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가 일본에 갔다가 사온 과자 봉지에요. ^ ^ 감납두(甘納豆)라고 읽어요. 달감(甘) 들일납(納) 콩두(豆), 단맛이 들어간 콩이란 뜻이에요. 한문식으로 표현하면 납감두(納甘豆)라고 해야 하죠.

 

아내가 먹어 보라고 주는데, 이상하게 께름칙해서 안먹었어요. "먹기 싫으면 냅둬, 얼마나 맛있는데..." 하며 자기 입에 쏙 집어 넣더군요. '한 번 더 먹어 보라고 권하지... ㅠ ㅠ' 조금 서운했어요. ^ ^

 

설탕에 버무린 10여개의 콩을 소포장하여 다시 큰 봉투에 넣었는데, 포장이 너무 과도하지 않나 싶더군요. 유난히 깔끔떠는 것을 좋아하는 나라라 포장도 그렇게 한 것 아닌가 싶더군요. 이웃 나라들과의 관계도 그렇게 깔끔 좀 떨었으면 좋겠구만...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豆는 전에 다뤄서 빼도록 하겠어요. ^ ^

 

은 입[口: 입구] 안에 들어 있는 그 어떤 것[一]의 맛이 달콤하다는 의미에요. 甘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甘味料(감미료), 甘呑苦吐(감탄고토, 달면 삼키고 쓰면 뱉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물기가 실[糸: 실사] 안으로[內: 안내] 스며들었다는 의미에요. 納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納付(납부), 納稅(납세)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할 겸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허벅지에 써 보시오.

 

   달감, 들일납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허벅지에 써 보시오.

 

   (     )呑苦吐, (     )稅

 

3. 매운 맛이 들어간 콩이란 상호를 한자로 써 보시오.

 

 

3번 문제 풀어 보셨나요? 맵다라는 뜻의 한자가 어떤 것인지 아시죠? 전에 라면 용기를 가지고 다룬 적이 있어요. ^ ^ 

 

자,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잔 먹세그려 또 한잔 먹세그려

꽃 꺾어 술잔 세며 한없이 먹세그려

 

죽은 후엔 거적에 꽁꽁 묶여 지게 위에 실려가나

만인이 울며 따르는 고운 상여 타고 가나 매한가지

 

억새풀, 속새풀 우거진 숲에 한번 가면

그 누가 한잔 먹자 하겠는가?

 

무덤 위에 원숭이 놀러와 휘파람불 때

뉘우친들 무슨 소용 있겠는가?

 

 

호탕하면서서도 허무의 냄새가 짙게 풍기는 송강 정철의 <권주가>에요. 오늘은 이 시와 어울릴 듯한 각자(刻字)를 보도록 하겠어요. 이름하여 醉石(취석)이에요. 취할취(醉) 돌석(石), 취하여 눕는 돌(곳)이란 의미지요. 각자(刻字)의 돌을 보면 취객같은 느낌이 들기도 해요. ^ ^ 이 글씨는 추사 김정희 선생의 글씨에요. 서산시 음암면 유계리에 있어요. 음암면 유계리에는 세칭 한다리 김씨라고 불리는 경주 김씨 세거지(世居地: 대대로 사는 곳)가 있어요. 김정희 선생은 이 가문 출신인지라 이곳을 자주 왕래했다고 해요. 이 각자(刻字)는 그 와중에 남긴 것이고요.

 

취석(醉石)은 동진(東晉)의 시인 도연명(陶淵明)과 관련이 있어요. 그가 거처하던 율리(栗里)에 큰 돌이 하나 있었는데, 도연명은 술에 취하면 종종 이 바위에서 잠을 잤다고 해요. 그래서 사람들은 그 바위 이름을 취석이라고 명명했지요. 도연명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세간과 거리를 두고 은자적 생활을 했던 사람이지요. 그래서 일까요? 취석이란 말에서 탈속적이고 허무적인 냄새가 짙게 느껴져요.

 

날도 좋겠다, 정철의 권주가를 핑계삼아 술 한잔 기울일까요? 그리고 아무 돌이나 취석삼아 누워 하늘 한 번 보고요. ^ ^ 그나저나 추사 선생은 이 취석에서 취하여 잠이 든적이 있었을까요?

 

오늘은 醉 한 글자만 보면 되겠네요. ^ ^

 

는 酒(술주)의 약자인 酉와 卒(마칠졸)의 합자에요. 주량대로 한 껏 마셔 취했다란 뜻이지요. 醉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滿醉(만취), 醉客(취객)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오늘은 문제는 아니내도 되겠지요? ^ ^ 대신에 정철의 <권주가>와는 또 다른 삶의 슬픔을 말하는 공광규 시인의 <소주병>을 읽어 보도록 하시죠. 내일 뵈요~

 

 

술병은 잔에다

자기를 계속 따라 주면서

속을 비워간다

 

빈 병은 아무렇게나 버려져

길거리나

쓰레기장에서 굴러 다닌다

 

바람이 세게 불던 밤 나는

문 밖에서

아버지가 흐느끼는 소리를 들었다

 

나가보니 마루 끝에 쪼그려 앉은

빈 소주병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勉之哉 吾惟自況 而知其免夫矣'를 보도록 하시죠. 음을 직접 읽어 볼까요? 면지재 오유자황 이지기면부의. 풀이는 어떻게 할까요? 힘쓸지어다, 내 다른 이와 견줘보아 (어려움을) 벗어날 수 있음을 알게 되었거니! 자황(自況)은 자비(自比)와 같은 말로 남과 자신을 비교한다란 의미에요.

