풋 워크 - 242억 켤레의 욕망과 그 뒤에 숨겨진 것들
탠시 E. 호스킨스 지음, 김지선 옮김 / 소소의책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의 발을 편안하게 지켜주면서 우리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것중의 하나가 바로 신발이다.

신발은 단순히 신는것이 아닌 패션제품으로도 사용되어진다.

한 예로 나이키의 제품들은 어떤 제품들은 일반 신발가격보다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해서도 사려는 사람이 많은 제품이 존재하는 것처럼 신발은 단순한 신는것이 아닌 우리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자리매김해왔다.

하지만 그 신발이 어떻게 오고 그 신발을 버리면 어떻게 되는지 한번도 생각을 해본적이 없다.

 

신발제품이 만들어질때는 많은 노동이 들어가는데 특히나 인건비가 싸게 쓰기위해 아동의 노동력을 사용되어 지는 품목중의 하나이다. 사실 이 책을 읽으면서 신발이 많은 아동의 노동력이 쓰이는 제품인지 처음 알았다. 전세계에서 만들어지는 신발이 이?j게 만들어진다니 너무나 놀라웠다.

다국적 기업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노동력을 이렇게 얻고 있다. 그리고 이 노동력은 이제는 사용될 필요도 없어질것이다.

바로 로봇의 발전으로 인해 이 노동력들도 없어질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너무나 아이러니 하다. 쉽게 사용하여 노동력을 쓰지만 이것도 아쉬워하는 이들 역시도 머지않아 로봇에 의해 자신들의 일거리 역시도 없어진다는 것이 너무나 슬프지 않는가? 누구나 쉽게 쓰고 버리는 신발이 이런 이야기가 존재할줄은 너무나 몰랐다. 그래서 이렇게 많이 만들어지고 버려지는 신발은 어디로 가는것일까? 이 신발의 재활용을 위해 노력하는 이들이 존재하지만

이 신발의 특성상 너무나도 힘들다고 한다. 우리가 신는 신발에 들어가는 색감 그리고 플라스틱이며 신발을 만들때 이 신발이 버려졌을때를 생각하지 않고 만든다고 한다. 그래서 마지막에 재활용을 위해 이 신발을 분해하기는 너무나 어렵다고 한다.

그리고 신발의 미를 위해 철제라도 들어가 있는 순간 그 난이도는 더 높아진다고 한다.

 

사실 나는 신발을 버릴때 드는생각이 이 신발은 바로 쉽게 나뉘는줄 알고 있었다. 하지만 이 신발이 쉽게 재활용이 안되는 것 역시 너무나 놀라웠다. 이렇게 쉽게 스는 신발 마져도 우리는 아무것도 모른채 사용하고 있던것이다. 물론 이 모든것이 한번에 바뀔수도 없다. 하지만 신발을 사면 아이들에게 신발을 한켤레 제동하는 기업도 있듯이 조금씩 바뀌는게 어떨까? 지구를 위해 신발을 만드는 기업들 역시도 이 신발을 마지막까지도 고려해야하는 시기가 온것이 아닐까? 기업 역시도 이제는 환경을 고려해야 하지 않을까? 여러분들은 어떤 신발을 신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의하지 않습니다 - 내 말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과 웃으면서 소통하고 해결책을 찾는 법
마이클 브라운 지음, 윤동준 옮김 / 알파미디어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살아가면서 아주 많은 갈등에 마주친다. 그로인해 우리는 상처를 받기도 하고

저자 역시도 갈등으로 인해 자신이 만들었던 최고의 팀이 와해되기도 하고 자신이 믿었던 이들과 싸우기도 하였다.

이 책의 제목과도 같은 이야기를 들으면 그때부터 그곳의 온도는 달라진다. 특히나 회의를 하고 있을때

저 말이라도 들린다면 그 회의의 시간은 길어지다 못해 고성이 오가는 전쟁터로 바뀌고 만다.

이렇듯 우리는 어느 곳에서나 갈등을 겪고 있는데 이것을 줄일 수는 없을까?

 

이런 회의들을 하면 결론은 똑같지만 관점이 달라 갈등이 생기는 경우도 많다.

나와 의견이 달랐던 이와 나의 의견이 달라 갈등이 깊어졌다. 하지만 지금와서 생각하면 결국 똑같은 결과를 내지만 

서로 처한 상황이 달라 갈등이 나올수 밖에 없었다.

그렇기에 우리는 자신이 말하는것이 완벽히 맞다는 이 믿음을 없애야 한다. 내가 하는 말이 최고로 맞다는 이 생각을 없애기전에는

누구라도 갈등이 만들어 질수 있다는 것이다. 그 역시도 자신의 생각이 맞다는 것을 계속해서 나에게 주장해왔고 우리는 그렇게 계속해서 갈등이 커질수 밖에 없었다. 물론 다른 사람들과 상사들의 의견으로 인해 우리의 의견을 다시금 하나로 만들어졌지만 그때 우리는 서로를 생각하는 자신이 완전하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면 조금 더 빠르게 의견을 맞추고 갈등을 안만들어도 되지 않았을까?

