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권 carte blanche

포카리 focarii[난롯가(가정)의 여인들]


로마의 붕괴 후에도 교회만은 그대로 살아남아 나름의 권리를 갖는 권력으로 등장했다. 이는 서양의 섹슈얼리티 전반에 끔직한 결과를 가져왔다. 특히 여성에게는 더욱더 그랬다. 저술가 엘리자베스 피셔가 『여성의 창조:성적 진화와 사회의 형성』에서 주목했듯이 "그리스도교는 여성에 대한 유대인의 불신을 받아들였고 히브리인의 윤리를 좀더 엄격하게 해석함으로써 그리스도교 나름의 여성에 대한 억압을 가미했다. 중요한 것은 금욕이 이상화되면서 그것이 신체에 대한 혐오와 성행위에 대한 심각한 저주로 변질되었다는 사실이다." - P112

또한 막달라 마리아는 그리스도교의 또 다른 마리아의 효과적인 대응점으로 기능했다. 그러나 예수의 삶에서 이 두 여인이 갖는 상대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초기 그리스도교 교회는 신속하게 여성적 원칙들을 거부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며 점점 더 여성 혐오적인 태도를 보였다. … 서에 대한 공포가 그리스도교의 바탕이 되었고, 이는 신흥 종교인 그리스도교가 몰락해가는 로마 제국의 도덕 생활과 감각적 삶에 대응한 결과였다.

이 가튼 금욕주의가 그리스도교 가르침의 두드러진 요소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훗날 그리스도교의 전파자들은 초기의 가부장적 사고에 내재된 성 혐오의 전통에 크게 기대고 있었다. 이들 가운데 가장 고결한 인물은 바로 성 바오로였다. …여성에 대한 그리스도의 관대한 태도에 따라 여성은 신흥 종교를 통해 어느 정도 자유와 권위를 누렸다. 여성은 가르치기도 하고 성사를 집전하기도 했다. 그러나 성 바오로 덕분에 그리스도교가 남성 중심의 위게적인 권력 구조로 바뀌기 시작했다. 그리스도교는 로마 제국을 위한 종교적·이데올로기적 도구로 이용될 수 있었고 실제로 그렇게 이용되었다. 바오로는 초기 그리스도교의 텍스트들을 왜곡해쏙 이는 후대 그리스도교교리의 토대가 되었다. 그리고 그의 여성 혐오 역시 교회에 의해 제도화되었다. - P115

교회의 권력 추구와 섹슈얼리티의 부정은 나란히 행해졌다. … 교부들은 일부일처제의 법칙을 꾸준히 조롱해온 남성의 실제 세계를 통제해야 했고 그들은 이를 알고 있었다.

그리스도교 교인이 매춘부를 박해하고 고문하고 ㅓ벌할 수 있는 권한을 얻기까지는 수세기가 걸렸지만 교회는 이미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혐오를 전례없는 수준으로 제도화했다. 이후 종교의 주요세력은 사회의 성적 죄의식과 위선을 떠넘길 배설구로 여성죄인을 선택했다. 여성은 다시 한 번 선과 악으로 구분되었다. … 인류를 죄와 회개의 끊임없는 고리 안에 가둔 죄의식의 확산은 초기 그리스도교의 암흑 시대가 물려준 문화적 유산이었다. 서양 사회는 이제 경우 그 그림자에서 벗어나는 일을 시작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s a child, I lived in a constant state of doubt. I had doubts about the way I was supposed to feel and the way I didn’t. Doubts about the things I did. Doubts about the things I wanted to do. Telling the truth about these uncertainties sounded like a good idea in theory, but in practice I found it often made things worse. I could never tell what information was going to cause a negative reaction. It seemed like I was constantly oscillating between the poles of honesty and dishonesty, and I never knew where I would lan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잘 없는 일이지만 알라딘 적립금을 주셔서 신나게 구경했다. 북펀드는 자주 안 하는데 샬럿 브론테의 저서 중 국내 초역인데 게다가 송은주 번역가님이라고. 와!!




갑자기 존댓말.. 요새 제가 구독하는 뉴스레터 영업합니다. 
김선형 번역가님이 발행하는 제인 오스틴의 편지함. 글만 보면 기세 좋은 물처럼 콸콸 흘러가서 신나게 읽히는데 처음 들어보는 이야기, 특히 ‘고전’과 ‘번역’, ‘고전 번역’이라는 화두에 맞는 정보까지 꽉 차 있어 재밌습니다.

