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관계에도 연습이 필요합니다 - 타인으로부터 나를 지키는 단호하고 건강한 관계의 기술
박상미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9월
평점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이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이동은 제한되고 도시는 봉쇄되었으며 기업은 멈춰서 세계경제성장에 직격탄이 되고 있다.
감염예방 및 확산을 막으려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재택근무와 온라인 수업 등으로 기존의 생활패턴도 크게 바뀌어 모두들 당황해하고 있다.
우리는 이제 코로나19 이전의 상황으로 돌아갈 수 없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난다 하더라도 급변한 소통방식의 체계는 다시 오프라인 중심으로 회귀하지 않을 것이다.
오프라인, 온라인의 경계 없이 이루어지는 관계 맺기, 소통에 유연해지려면 예전보다 더 많은 ‘관계 연습’이 필요하다.
나이가 들고 경험이 쌓여도 인간관계는 늘 힘들고 감정은 편안하지 않다. 타인과의 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상처는, 대비하지 않고 있으면 일상을 무너뜨리는 폭탄이 되고 만다.
관계는 늘 힘들다. 인간관계, 애정관계, 가족관계 심지어 SNS에서 소통하는 사람들과의 관계도 힘들다.
아예 ‘나는 자연인이다 ‘ 처럼 관계를 끊고 산 속으로 들어가고 싶을때도 많다. 하지만 어떻게든 현실에서 관계를 맺고 견뎌야 하기 때문에 이 책에 혜안이 있을 것 같아 정독한 책이다.
살다보니 인간의 무의식은 참으로 다양하다. 자신은 미처 알아채지 못하는 것들의 조합과 무의식 안에는 ‘방어기제’ 라는 것이 있다.
수없이 많은 불만과 참지 못할 정도의 불안이 야기되는 상황에서 그 감정을 피해 갈 수 있는 대안 행동이 나도 모르게 나타나서 관계를 엉망으로 만든다.
엉망으로 변한 인간관계를 이 책에서 저자는 좋은 관계를 맺으려면 마음도 훈련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마음 근육이 튼튼해지면 상처받는 빈도와 강도가 낮아지고, 할 말하고 상처 덜 받는 사람이 될 수 있다.
내 마음을 먼저 읽고, 남의 말에 휘둘리지 않고, 나답게 살며, 나를 성장시키는 마음 훈련법을 연습하면 타인에게 기대하고 혼자 상처받는 일은 더 이상 없을 것이다.
괴테는 “사람은 자신이 아는 것밖에 들을 수 없다”라고 했다. 사람은 누구나 내 기준에서 생각하고 타인을 수용한다. 상대의 의도와는 다르게 큰 상처가 되는 말과 행동이 있다.
그 사람이 무례하고 나쁜 의도가 있었을 수 있다. 하지만 내가 상처받는 진짜 이유는 나 자신 ‘해석’ 때문이다.
적당하고 편안한 관계를 맺으려면 이때 대응하는 마음 훈련을 해야 한다. 마음 근육이 튼튼해지면 상처받는 빈도와 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고 한 개인의 성숙도는 자신을 얼마나 객관화하여 제3자의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고 생각한다.
자신에 대한 이해, 수용은 세상과 타인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할 뿐 아니라, 현재 물론 미래의 자신을 개시한다.
오늘 우리사회 사람들의 비극은 닥쳐오는 일과 관계에 파묻혀 정작 자신이 누구인지를 바라보지 못하는데 있는 것을 아닐까.
자아를 찾기 힘들고 관계에 힘들다면 이 책을 한번 읽어보기를 적극 권하고 싶다.
📚 책속으로:
우리가 위로라고 생각하는 말들이 듣는 이에게는 ‘정서폭력’일 수 있습니다. ‘죽은 아이 나이 세기’를 같이 해주고, 망자와의 추억을 함께 되새기고, 슬픔에 빠진 사람 옆에서 손을 잡아주는 게 가장 좋은 위로일 수 있어요.
먼저 상대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말하기는 쉬운데 잘 들어주기란 참 어렵죠. ‘공감’이란 나의 마음을 통해서 상대의 마음을 헤아리는 거예요.
상대의 눈을 바라보고, 고개를 끄덕여주고, 손을 잡아주는 것. 공감은 말이 아닌 행동에서 시작됩니다.
P.S :출판사로부터 해당도서를 지원받아서 작성한 서평입니다.
#도서협찬 #관계에도연습이필요합니다 #웅진지식하우스 #추천책 #박상미 #책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