 

그리고 이것은 한번씩 느끼는 감정이 있는데 저사람이 말하는것에 대해서는 맹목적인 적대감이 있을때가 있다.

나 역시도 내가 싫어하는 이가 어떤 의견을 말하면 잘 생각하지도 않고 싫어한적이 있다. 끝나고 나서야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그때는 너무나 싫어 어떠한 말이라도 하면 다 싫어했던 기억이 있다. 이것이야 말로 협업을 방해하고 자신뿐만 아니라 모두에게 좋지 않았지만 그때는 너무나 싫었다. 사람들 역시도 그런 생각을 가질수가 있다. 그래서 조금은 심호흡을 하면서 생각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아무리 싫어해도 그것이 좋다면 우리는 그것을 따르는게 우리에게 이익이라는 것을 잘 알기때문이다.

 

우리는 다른 이의 말을 경청함으로써 협업을 이끌어 낼수 있다. 자신의 말을 잘 들어주지 않는 이들에게 협업을 바라면 되지 않는다. 자신이 그들의 말을 경청하고 이야기 한다면 조금더 협업의 길로 갈 수 있지 않을까?

지금 여러분들은 어떤 말을 하고 있습니까?

동의하지 않습니까? 그것은 맞지 않습니까?

이제는 같이 한번 생각해봅시다가 어떻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돌보는 사람들 - 버지니아 울프, 젤다 피츠제럴드 그리고 나의 아버지
샘 밀스 지음, 이승민 옮김 / 정은문고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하는 사람이 산산히 부셔졌다면.. 과연 어떻게 해야할가?

저자의 아버지는 저자가 세살때 조현병이 발병한다. 그리고 그녀는 커가면서 자신의 아버지를 돌본다. 

어머니 역시 아버지를 돌보기 위해 모든것을 뒤로한채 돌봄에 모든것을 신경쓸수 밖에 없었다.

그 어릴적부터 그녀는 그렇게 해왔고 커서도 자신을 간병인으로 부르는 사람들에게서 이 간병인이라는 단어가 너무나

낯설게 느껴지는 것을 느꼈다.  누군가를 돌본다는 것은 쉽지 않아. 우리가 아기를 낳아 기르는것 역시 많은 힘을 쓰는일인데

다시 큰 사람들을 돌본다는 것. 나를 돌보던 사람들을 다시 돌본다는 것은 너무나 쉽지 않다.

 

간간히 TV에서 나오는 몇신년동안 돌봄을 하다가 부모를 살해하고 자신도 자살하는 슬픈 엔딩으로 끝나는 것이다.

그녀 역시도 자신이 자신의 아버지를 돌보면서 많은 생각을 가지게 하고 나라가 지원하는 것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된다.

만약 부모님이 정말로 갑자기 변하게 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그것을 도와주는 것이 있을까?

 

너무너 무섭지 않을까? 내가 믿던 이들이 내가 돌봐야 하는 사람들이 된다면 나는 어떻게 해야할가? 글을 읽으면서도

나는 어떻게 해야할까?라는 생각이 계속해서 머릿속에 돌고 돌았다.

그것을 묵묵히 행하는 가족들을 보면서 아픈 이들은 어떤것을 느낄까? 그녀는 자신의 어머니를 보면서 아픈 아버지를 돌보면서 불륜이 필요했던것을 납득하는 것을 보면서 이 돌봄이라는 것이 얼마나 힘들고 괴로웠는것을 알수가 있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변하는 것을 지켜보는 것이 얼마나 힘이들고 그것을 이겨내기 위해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힘이 드는지를 이 책을 보면서 다시금 걔닫게 된다.

지금도 나는 계속해서 머릿속을 도는 그 질문을 대답하지 못하고 있고 나의 부모님이 정말로 이렇게 아파진다면 과연 

나는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지금도 계속해서 부모님의 건강을 빌수밖에 없다.

나의 사랑하는 사람들이 건강하게...

여러분들은 이런 돌봄을 겪어본적이 있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닝 - 인생이라는 무자비한 레이스에서 가차 없이 승리하는 법
팀 그로버.샤리 웽크 지음, 이수경 옮김 / 갤리온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모두 승리를 위해 살아간다. 누군가와의 경쟁에서 또는 나자신과의 경쟁에서도 이길려고 살아간다.

그래서인지 이 책에서나오는 말이 더욱더 내마음에 걸렸던것 같다.

 

이 책에서는 총 13가지의 승리하는 법칙을 말하는데 그중에서 하나가 바로 승리는 사소한 차이에서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한번쯤 겪은것이 아닐까? 우리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교육을 받으면서 커왔다.

하지만 어느순간부터 같은 공부를 한 친구들이라도 나와는 점수가 차이가 나는것을 볼수가 있다. 왜 그럴까?

