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트] 청소년 인문학 수업 1~2 세트 - 전2권 - 공부와 삶을 연결하는 인문학 ㅣ 청소년 인문학 수업
이화진 외 지음, 백상경제연구원 엮음 / 한빛비즈 / 2020년 8월
평점 :
#인문학 (人文學, humanities) 의 사전적 의미는 인간의 사상 및 문화를 대상으로 하는 학문영역이다.
자연을 다루는 자연과학(自然科學)에 대립되는 영역으로, 자연과학이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자연현상을 다루는 데 반하여 인문학은 인간의 가치탐구와 표현활동을 대상으로 한다.
광범위한 학문영역이 인문학에 포함되는데, 미국 국회법에 의해서 규정된 것을 따르면 언어(language)·언어학(linguistics)·문학·역사·법률·철학·고고학·예술사·비평·예술의 이론과 실천, 그리고 인간을 내용으로 하는 학문이 이에 포함된다.
인문학은 기본적으로 사람과 삶을 대하는 태도에 관한 학문이다.
인문학(문,사,철)을 최진석 교수는 ‘사람이 그리니 무늬’ 라고도 했다. 내 일상과 별개의 학문이 아니다. 궁극적으로 학문과 삶의 접점을 향해 나아가야 하는 중요한 학문이다.
비대면 수업의 비중이 늘면서 학생 스스로 배움의 폭과 교양의 깊이를 책임져야 하는 시대가 됐다. 그런데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질문이 있다. “역사를 왜 배워야 하나요?” “예술을 배워서 어디에 쓰나요?” 질문은 하나로 요약된다. ‘이 배움이 내 삶과 어떻게 연결되느냐’다.
이 책은 사회,과학,경제,역사,예술,문학 을 총망라한 책이다. 서울시 100여개 중고교 강의를 통해 검증된 콘텐츠 이기도 하다.
인문학 공부는 어려서 부터해야 한다. 그래야 나중에 어른이 되어서도 진정한 어른이 될 수 있다.
삶으로 와닿은 배움이 진정 학문으로 기능할 것이고, 나아가 현실의 내신이나 수능에서 진짜 힘을 발휘할 것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빌 게이츠는 이런말을 했다.
“어릴 적 나에겐 정말 많은 꿈이 있었고, 그 꿈의 대부분은 많은 책을 읽을 기회가 많았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한다. “
I really had a lot of dreams when I was a kid, and I think a great deal of that grew out of the fact that I had a chance to read a lot.
어릴적 부터 책을 많이 읽은 사람은 결코 어떠한 좌절이 와도 실패하지 않고 꿈을 실현할 것이다.
📚 책속으로:
슬픔에 빠진 오르페우스나 저항자 프로메테우스는 자연스러운 인간 감정의 가치를 옹호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르네상스로 열린 근대사회의 계몽사상은 인간의 이성을 해방시켰고, 예술은 감정의 해방을 가져왔다.
그 둘은 이후에 열릴 혁명의 서막과도 같았다. 감정의 해방이란 얼마나 중요한 주제인가.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은 알게 모르게 속마음과 다른 모습으로, 다른 감정으로 살아갈 때가 많다.
진정성 있는 감정을 느끼지 못한 채 관계없는 숱한 감정 노동, 무표정한 응대가 삶의 일부가 되어버린 건 아닐까. 비본질이 본질을 압도할 때 오르페우스를 기억하자. 프로메테우스를 기억하자. 아무리 바빠도 하루 5분의 시간을 내어 시를 읽고 음악을 듣자.
• 출판사부터 해당 도서를 지원 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청소년인문학수업 #백상경제연구원 #청소년추천책 #한빛비즈 #책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