만드는 코치 부모 되기
이백용.송지혜 지음 / 비전과리더십 / 201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나와 전혀 다른 사람을 받아 들이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오죽하면 사람을 상대하는 것이 가장 힘들다는 말을 할겠는가... 하물며 내 뱃속에서 나온 아이조차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끝없이 잔소리를 퍼붓고 있는 상황에 한숨이 날 뿐이다. 도대체 아이가 왜 이렇게 행동하는 것인지, 몇번 말해도 소 귀에 경 읽기가 되는 아이의 행동은 엄마의 화를 불러 일으키곤 한다. 아이에게 욕심 부리지 말자 하면서도 기본적인 생활에서부터 부딪치다 보니 점점 지치는듯 하다. 아이로 인해 행복하면서도 그만큼 힘든 이 아이러니를 어떻게 해야 할지...
그러다 접한 한 권의 책으로 지금의 이 상황을 이해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때의 그 후련함이란 마치 십년 체증이 내려간듯 하다. 나와 전혀 다른 아이의 성격을 제대로 알지 못해서 계속 부딪치는 것을 아이가 엄마 말을 듣지 않는다고 오해해서 혼을 냈으니 딸이 많이 상처를 받았을 것 같아 미안하다. 지극히 외향적인 딸을 내향적인 엄마의 시각에서 판단을 했으니 아이는 무척이나 에너지가 넘치고, 수다스럽고, 산만하게만 보였다. 놀이터에서 놀때도 그네를 타다, 미끄럼틀로 가고, 다시 철봉에 매달리는 아이가 걱정스러웠다.
하지만 그것은 쉽게 싫증내고 집중력이 약한 것이 아니라 그저 관심이 옮아간 것 뿐이란 것을 이해 할 수 있게 되었다. 외향적인 아이를 얌전하게 다루려고 했으니 문제가 생길만도 하다. 그런 모든 상황들이 아이의 성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엄마인 나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비단 육아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인간 관계를 위해선 그 사람의 성격을 파악하고 존중해 주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것이 관계 맺기의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성격을 파악했다면 코칭 기술이 필요하다. 경청하고, 인정하고, 칭찬하고, 질문하기를 통해서 아이의 마음을 읽어 주면 아이는 인정받는 것에 대해 안정감을 느끼게 되고 행복해진다. 성격에 따른 기본 욕구, 성향을 파악하는 것만으로도 문제가 생겼을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알게 된다. 처음엔 어렵겠지만 아이의 성격을 고려해서 말하고, 행동한다면 더욱 좋은 관계가 될 것이다. 가장 가깝고 소중한 존재에게 상처주지 않고 행복하게 살아가기 위한 소중한 비법을 알게 된 듯한 기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