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직지 1 - 아모르 마네트
김진명 지음 / 쌤앤파커스 / 2019년 8월
평점 :
일간지 사회부 기자 김기연은 베테랑 형사조차 충격에 빠뜨린 기괴한 살인현장을 취재한다.
무참히 살해된 시신은 귀가 잘려나가고 창이 심장을 관통했다. 놀라운 것은 드라큘라에게 당한 듯 목에 송곳니 자국이 선명하고 피가 빨렸다는 점이다.
피살자는 고려대에서 라틴어를 가르쳤던 전형우 교수. 과학수사로도 용의자를 찾을 수 없는 가운데, 기연은 이 기묘한 사건에 점점 빠져든다.
그러던 중 살해된 교수의 차량 내비게이션에서 최근목적지가 청주 '서원대학교'임을 알아내고, 그의 휴대폰에서 '서원대 김정진 교수'라는 사람을 찾아낸다.
김정진 교수는 '직지' 알리기 운동을 펼치는 인물로서 구텐베르크 금속활자의 뿌리가 '직지'라 확신하고, 그것을 뒷받침할 만한 증거를 캐고 있다.
책을 읽기 전, 부제 <아모르 마네트>를 찾아보니 Tempus fugit, amor manet. 템푸스 푸지트, 아모르 마네트.
시간이 흘러도 사랑은 남는다는 표현이다. 혹시 고려인과 독일인의 사랑일까 아니면 사랑 때문에 금속 활자기술자를 따라간 고려 여인이 등장할까.
<카레나>라고 알려진 존재의 흔적을 찾아서, 그리고 추측하고 상상하다가, 구텐베르크로 넘어가서는 비교적 역사적 사건도 같이 맞물린다.
조선시대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고 청주 복천암에서 신미대사가 금속 활자본을 비밀리에 개발하던 당시, 관련된 한 여인이 우여곡절 끝에 신부와 함께 유럽으로 오게 된다.
그녀가 가지고 있는 금속 활자본에 대한 지식은, 유럽의 바티칸 신부들에겐 위협이 된다. 즉, 조선의 한문 숭상의 학자들과 다를 바 없었다는.
그 과정에서 유럽 내의 종교와 시민 의식 사이의 알력 등이 그려지고. 조선의 여인 카레나와 대학자 쿠자누스와의 사랑이 그려지고 대학자 쿠자누스는 백성을 위해 한글을 창제한 왕의 이야기를 듣고 감명받아 구텐베르크의 금속 활자 성공에 큰 기여한다.
그리고 직지와 훈민정음과 오늘날의 반도체는 인류의 지식 혁명을 이끄는 대한민국의 3대 걸작이라는 결론이다.
물론 한국에서 일어난 살인 사건도 해결은 된다.
좀 비약이 심하다는 느낌도 없지 않지만 요즘같이 힘든 시기에 한국인으로서의 자긍심을 키워주는 방향은 괜찮지 않나 싶다.
누가 뭐래도 금속 활자와 한글로 인해 일반 대중이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기엔 아주 큰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고 두 여주인공의 활약은 은근 신난다.
#직지 #김진명 #쌤앤파커스 #북리뷰 #book #bookreview #서평단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