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상화가들도 과학자들이 쓰는 것과 비슷한 방법론을 써서 목표를 성취하곤 한다는 것을 보여주려 한다. - P12

마음의 과학인 심리학과 뇌의 과학인 신경과학의 융합이었다. - P15

미국 화가들은 유럽의 영향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로서 ‘추상표현주의‘를 창안했다. - P21

감상자는 자신의 경험과 갈등이라는 관점에서 이 모호함에 반응하며, 그럼으로써 그 이미지를 창조한 화가의 경험을 어느 정도 재현한다. - P32

감상자의 기여 범위가 이미지의 모호한 정도에 달려 있기 때문에, 알아볼 수 있는 형상을 가리키지 않는 추상미술 작품은 구상미술 작품보다 감상자의 상상을 더욱 요구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 P33

클로인은 우리가 물질적 대상을 보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서 반사된 빛을 보는 것이라고 썼다. - P35

따라서 우리가 지각하는 어떤 3차원 대상의 실제 원천이 무엇인지는 본질적으로 불확실하다. - P35

하향 정보는 이미지를 개인의 심리라는 맥락에 놓으며, 그럼으로써 이미지는 사람마다 다른 의미를 지니게 된다. - P37

이런 면에서 화가가 물리적, 심리적 현실을 그림에 담는 과정을 우리 뇌가 일상생활에서 펼치는 본질적으로 창의적인 활동들과 서로 통한다. - P39

그러나 우리 눈이 행동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맞지만, 눈은 완성품을 뇌에 제공하는 것이 아니다. - P41

대뇌 피질의 이 두 병렬 처리 흐름은 ‘무엇경로‘와 ‘어디경로‘라고 불린다. - P43

막대세포는 빛의 세기에 아주 민감하며, 흑백을 감지하는 데 쓰인다. 반면에 원뿔세포는 빛에 덜 민감한 대신에, 색깔에 관한 정보를 전달한다. - P43

낮은 수준의 처리는 망막에서 이루어지며, 이미지의 검출을 담당한다. - P46

중간 수준의 시각은 어느 표면과 경계가 특정한 대상에 속한 것인지, 배경에 속한 것인지를 식별한다. - P46

높은 수준의 시각 처리는 뇌의 여러 영역에서 오는 정보들을 통합하여 우리가 본 것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과정이다. - P46

즉, 시지각은 세상을 보여주는 단순한 유리창이 아니라 사실상 뇌의 창조물이다. - P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운동을 많이 한 사람이 공간기억력을 측정하는 검사에서 더 높은 점수를 얻은 것이다. - P189

운동은 노년기뿐만 아니라 일생에 걸쳐 뚜렷이 뇌를 성장시키는 요인이 된다. - P192

이야기는 해마가 커지는 데서 끝나지 않는다. 수많은 연구가 운동을 하면 피질의 크기도 커진다는 점을 입증했다. - P197

1주일에 약 10~15km 정도로 규칙적인 걷기 운동을 한 이들은 다른 이에 비해 전두엽, 후두엽, 해마 영역의 회색질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증가했다. - P198

운동은 세포의 에너지 발전소 역할을 하는 미토콘드리아의 생성을 촉진한다. - P2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소가 뇌에 공급되면 도로 확장에도 도움이 된다. - P99

BDNF는 추상적인 사고와 의사결정을 관장하는 전두엽의 신경세포를 치유하고 보수함으로써 최고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돕는다. - P102

건강한 뇌파는 4대 핵심 전략에 속하는 신경세포 생성과 뇌의 도로 확장에도 도움이 된다. - P109

감성지능은 타인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데 필요한 능력이다. - P114

그랬더니 유전인자보다 환경이 지능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 P116

환경은 유전자가 어떻게 발현되느냐를 조절하며 이러한 현상을 후생유전이라고 한다. - P1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지만 아무리 골상학을 과학으로 여기지 않았다 해도, 그는 얼굴 표정에 근본적인 감정의 이유를 드러낸다고 믿었다. - P169

