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더의 역사 공부 - 사마천, 우리에게 우리를 묻는다
김영수 지음 / 창해 / 202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 역사책을 읽는 자가 성공한다. 역사는 현재를 비추는 거울이고, 미래의 길을 제시하는 나침반이다.
역사는 늘 반복되는 것 같다. 평소 역사책과 철학책을 좋아하는 필자는 이런 종류의 책이 서평쓰기 가장 편하고 좋다.
아마 이런 종류의 책을 3천권 이상 읽어서 그런것 같기도 하다.
이 책은 주로 사마천과 『사기』의 정신과 내용을 많이 다루고 있다.
사마천의 생각을 빌려 우리 사회 각계각층을 향해 자성을 촉구하는 글들이 대부분이다.
길게는 10년, 짧게는 1년 전의 글인데도 시사성은 충분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럼에도 정말이지 역사의 진전은 참 더디다는 생각이 들어 씁쓸하다.
하지만 여기서 멈추거나 후진할 수는 없다. 몇 사람이 바뀌었을 뿐 적폐세력은 여전하기 때문이다.
준엄한 역사 평가와 심판은 아무리 시간이 걸리더라도 확실하게 수행하고 넘어가야 미래가 있기 때문이다.
<사기>의 특징은 현실적인 역사관과 명분보다 실질을 중시하고 개방성 있는 화이불분의 역사의식을 갖춘 책이라는 것이다.
사마천은 <사기> 백이열전에서 이렇게 말한다.
“하늘의 이치는 사사로움이 없어 늘 착한 사람과 함께한다고 하지만, 세상사를 보면 착한 사람은 굶어죽고, 천하의 도적은 백수를 누린다. 범법자는 부귀를 누리는 데 , 양심 있게 산 사람은 재앙을 만난다. 이것이 하늘의 도리라고 한다면 옳은 것인가? 그른 것인가?”
사마천은 결심한다. ‘하늘이 구상한 대로 세상과 인물을 재단하지 않겠다. 때로 하늘을 원망하고, 운명을 한탄하는 인물들을 통해서 세상을 그려 보겠다. 그것이야 말로 진정한 역사가 아니겠는가’
이것이 ‘백이열전’ 을 통해 사마천이 말하고 싶은 메시지가 아닐까.
고전 철학을 많이 읽다보면 인간 세상이 많이 보인다. 이런 좋은 책은 일반인들이 잘 읽지 않는 것 같아서 통탄 스럽다.
사람은 자신이 아는 세상, 인정하고픈 세상만 보려한다. 그러면 희한하게도 딱 그만큼만 보인다.
거기서 벗어날 때 새로운 세상이 시작되는데... 우리는 그게 참 힘들다.
📚 책속으로:
역사는 그 자체로 뒤끝이다. 인간의 기억에는 한계가 있고, 또 망각(忘却)이란 조금은 편리하고 타고난 약점이 있기 때문에 지난 모든 것을 다 기억할 수도, 또 기억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역사에는 망각이란 없다.
기억을 잠시 유보해 두는 경우는 있지만, 시대와 백성이 호출하면 언제든지 기억을 되살려 낸다. 그래서 역사의 법정에 공소시효란 없다고 하는 것이다. 현명한 사람은 역사에서 배운다.
#역사 #사마천 #사기 #필독서 #리더의역사공부 #김영수 #한국사마천학회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