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과학이라는 발명 - 1572년에서 1704년 사이에 태어나 오늘의 세계를 만든 과학에 관하여
데이비드 우튼 지음, 정태훈 옮김, 홍성욱 감수 / 김영사 / 2020년 5월
평점 :
✅ 17세기 과학혁명이 있기 전까지 ‘과학’은 없었다.
책이 상당히 두꺼운 벽돌책이다. 평소 일반인들은 과학에 관심이 없다. 공대 출신인 필자도 전공외에는 과학책을 탐독하기 힘들다.
근데 우리는 현재 과학의 세계에 살고 있다.
언제부터, 어떻게 그렇게 된 것일까? 이 책은 근대 과학을 탄생시킨 엄청난 지적, 문화적 혁명인 과학혁명에 관해 이야기한다.
그런데 ‘과학혁명’은 실제로 일어났던 사건일까? 지난 수십 년 동안 과학사학자들은 바로 이 17세기 과학혁명의 신화를 해체하기 위해 노력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시 말해 고대로부터 ‘과학’적인 활동이 존재해왔으며 ‘혁명’도 없었다는 것이다.
이 책은 ‘과학혁명은 실제로 존재했는가’에 대한 확실하고 완벽한 대답을 제시하는 책이다.
이 책의 저자 #데이비드우튼 따르면 오늘날 우리가 그 그림자 속에서 살고 있는 근대 과학은 튀코 브라헤가 신성을 관찰했던 1572년과 뉴턴이 『광학』을 출간했던 1704년 사이에 ‘발명’되었다.
1572년 관측된 ‘튀코의 신성’은 우주는 불변하며, 달 아래의 세계와 달 너머의 세계로 구성되어 각기 다른 운동 법칙이 적용된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관을 깨뜨리기 시작했고, 뉴턴이 『광학』을 출간했던 1704년 즈음에는 이미 자연 세계의 연구는 사실, 실험, 증거, 이론, 법칙에 관한 것이라는 ‘과학적’ 생각이 확립되어 현재까지 크게 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책은 17세기 과학혁명 전후로 역사, 철학 , 과학, 기술,언어학 등 총체적으로 한눈에 볼 수 있는 책이였다.
누군가 말했다. ‘두꺼운 책은 늘 진리이다.’ 라고.... 이번책으로 다시 한번 나의 무지함을 깨울 수 있었다.
이 책은 다소 어렵더라도 정독하면 총제적 지식을 얻을 수 있다. 누구에게나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 책속으로 :
영어는 과학적 법칙을 지칭하는 데 ‘자연법(natural law)’이 아니라 ‘자연법칙(law of nature)’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데카르트를 따랐다. 이는 특이한 효과를 가져왔는데, ‘law of nature’는 영어에서 도덕법을 뜻하는 가장 흔한 용어였기 때문이다.
양자를 위해 같은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불필요하게 혼란을 일으키는 일이었기에, 시간이 지나면서 도덕철학자, 정치철학자, 신학자들은 ‘law of nature’라는 용어를 거의 포기하여 과학자들에게 이양했고,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와 같은 노선을 취해 ‘natural law’로 전환했다.
이는 프랑스어가 영어에 영향을 미친, 그리고 과학자들이 처음으로 신학자들의 언어를 결정한 눈에 띄는 사례이다.
그 결과 우리 현대인들에게 자연법칙은 과학적 법칙이고 자연법은 도덕법이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는 모두 데카르트주의자다.
#과학이라는발명 #책 #글 #추천책 #김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