열 가지 코 모양, 열한 가지 얼굴형, 범주화될 수 있는 다양한 성격 등을 짤막한 단어로 기록하는 것이었다. - P170

그가 말장난을 이용하는 한 방식은 암호, 그림문자, 글자 조합 수수께끼를 만들어내는 것이었다. - P175

"내러티브 그림에서는 정반대의 인물을 잘 섞어야 한다. 정반대의 인물들은 특히 서로 가까이 배치했을 때 선명한 대조를 이루기 때문이다." - P184

레오나르도는 자신이 무척 좋아했던 인체와 건물 사이의 유사성에 관한 철학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 P197

또한 이것은 인간 개개인이 지닌 존엄, 가치, 이성을 높이 평가하는 인문주의적 이상을 상징하기도 한다. - P214

그는 이런 주제에 대해 고민하면서 순전히 자기 경험과 독서에만 의존하지 않고 친구 및 동료와의 대화를 통해 생각을 키워나갔다. - P214

다양한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우연히 마주치는 물리적인 화합 장소에서 종종 새로운 아이디어가 태어난다. - P215

이 때문에 그는 고전 작품의 재발견을 통한 지식의 부활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던 전형적인 르네상스인과는 결이 달랐다. - P228

그리하여 레오나르도는 경험과 전수된 지식 양쪽의 제자가 되었다. - P232

이론 지식 없이 실습에만 골몰하는 사람들은 방향타나 나침반이 없고 자신이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는 선원과 다름없다. - P234

그의 탁월한 관찰력은 초능력이 아니라 노력의 산물에 가까웠다. - P239

깊은 관찰은 반드시 단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P239

"순간에는 시간이 없다. 시간은 순간의 움직임을 통해 만들어진다." - P24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네브라 데벤치‘에는 단단하게 말린 윤기 있는 곱슬머리와 파격적인 4분의 3 각도 등 레오나르도의 놀라운 흔적이 남아 있다. 무엇보다 이 그림은 ‘모나리자‘의 등장을 암시한다. - P96

하지만 많은 예술가에게 그랬듯, 이러한 상황은 장애물이 아닌 자산임이 밝혀졌다. - P108

다시 말해 뼈대부터 세우고 피부를 붙이고 그 위에 옷을 입혀야 한다는 알베르티의 조언을 레오나르도는 굳게 믿고 따랐다. - P114

그는 인물의 심리를 포착하기 위해 가벼운 스케치와 수정을 사용했다. - P116

"인물의 사지를 뚜렷한 윤곽선으로 그리지 말라. 그렇게 하면 모든 선을 한 버네 정확히 그리고자 하는 많은 화가와 같은 운명을 맞게 될 것이다." 그는 이와 같이 조언했다. - P116

그에 따르면 훌륭한 화가는 "팔다리의 위치와 자세를 폭넓게 잡은 다음, 무엇보다 내러티브 속에서 인물의 심리에 어울리는 동작을 선택해야 한다." - P117

아기 예수를 비롯해 그림 속의 거의 모든 인물이 각자의 감정과 관련 있는 동작을 취하고 있다. - P117

또한 하나의 내러티브 그림 안에서 같은 포즈가 반복되어서도 안 된다. - P118

그는 늘 자신에게 더 배워야 할 것이 있음을 알았다. 새로운 기술을 익힐 수도 있고 더 좋은 영감이 떠오를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 P126

그는 기하학적 형태와의 유사성을 통해 자연의 힘을 이해해가고 있었다. - P142

비유적 사고를 통해 그는 유통뷰터 폐기물 처리에 이르기까지 도시에 필요한 순환 체계가 무엇인지 고심했다. - P146

레오나르도의 노트는 창조력 응용의 기록을 낱낱이 제공하는, 그야말로 놀라운 뜻밖의 횡재라 할 수 있다. - P150

그는 몇 달 전, 몇 년 전 작성한 페이지로 되돌아가 자신이 진화하고 성숙한 만큼 그 내용을 다듬기도 했다. - P151

"늘 몸에 지니고 다니는 작은 노트에 그 사람들의 모습을 간단한 선으로 기록하라." 그는 이렇게 ㅓㄱ었다. - P168

그러므로 반드시 길잡이 역할을 해줄 스케치가 필요하다. - P1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