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게모니적 남성성의 대상물처럼 존재하는 억압적인 여성성을 거부하다 보니, 이를 본질화하여 저항을 위한 실체적 진실처럼 바라보게 되는 것이다. 어떤 점에서는 남성 중심주의만큼이나, 페미니즘에서도 여성성은 탐구되기보다는 쉽게 가치 절하된다.

그러나 모든 인간은 생애 과정을 통해 그의 인격을 거듭해 재구성하며 살아간다. 여성이 자신의 ‘여성성’을 표현하고 사유하는 방법 역시 지속적으로 변한다.
67


이 부분을 읽으면서 아주 잠깐 <마주>의 나리가 생각났다. 소설의 주인공 나리는 본인이 얼마나 ’여성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아주 잘 안다. 학창시절 친구들 사이에서부터, 대학생 때 남자친구에게서, 가족 안에서, 사회에서. 스스로가 어떻게 인식되는지를 인식하고 있다. 나 역시 그동안 ”사회화“라는 단어를 농담조로 말할 때 그런 의미로 갖다 썼는지도 모르겠다. 사회가 나를 뭐라고 부르는지 파악하고 그걸 내재화하거나.. 혹은 수행하기. 그 과정에서 잡음이 나지 않도록 매끄럽게 처신하는 것.
나리는 그런 균열감을 지고 경계에 서 있는 인물이었다. 그게 친밀감을 형성하는 방식(때로는 전략)일 때조차도 스스로가 귀엽고 쉬폰 원피스가 잘 어울리고 웃을 때 반달 눈이 된다는 매력이 정작 내면에서는 이질감을 불러 일으킨다는 걸 상기하는 여성.

그나저나 이번 책도 너무 좋다. 김현미 교수님의 적확함, 특히 현장 진단(?)이라고 해야할 지 매번 탄복한다. 내게는 동시대를 가장 잘 읽고 풀어주는 저자 중의 한 분.

어떤 점에서 신자유주의가 만들어낸 계급 격차와 불평등은 페미니즘이 주창해온 여성들 간의 연대가 매우 순진한 각본임을 환기한다. 하지만 노동 유연화와 일상의 상품화라는 구조에 포섭된 채 현대의 일터를 경험하는 여성들은 가부장적 자본주의에 ‘끼어들기’ 전략을 통해 ’썩은 파이‘를 나눠 갖는 것이 과연 평등인가 질문을 던지기 시작한다. - P20

… ‘마음의 보수화‘를 겪는다. 이들은 뿌리 박힌 사회적 불평등은 개인이 개선하기 어려우니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을 동원하여 자리를 차지하는 것을 공적이라 인식한다. 이 과정은 청년 세대가 타인의 삶을 평가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친다. 오찬호의 지적에 따르면 이들의 능력주의는 기회와 결과의 평등이나 정의 같은 가치를 압도하고 있으며, 자기 계발을 지속하면서 타인에 대한 기준 또한 엄격해지는 모순에 빠졌다. 이들이 모부로부터 전수한 학벌 및 학력 위계주의는 결국 사회적 부정의로 인해 생겨나는 타인의 고통에 대한 무감함으로 이어진다. (…) 현대의 구성원들은 어떤 영역에서 권력 관계의 낮은 자리에 있고 어떤 영역에서는 기득권인, 모순적인 자리를 점한다. 여성으로서는 젠더 불평등의 피해자이지만 ’모부 찬스‘를 성찰 없이 활용할 때는 기득권의 옹호자가 되는 식이다. 이 속에서 근원적 문제를 향하는 실제적인 변혁은 일어나지 않는다. - P46

의견을 표명하는 대신 듣는 미덕을 갖춰야 한다는 등의 규범도 여성성의 지표다. 이렇듯 늘 과장되고 협소한 방식으로 다뤄지는 여성성은 보여지는 것 이상의 내재적 가치 혹은 실행적 자질로서 사유되기 어렵다. 이런 방식으로 상상된 여성성은 종종 특정 여성을 조롱하거나 경멸하는 데 사용된다. - P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때문에 딸이 일터에서 여성에게 기대하는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모부는 일터 밖에서 이 과정에 참여한다. 특히 기업이 원하는 여성 신체를 만들어내는 데 중산층 모부는 상상 이상으로 관여하는데, 중요시되는 것은 ‘팔릴 수 있는 느낌’을 만드는 일이다. 신자유주의는 모든 개인에게 자기 책임의 정치학을 활성화시키고, 개개인이 적절한 공적 태도를 갖추도록 자기 통제의 미덕을 강조한다.
여기서 모든 노동자는 자기 노동력의 가치를 증명하는 것만큼이나 일터에서 요청하는 규칙과 질서를 배워나가는 데 힘을 기울여야 한다. 그리고 이 질서를 살고 있는 모든 사람이‘팔릴 수 있는 느낌‘을 갖기 위해 감정적 스타일과 신체에 대한 기대들을 학습한다. 일터에 진입하는 사람들은 몸, 감정, 태도를 모두 동원하여 시장성을 만들어내야 할 뿐 아니라, 자신이 사회 구성원이 될 가치가 있는 존재인가를 끊임없이 심문하면서 스스로의 가치를 측정해나간다. 이런 주체 만들기 과정은 젠더화되어 있는 동시에, 경제적 자원이 요구된다. 따라서 계급적 성격을 띤다. - P36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곡 2023-12-22 14:1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유수님! 미리 메리 크리스마스 ~~~ ㅋㅋㅋ 추운데 건강 조심하시고 연말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유수 2023-12-23 00:06   좋아요 1 | URL
😉🎄❣️

