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쩐지 고전이 읽고 싶더라니 - 나답게 살자니 고전이 필요했다
김훈종 지음 / 한빛비즈 / 2019년 9월
평점 :
살면서 한번쯤 고전이나 읽어볼까 했던 적 없는가?
그때가 언제인가? 아마도 지치고 힘들 때, 길을 잃은 것 같을 때, 아무도 나를 알아주는 이 없을 때가 아니었을까.
우리는 인생에 답이 없다고 느껴질 때, 여러 방법들을 찾다 결국 책으로 돌아오곤 한다. 그리고 그 책은 대개 고전이다.
많은 성공하는 사람들이 고전을 즐겨 읽는다는 것을 굳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고전에 옛 성인들의 지혜가 녹아 있고 이를 통해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이 책《어쩐지 고전이 읽고 싶더라니》의 저자 김훈종은 대학에서 중어중문학을 전공하고 때로 억지로 고전을 읽었지만, 정작 삶의 굽이굽이마다 스스로 고전을 찾게 되었음을 고백한다.
그러면서 독자들에게 어려운 고전이 아니라 지금 이 시대와 내 상황에 맞는 쉽고 즐거운 고전 읽기를 제안한다.
나와 내 가족에만 관심이 있던 우리는 마흔 즈음이 되어 나와 사회, 세상에 대한 관심도 자연스레 동심원처럼 생겨난다. 여전히 먹고살기 급급하고, 사는 게 팍팍하지만 나를 둘러싼 주변도 조금씩 둘러보게 되는 것이다.
나를 둘러싼 인간,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때로 부조리하고 때로 부당하다고 느낄 때, 누구 하나 명쾌한 답을 주지 못할 때, 저자는 동양의 옛 성인들을 찾았고 나름의 위안과 해답을 얻었다고 한다.
<인터넷 책소개> 중에서
책을 자세히 읽고 필사해보면 알겠지만 저자 #김훈종 씨가 정치성향이 약간 좌향좌 라서 우향우 정치 성향이라면 약간 불편할 수 도 있는 책이다.
다양성을 존중하라고 저자는 논어, 맹자, 사기 등을 참고 하여 책을 나열 했는데 과연 저자는 다양성 을 갖고 사는지 의구심이 든다.( 개인적으로 #박근혜 , #세월호 사건에 대한 언급들은 다소 불편했다. 마치 유시민 처럼 책속에 정치성향을 내비친 모습이... )
무튼 그러한 부분만 빼면 고전을 현실적으로 재해석 했기 때문에 고전을 읽다고 고전을 면치 못하는 사람들은 읽을만 하다.
이책을 읽고 사서삼경, 논어 , 맹자 , 대학 , 주역등의 원전을 읽어보면 삶을 살면서 많은 지혜를 얻을 것이니 꼬옥 #어쩐지고전이읽고싶더라니 를 읽고 난후 원서를 찾아서 읽어 보기를 권한다.
P.S : 정치 성향에 대하여...
어느 나라든 수 많은 오피니언 그룹들이 있지만 크게 나누면 “보수와 진보”로 나눌 수 있다.
다들 아시겠지만 보수란 전통적으로 계승되고 있는 사상이나 가치를 더 중요시하며, 검증된 사실에 더 무게를 두는 정치적 성향이라고 보면 된다.
진보는 그 반대의 개념이어서 새로운 변화와 흐름에 더 무게를 두는 정치적 성향이다.
그래서 전통보다는 새로운 제도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그렇다고 무 자르듯이 딱 이 두 가지 개념을 나눌 수 없다.
보수와 진보의 개념은 상대적이라고 볼 수 있다.
어느 시대에 따라서 아니면 어느 나라에 따라서 정반대의 위치에 설 수도 있다.
그래서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이 개념을 자본주의를 추구하면 보수, 사회주의를 추구하면 진보로 구분하기도 한다. 그래서 “좌파와 우파”로 불리기도 한다.
“부러진 사다리”라는 책에서는 이 두 개념의 차이가 “불평들을 받아들이는 태도”라고 이야기 한다.
불평등의 이유가 개인에게 있다고 생각하면 보수주의자라고 보면 되고,
불평등의 원인이 시스템 때문이라고 보면 진보주의자라고 대충 생각하면 된다는 것이다.
이렇듯이 이 두 개념을 정의하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이 두 개념은 서로 경쟁을 하면서 또는 보완을 하면서 성장해 오고 있다.
어떤 것은 ‘악’이고 어떤 것은 ‘선’이고 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이해하고 바라보는 다른 시각이라는 것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이 두 개념에 대한 것이 약간은 이상한 형태로 자리한다.
정말 신기하다.
우리나라는 왜 이렇게 많은 것들이 원래의 모습이 아닌 뒤틀린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아무리 좋은 것이 들어와도 이상하게 변하고 뒤틀려 버린다.
橘化爲枳 (귤화위지) 라고
‘귤이 회수(淮水)를 건너면 탱자가 된다’는 중국의 고사성어가 있다.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상황과 딱 들어맞는 이야기다.
보수와 진보도 마찬가지다.
보수라는 것은 앞에도 이야기 했듯이 고수하고 지키는 것을 좋아한다.
그래서 대부분의 보수는 ‘국수주의’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많은 나라의 극우파들이 보수라고 이야기 하면서 극단적인 국수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진보는 ‘나’ 라는 개념보다는 ‘세계’라는 개념을 더 좋아한다.
작은 개인보다는 또는 한 나라보다는 공동체 또는 더 큰 세계에 대해서 관심이 더 많은 셈이다.
우리나라에서 진보라고 이야기 하는 대부분의 세력들은 대부분 보수라고 보면 된다.
그래, 도리어 그들이 보수다.
그들도 자신들이 어떤 편인지 모르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진정한 진보는 우리나라에 있어본 적이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보수는 악이고 진보는 선이다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분명한 자신들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정확한 위치에서 정확한 생각을 말하고 다투어야 한다.
그래야 이 두 개념들이 건전하게 부딪히고 갈등하면서 성장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으면 사이비보수와 사이비진보가 부딪쳐 봤자 남는 것은 서로를 향한 증오와 미움뿐이다.
이런 과정들은 사회를 발전시키지 못한다.
도리어 분열과 상처만을 계속해서 후대에 전승하며 한 공동체를 망치게 될 뿐이다.
텔포이 신전에 써있는 유명한 문구
“너 자신을 알라”
이것이 이 세상과 우리를 향한 가장 필요한 권고임에는 분명해 보인다.
#글 #정치철학 #진보와보수 #귤화위지ㆍ橘化爲枳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