분명히 나와 같은 공부를 했는데 나와 다른점수를 받는다. 이것이 바로 사소한 차이이다. 예를 들어 내가 일할??도 

경력이 없는 사람들과 나와의 차이는 거의 없다. 배운것도 비슷하지만 다른것은 바로 이 사소한 차이이다.

그들은 그냥 넘어가는 것을 나는 조금더 확인하고 찾다보면 그들과의 차이가 벌어지는 것이다.

이것이야 말로 사소하지만 정말로 큰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마이클 조던 역시도 팀 그로버가 이두 운동을 시킬때 다른 코치가 와서 왜 이두 훈련을 시키는지 물어본적이 있다고 한다.

이두는 남들에게 보여줄때 필요한것이 아니냐며 물었는데 팀 그로버는 이것이 사소한 차이로 승리는 얻을수 있다고 말했다.

여러분들도 잘 생각해보면 무엇인가 다른 사소한 차이가 거리를 벌린다는 것을 알수가 있다.

그리고 바로 승리는 이기적이라는 것이다. 누군가가 나에게 도와달라고 한다. 하지만 내것이 끝나지 않고 도와줄수는 없다.

그래서 나는 어쩔수 없이 도와줄수 없다고 하고 내 일을 해야한다. 사실 이렇게 말하면 당연하다고 말할수 있지만 이것은 단적이

이야기이고 나도 모르게 누군가에게 이기적으로 일을 하는 것을 보인적이 있을것이다.

나에게는 아무것도 아닌 나만의 법칙대로 간것이지만 그것이 남에게는 이기적으로 보일수가 있지만

그것은 승리를 위한 것이기에 우리는 그것을 담담히 받아들여야 한다.

 

우리들도 모두가 승리할수 없다는 것을 알기에 우리는 남들과는 다른 사소한 차이나 이기적이라도 승리할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 바로 인생에서 승리를 얻는것이다. 누구나 다 하는 것으로 승리할수 없지 않은가?

여러분들은 승리하기 위해 무엇을 하고 있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럭셔리 코드 - 나를 명품으로 만드는 시크릿 코드
이윤경 지음 / 스타리치북스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품

이 단어가 우리에게 주는 힘을 아는가? 많은 사람들이 첫인상을 볼때 위아래로 스캔을 한다. 그리고 그 사람이 가진 명품을 볼??도 있는데 그것이야 말로 그를 나타내는 척도가 되지는 않지만 그 사람에 대해 모르는 처음에는 왜인지 그 명품이 뿜어내는 아우라가 있다. 우리가 알다시피 이 명품이라는 것은 아주 오랫동안 이어져온 브랜드이다. 그 브랜드를 가져오기 위해 많은 행동을 하지만 그것중에서도 제일 중요한것은 바로 장인정신이 아닐까?

 

장인정신이 가진힘은 어느 누구도 이길수가 없다. 우리가 아는 롤스로이스 역시도 장인정신에 있어 뒤쳐지지 않는다. 롤스로이스를 만들때 자신만의 색깔을 지정할수 있는데 이 색깔이 만들어 지면 다른이들은 사용할 수 없다고 한다. 이런 특이성과 그 한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야 말로 그 명품을 나타내는 척도가 아닐까? 예전에 TV에서 터키에서 유명한 케밥집을 보여준적이 있는데 그 케밥집 역시도 아주 오랫동안 되어서 오랫동안 일한 요리사들이 있었다 그들은 10년인가 일할때마다 별을 달아주는데 사장이 직접달아준다고 한다. 그리고 그 별을 달 그들의 얼굴에는 웃음이 피어난다. 자신이 하는일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것들이야 말로 그 명품 브랜드를 만들어 내는 힘이 아닐까? 그 힘으로 인해 우리는 비싸도 그것들을 사고 그걸로 자신의 가치고 높아지는 느낌을 받기도 한다. 물론 명품 브랜드가 장인정신뿐만 아니라 그 브랜드에 담김 이야기까지 모든것이 이루어져야 브랜드의 가치를 상승시킨다. 이렇듯 이제는 단순히 명품이라서 이뻐서가 아닌 그들이 가진 생각마저도 읽어야 하는 시대가 왔다.

 

그들이 단순히 물건을 파는것이 아니라 그들이 가진 생각마저도 파는 시대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비싸도 그 명품 브랜드를 사는것이 아닐까? 나 역시도 롤스로이스가 그냥 단순히 장인들이 만들어서 비싼줄 알았지만 자신만의 생깔이나 구매자들을 위한 생각등 이모든것을 생각한다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그들은 구매자들이 그저 물건을 사는사람이 아니라 자신들의 물건으로 인해 더 가치를 상승하게 만든다는 그 이념아래 차를 만들고 제공했던것이다.

이제 우리들도 그들이 가진 생각을 조금은 알아야 그 물건을 살때 더 재미있게 살수 있지 않을까?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명품이 가진 코드는 무엇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