서곡 2023-12-26 21: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댓글을 크리스마스 지나고야 봤습니다 뭔가 불찰이 있었나 봅니다. 한 해의 마지막 주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어떤 점에서 신자유주의가 만들어낸 계급 격차와 불평등은 페미니즘이 주창해온 여성들 간의 연대가 매우 순진한 각본임을 환기한다. 하지만 노동 유연화와 일상의 상품화라는 구조에 포섭된 채 현대의 일터를 경험하는 여성들은 가부장적 자본주의에 ‘끼어들기’ 전략을 통해 ’썩은 파이‘를 나눠 갖는 것이 과연 평등인가 질문을 던지기 시작한다. - P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라딘에서 선물 주셨어요. 엠블럼. 메달. 달인. 제겐 거한 듯한데 고맙습니다. 쪼꼬 묻은 손으로 아이가 메시지를 읽어주더군요. 달력과 다이어리도 낼름- 가져가더랍니다.
서재 들러주시는 분들, 가끔 알 수 없는 땡스투들. 고맙습니다. 연말은 이렇게 다른 마음들에 묻어가기가 좋아서요. 한동안 기록하는 걸 등한시했는데 다시 기지개 켜봅니다.

이미 그러고 있으면서도 누가 읽는다고 생각하고 페이퍼 쓰는 게 왜인지 멋쩍었는데 그런 것도 좀 덜 어려워해보려고요. 삼키고 마는 말들. 좀 꺼내놓아도 되겠지요.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유행열반인 2023-12-15 12:4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좋은 건 알아가지고!!!낼름 ㅋㅋㅋ 이거 메달 하나 떡 단 게 뭔가 더 있어 보여요. 받을 만 했고 내년에도 또 받게 제몫까지(?) 유수 같고 주옥 같은 글들 간간히(잔뜩이랬다가 고침 ㅋㅋ) 남겨주시면 제가 나중에 다 무릎 꿇고 정독하겠습니다. (부담과 책임감 줌)

건수하 2023-12-15 13:3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 저랑 완전 같은 구성이네요 ^^ 축하드려요~

유수님 글 잘 읽고 있어요. <시스터 아웃사이더> 땡스투도 했더랬습니다 :)

수이 2023-12-15 14:0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피넛츠 탐납니다!!! 덜 어려워하려고_ 이 말이 제일 반갑고.

오후 2023-12-16 09:5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오오!!👏👏👏

단발머리 2023-12-18 13:1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엄마한테 카드 왔다고 쪼코 묻은 손으로 읽어주는 그 딸래미 칭찬합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서재의 달인, 그리고 아마 북플의 달인인가요? 2관왕 축하드립니다. (참고로 전 서재의 달인만 되었더래요.)
마음대로 안 돼서 가끔 미뤄두기도 하고, 이게 뭐야 던져 놓기도 해도... 그래도, 다시.... 라고 마음 먹었을 때...
그 때 꼭 알라딘으로 오세요. 기다리시는 이웃님들이 이렇게나~~ 많으시네요.
 

와우.. 복간…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수하 2023-12-15 10:3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오…! 크리스마스 선물로 딱이겠어요

유수 2023-12-15 10:37   좋아요 1 | URL
그러네요☺️ 이 책에 추억 있으신 분들 많으시더라고요. 수하님도요?!

건수하 2023-12-15 10:39   좋아요 1 | URL
네! ㅎㅎ 아이도 좋아하면 좋겠는데…. 요즘 ~ 살인사건 이런거 읽는 아이한테 선물하면 어떻게 될까요..? 😂

유수 2023-12-15 10:43   좋아요 1 | URL
즈이집엔 잘 안 읽는 어린이 있는데 함 선물해보고.. 결국 저희가 잘 읽었더라는 반해피엔딩.. ”받을 수 없는 선물“??! 예상합니다😅

건수하 2023-12-15 10:48   좋아요 1 | URL
지금까지 산타 선물에 여러 번 화를 냈었는데… 올해도 그렇게 될 지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