“무수한 작가와 영문학자를 매혹했을 뿐 아니라 현대의 일반 독자들, 심지어 대중소설의 장르 팬덤까지 열렬하게 매료시킨, 그 엄청난 스토리텔링의 동시대성 말이지요. 지금은 조금 낯설게 읽히는 영어 표현들—이를테면 오스틴의 소설에는 ‘personality’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습니다. ‘disposition’이라고 해요. 이 시대에는 ‘개인’이라는 개념이 아직 확립되지 않았거든요—의 장벽을 훌쩍 넘어, 눈앞에서 생생하게 살아 움직이는 듯한 구어체의 생동감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제인은 지금까지도 끝없이 대중문화의 여러 장르에서 다채롭게 변주된다는 점에서, 감히 윌리엄 셰익스피어에 견줄 수 있는 유일한 작가이기도 하지요.” 첫 레터, 젊은 제인의 초상 중에서

아래 링크는 뉴스레터 하단의 공유링크인데 저한테 초대 포인트라는(?) 게 오는, 뭔가 차후에 득이 될 수도 있는 링크 같아요. 신경 쓰이시면 구글에 번역가와 뉴스레터 제목 검색으로 구독하시면 됩니다.

👉 https://maily.so/austenletters/posts/1gz24q3wr3q?mid=10z3wpn5lrl



두번째는 LS 산전의 무가지/ 사외보 보보담입니다. 구독 신청하면 종이책이 배송(연 4회)되는데요. Pdf로도 지나간 호를 볼 수 있어요. 서재분들도 좋아하시는 김연수 작가의 짧은 소설이 근래에는 주욱 실렸던 것 같고, 그때 그때 어느 작가의 글, 누구의 인터뷰가 실리는지는 주제에 따라 달라요. 지역과 역사 문화를 테마로 하니까 여행인문잡지?같기도 하고. 저도 구독한지 오래된 건 아니라서 잡지 성격에 대해서는 더 잘 아시는 분이 계실 것 같은데 ㅎㅎ 어제 받은 이번 호는 숲과 물 사진이 그득한 평소와 다르게 서울, 그중에서도 강남사를 다뤄서 재건축이라는 명제 앞의 오래된 아파트들 사진이 실려 있어 새로웠습니다. 서울을 떠나고서야 느꼈는데 나이 많은 나무들이 베푸는 것을 꽤 누리고 살았구나, 그걸 또 몰랐구나, 생각하던 차라서요. 생각보다 공통점이 많다는 걸 알게 된 정이현 작가님의 산문도 실렸네요. 아무튼 궁금하신 분은 한번 쯤은 종이책으로도 봐보시면 좋을 거 같아요. 종이의 감촉, 향, 수록된 크기부터 압도적인 사진 도판. 넘길 때 설렘..

👉  https://www.lsnetworks.com/html/pr/bobodam.asp

구독료는 둘 다 없습니다. 그럼 이만 총총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25-02-10 08: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우리 브론테 언니 책, 펀딩하고 돌아오는 길입니다. 움하하하하핫! 좋은 정보 감사해요~~
구독도 관심이 가기는 하는데 제가 구독/잡지/간행물 이쪽으로는 ㅋㅋㅋㅋㅋㅋ 사 놓고 안 읽는 쪽은 다 그 쪽이라서요. 그래도 도전해볼까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유수 2025-02-10 08:54   좋아요 1 | URL
제인 오스틴의 편지함은 이메일로 오기도 하고 내용을 좋아하실 거 같은데요ㅎㅎ 단발님 마음가는대로🎶
 

너무 사랑스러운 거 아니야 ㅜ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 장소, 환대 현대의 지성 159
김현경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동안 다시 읽어야지 마음만 먹고 있다가 연휴부터 야금야금 재독했다. 어쩐지 전보다 개운하게 읽어(져)서 감상도 적을 수 있을 것만 같고 오늘 뿌듯하네. 이 기세로!


댓글(3)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쟝쟝 2025-02-09 10:5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서 쓰란 말이다 (챠락-!)

유수 2025-02-09 22:30   좋아요 1 | URL
쟝님 물벼락이라면 써질 것만 같은 기분

공쟝쟝 2025-02-09 22:57   좋아요 1 | URL
채찍이엇는데 물벼락을 맞으시다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