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되지 - P18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지된 예술 작품에 동작의 섬세함을 표현하는 것은 베로키오의 잘 알려지지 않은 재능 중 하나였다. - P62

베르키오의 작업실에서 드레이퍼리 습작에 여념이 없을 당시, 레오나르도는 윤곽과 가장자리를 흐릿하게 표현하는 스푸마토 기법을 개발했다. - P68

조각가인 베로키오는 인체에 역동성을 부여하는 힘과 뒤틀림을 완벽히 이해했다. - P81

레오나르도는 이미 이때부터 날카로운 자연 관찰자였고, 사물을 비추는 빛을 그림으로 전달하는 기술을 완성해가고 있었다. - P83

그뿐만 아니라 그는 마에스트로 조각가인 베로키오로부터 움직임과 내러티브를 전달하는 즐거움을 배웠다. - P83

레오나르도는 화가가 관찰 대상을 변형하고 전달하는 방식을 새롭게 정의했다. - P88

‘수태고지‘는 레오나르도가 원근법과 광학 공부에 매진하지 않았다면 어떤 예술가가 되었을지 넌지시 알려주는 작품이다. - P90

그의 왜상 기법 작품에는 아직 다듬어지지 않은, 젊은이 특유의 눈부신 기지가 담겨있다. - P91

‘수태고지‘는 불과 20대 초반이던 레오나르도가 빛, 시점, 인간의 반응과 관련된 내러티브에 대해 실험을 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 P92

하지만 혁신과 실험에서 비롯된 이러한 실수조차 그의 천재성을 예견한다고 말할 수 있다. - P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요한 것은 사물을 보는 습관을 기르는 행위입니다. - P14

보고 있는 것을 줄이면 머릿속을 넓게 쓸 수 있습니다. - P31

균형 잡힌 사고를 하지 않으면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 될 수 없습니다. - P45

같은 것을 생각하더라도 의식적으로 다른 방법으로 생각해 보는 것도 하나의 연습법입니다. - P55

따라서 만약 어떤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여러분의 정보 그 자체가 머릿속에 벽을 만들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 P57

스스로 어떤 선입관을 가지고 있는지 확실히 분간하고 있으면 함정을 피할 수도 있습니다. - P57

무엇이 문제인지를 확실히 하는 일이 늘 간단하다고만 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아주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 P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런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는다면 우리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경험이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대해서 한층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P141

‘경쟁‘이라는 영어 단어인 ‘compete‘의 어원은 ‘함께 추구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con petire‘이다. - P142

즉 플로우 활동은 개인에게 발견의 느낌, 새로운 세계를 접하는 듯한 창의적 꺠달음을 준다는 것이다. - P144

자신이 실제로 지니고 있는 능력뿐만 아니라 본인 스스로가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능력도 아주 중요하다. - P146

그렇다고 해도 경험의 질을 높이기 위해 우리가 밟아가는 과정은 그 자체로 문화에서 아주 중요하다. - P149

또한 의식을 어떻게 통제할 것인가를 아는 것도 필요한데, 이는 대부분의 사람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배우지 못한 기술이기도 하다. - P160

이 두 번째 조건이란 바로 플로우를 경험하게 하는 의식의 재구성 능력이다. - P1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삶의 질이라는 것의 실체는 타인이 우리를 어떻게 보는가 혹은 우리가 무엇을 소유하고 있는가로 직접적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 P96

쾌락은 삶의 질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그 자체로는 행복을 가져오지 못한다. - P98

쾌락을 주는 경험은 즐거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쾌락과 즐거움이라는 두 가지 정서는 같지 않다. - P99

달리 말하면, 그림이나 조각을 보는 것과 같은 수동적인 즐거움조차도 그 예술 작품이 함유하고 있는 도전성과 관련이 있다. - P106

감상 능력에 비해 너무 단순한 음악은 지루할 것이며, 반면에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이 미치지 못하는 어렵고 복잡한 음악은 좌절감을 안겨줄 것이다. - P109

플로우를 경험할 때의 집중은 의식에 질서를 제공하여 네겐트로피, 즉 즐거운 마음 상태를 제공한다. - P120

응답자들이 실제로 묘사하고 있는 건 자신의 경험을 통제한다기보다는 통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다. - P120

반면 주관적 위험은 등반가의 기술 부족으로 발생하는 사건을 말한다. 이를테면, 자신의 능력을 감안하여 등바늬 어려움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것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즐거운 활동은 명확한 목표, 확실한 규칙, 기술과 조화되는 도전이 있기 때문에 자아가 위협받을 기회가 극히 적다. - P126

그리고 자신이 누구인가를 일시적으로 망각하는 건 아주 즐거운 경험일 수 있다. 자신에 대한 생각에만 매몰되지 않을 때 실제로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생각을 확장할 수 있다. - P127

플로우 상태에서 대부분의 사람은 시간이 너무나 빨리 지나가는 것 같다고 말했다. - P130

최적 경험의 핵심 요소는 그 경험 자체가 목적이라는 것이다. - P131

아이들을 훌륭한 시민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교육시키는 건 자기 목적적 경험이 아닌 반면, 아이들과의 상호 반응을 즐기기 때문에 교육을 하는 건 자기 목적적 경험이다. - P132

불은 우리 몸을 따뜻하게 해줄 수도 있지만 집을 태워버릴 수도 있다. - P134

자유의 대가는 영원한 경계심이다. - P136

즉, 플로우의 유용한 형태를 극대화하고, 해로운 형태를 극소화하는 방법을 발견해내야 한다. - P1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