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 좀 칭찬해줄래? - 칭찬과 인정, 관심과 무시는 어떻게 우리를 움직이는가
이동귀.이성직.안하얀 지음 / 타인의사유 / 2020년 11월
평점 :
✅ 우리는 SNS에서 ‘좋아요’라는 말을 듣기 위해 일부러 연출된 콘텐츠를 만든다.
우리는 누구나 ‘인정 욕구’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관종’이란 말은 ‘인정 욕구 중독자’의 다른 말로, 적당한 관종은 자기표현과 PR을 잘하는 사람으로 여겨지지만 대부분은 그 선을 넘으며 손가락질의 대상이 되곤 한다.
문제는 인정받지 못해도 상관없다고 생각하는 사람 역시 이런 욕구와 관계가 없지 않다는 사실이다. 사람들은 처음에는 가벼운 마음으로 SNS를 시작하지만 어느새 타인의 평가에 연연하게 된다.
SNS에 혹은 카페 게시판에 게시물을 올린 뒤 조회 수가 얼마인지, ‘좋아요’가 얼마나 눌려졌는지 수시로 확인하지 않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사람은 인정받으면 받을수록 거기에 매달린다. 노력해서 만든 몸을 자랑하고 싶어 SNS에 사진을 올렸다가 ‘좋아요’를 꽤 많이 받자, 사람들의 기대에 어긋나지 않으려고 무리하게 운동하고 체중 감량을 하는 경우는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또한 ‘난...ㄱㅏ끔... 눈물을 흘린ㄷㅏ...’와 같은 감성 글과 함께 슬픈 표정의 셀피를 게시하는 사람들, 주사 바늘이 꽂힌 팔을 그냥 두지 않고 사진 찍어 아픔을 전시하는 사람들, 코로나 시국에 해외여행이나 파티를 한 사진을 올리거나 거짓으로 코로나에 걸렸다고 글을 쓰는 바람에 논란의 중심에 서는 사람들까지....
절대 다수에게 주목받고 싶어 하는 사람들은 수없이 많다. 그들을 비난하지만 한편으로는 전혀 그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는 건 아니다. 경중의 차이만 있을 뿐, 우리는 누구나 ‘인정 욕구’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사실 남들에게 인정받고 싶은 마음은 인간의 자연스러운 본성이며, 우리는 자신의 생각이 적절한지 혹은 자신이 능력 있는 사람인지를 타인의 피드백을 통해 확인받고자 한다.
문제는 인정 욕구가 지나칠 경우 남들의 인정이 내 삶의 우선순위로 등극하고,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느라 패턴처럼 비슷한 문제를 반복해서 일으킨다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인정 욕구에 대해 잘 이해하고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되면, 뜻하지 않게 서운해하거나 상처받는 일을 방지하고, 자신이 바라는 삶의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좋은 모습만 보여주려고 무던히 애쓰며 나를 숨기거나,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하느라 긴장할 필요가 없다.
인정받고 싶은 내 마음을 이해하고, 관계를 윤택하게 해줄 새로운 방법을 연습하다 보면, 사람들 속에 있는 것이 훨씬 자유롭고 편안해진다. 우리 모두 가끔 가식이 없고 미움받을 용기로 살면 어떨까.
📚 책속으로:
자기 과시 혹은 자기 포장 모두 자존감을 지키기 위한 시도입니다. 사람들은 자존감을 위협받는다고 느끼면 재빠르게 방어 태세를 취합니다.
타인의 부정적인 평가가 예상되면, 소중한 자존감을 해치려는 시도로 느껴 극도로 긴장하게 되죠.
이때 사람마다 취하는 방어 태세가 다른데, 어떤 이는 공격적으로 반응하기도 하고, 또 어떤 이는 타인에게 큰 호의를 베풀어서 부정적인 평가를 피하려 합니다. ‘좋은 게 좋은 거’라며, 불쾌하거나 부당하다고 해석한 상황을 어물쩍 넘어가는 경우 역시 이런 노력의 일환입니다.
#나좀칭찬해줄래 #타인의사유 #책 #글 #자기개발 #인정욕구 #온택트무형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