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에노 지즈코, 스즈키 스즈미 서간집 <페미니즘, 한계에서 시작하다> 읽을 때 옮겨적느라 바빴다. 우에노 지즈코가 언급하는 작가들, 궁극적으론 그의 문학론 궁금했는데 검색부터 안되는 이름들도 있었다. 이 책에 그 내용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제 오늘 뒷산. 이 시기 나무 밑동들이 유독 그윽하다. 아래로 시선을 자주 빼앗겼고 애들이 집에 가서 헤이즐 책 보자고 했다.

헤이즐이 살고 있을 거 같아!! 그거 집에 없는데 하니 아니 집에 있는데 (없어.. 도서관에 그 책이 두 권이라 내가 시시때때로 빌려 와서 그래) 있을텐데! 엄마가 잘 못 안 거야.


애들이랑 오랜만에 같이 가서 역시..했다. 여름에 이 핑계 저 핑계로 안 온 것을 아쉬워하는 역시. 그렇게 좋고 좋아하는 책은 집에 모셔놓을 걸 하는 역시. 아이들하고 이렇게 시간을 보낼 수 있다는 걸 까마득히 몰랐던 나한테 이 세계를 보여준 친구 한 분을 떠올리며 역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와해된, 몸 - 크나큰 고통 이후를 살아가다
크리스티나 크로스비 지음, 최이슬기 옮김 / 에디투스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는 재미가 다채롭다. 읽으면서 휙휙 지나간 생각들은..
-북미 작가들의 개 회고는 독립된 장르가 되어야 할 것 같다.
-와해된, ‘몸’에 대한 책이지만 장애 서사로(만) 이 책을 읽는 것은 불가능하다.
-교수님 제게 빅토리아 문학을 더더더 읽어주십시오…
-연결감, 공동체, “자선”, 그런 것이 실제로 있다니?
-온전한 나로 사는 동시에 타인과 함께 사는 것.
-원가족 서사의 고통에 과몰입하지 않고 읽는 새로운 경험.
-가사분담의 새로운 모델. 나는 상상력이 없다.
-제게 시를 더더더 읽어주십시오.. 이대로 끝나면 안돼
-책 밖으로 고개를 돌리면 이동권(만이 아닐)을 위해 몸을 바닥에 놓아야 하는 이 곳

“… 길을 잃은 나에게는 익숙한 것이 절실했다. 그러니 『미들마치』를 찾은 것은 당연했다! 이런 걸 보면 장애에 대해 쓸 때 리얼리즘의 합의가 시키는 대로 따르는 회고록 집필자들을 좀처럼 비난하기가 어렵다. 장애를 가진 채 살아가는 많은 이야기는 출생할 때 발견되는 ˝결함˝으로 추정되는 것, 유전적 이상, 진단 시험 혹은 치명적 부상의 순간에서부터 시작된다. 서사는 장애가 도래한 이후부터 시간순으로 전개되며, 사건들은 암묵적으로 결과순에 따라 표현된다. 시간을 따라 움직이는 것은 동시에 공간을 따라 움직이는 것이며, 당연히 그 공간은 서사가 전개되며 향하는 멀리 떨어진 하나의 소실점에 의해 중심을 잡는 3차원이다. 당신은 책을 읽으며 상상 속에서 그 공간을 떠올리고, 이야기 속에 몰두한 당신 자신을 포함한 모든 인물의 궤적이 구조화된 공통의 지평선을 발견한다. 당신은 잃어 버린 능력을 되찾거나 새로운 능력을 발견하려 애쓰는 이야기 속 장애를 지닌 인물을 따라 그 상황으로 들어가고, 좌절과 낙담을 거쳐 인내해야만 하는 인물에 공감한다.
작가와 독자는 둘 다 상식에 의지하고 이야기는 처음부터 끝까지 순차적으로 이동한다.”2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앤드루 포터 지음, 김이선 옮김 / 문학동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어났던 일, 그럴 수 밖에 없던 일들에 관한 회고. 세필로 이루어진 최선의 고찰. 여러 기준이 있겠지만 아름다움에 관해서라면 십분 수긍하게 되는 문장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솔잣새의 구과수 사랑은 노래에도 흔적을 남겼다.

내 몸은 불편하지만 나무들은 편안하다. 낭창낭창한 가지는 흐름에 순응하여, 휘어지면서 바람의 힘을 분산한다. 저지대 소나무와 달리, 고지대 구과수의 바늘잎은 철사나 가시처럼 질겨서 바람의 짓뭉개고 잡아 뜯는 힘에 저항한다. 이곳에 참나무나 단풍나무가 있었다면 가지가 꺾이고 잎이 너덜너덜해졌을 것이다. 산지 구과수의 억센 바늘잎과 유연한 가지는 이 숲 특유의 바람발 소음을 일으킨다. 아마도 이 소리가 솔잣새의 노래를 빚었을 것이다. 바람에서 나무로, 나무에서 새소리로. - P1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