 

침묵과 웃음밖에 지을 수 없는 처지이지만, 오히려 자신의 처지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묵소거사의 말이 깊은 여운을 남기네요. 저 같으면 말을 못하니 답답해서 화병이 날텐데... 묵소거사의 인품이 어떠했을지 절로 짐작이 갑니다.

 

몇 자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力(힘력)과 免(벗어날면)의 합자에요. 힘든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힘쓴다는 의미지요. '힘쓸면'이라고 읽어요. 勉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勤勉(근면), 勉學(면학)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口(입구)와 五(다섯오, 여기서는 음만 담당)의 합자에요. 자신을 일컫는[口] 1인칭 대명사에요. '나오'라고 읽어요. 吾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吾等(오등, 우리들이란 뜻이에요), 吾輩(오배, 오등과 같은 뜻이에요)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忄(마음심)과 隹(새추, 여기서는 음만 담당해요. 소리값이 좀 변했죠. 추-->유)의 합자에요. 대상에 대해 깊이 생각한다는 의미지요. '생각할유'라고 읽어요. '오직'이란 뜻으로도 사용하는데, 사물에 대해 골똘히 생각하는데서 연역된 의미에요. 여기서는 바로 이 뜻으로 사용됐어요. 惟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思惟(사유), 惟一(유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惟一은 唯一로도 표기해요.

 

는 코를 그린 거에요. 고대 중국에서 자신을 남한테 소개할 때 코를 가리키면서 소개했기 때문에 '자기 자신'이란 의미로도 사용하게 됐는데, 후일 전적으로 '자기 자신'이란 의미로 사용하게 됐지요. 코를 나타내는 글자는 鼻(코비)로 표기하게 됐구요. '스스로자'라고 읽어요. 自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自身(자신), 自尊(자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氵(물수)와 兄(맏형, 여기서는 음만 담당해요. 소리값이 좀 변했죠. 형-->황)의 합자에요. 물이 불어 났다란 의미에요. '더할황'이라고 읽어요. 이 외에도 '견주다' '하물며' 등의 뜻으로도 사용해요. 況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狀況(상황), 況且(황차, 하물며란 뜻이에요)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矢(화살시)와 口(입구)의 합자에요. 대상에 대해 신속 정확하게[矢] 파악하고 표현한다[口]란 의미에요. '알지'라고 읽어요. 知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知識(지식), 周知(주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양 손으로 키를 잡고 있는 모양이에요. 키는 뉘나 검불 등을 골라낼 때 사용하는 도구지요. 지금은 지시대명사의 의미인 '그'라는 뜻으로 사용하고, 본래의 의미인 '키'는 箕(키기)로 표기해요. '그기'라고 읽어요. 其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其他(기타), 其外(기외)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兎(토끼토)에서 丶가 빠진 거에요. 丶는 다리를 의미해요. 토끼가 다리가 안보일 정도로 빨리 달아나 포위망을 벗어났다란 의미에요. '면할면'이라고 읽어요. 免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謀免(모면), 免除(면제)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는 大와 一의 합자에요. 大는 사람을 표현한 것이고, 一은 비녀를 의미해요. 상투를 만들어 비녀를 꽂을 사람, 즉 성인을 의미해요. '사내부'라고 읽어요. 여기서는 감탄의 종결사 의미로 사용됐어요.  이럴때는 '어조사부'라고 읽어요. 夫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大丈夫(대장부), 夫君(부군)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할 겸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힘쓸면, 나오, 오직유, 스스로자, 더할(견줄)황, 알지, 그기, 면할면, 어조사부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免, (      )他, (      )勉, 狀(      ), (      )知, (      )身, (      )等, (      )一 

 

3. 다음을 소리내어 읽어 보시오.

 

  勉之哉 吾惟自況 而知其免夫矣

 

오늘로 '묵소거사자찬'을 마쳤내요. 좀 힘드셨을 것 같아요. 아닌가요? 제가 힘들어서 그렇게 느끼는 걸까요? ^ ^ 다음 시간에는 좀 쉬운 내용으로 찾아 뵙도록 하죠.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不言而喩 何傷乎默 得中而發 何患乎笑'를 보시죠. 직접 음을 한 번 읽어 볼까요? 불언이유 하상호묵 득중이발 하환호소. 해석도 바로 해볼까요? 말하지 않고도 깨우쳐줄 수 있으니 침묵한다하여 해될 것이 뭐 있으며, 시중을 얻어서 알맞게 표현하니 웃기만 한다하여 문제될 것이 뭐 있겠는가.

 

동양 철학에서는 말에 대한 불신이 강하지요. 논어에 보면 '교언영색 선의인(巧言令色 鮮矣仁)'이라 해서 말 잘하는 것과 인(仁)과는 거리가 멀다는 말이 나와요. 유교만 그런 것이 아니라 불교나 도교에서도 마찬가지죠. 참된 진리는 말로 포착하기 힘들며, 말로 유려하게 하면 할수록 진리와 멀어진다는 의식이 강한 것이죠.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진리는 진리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서양철학과는 대조적이에요.

 

위의 구절을 읽으면서 수긍의 마음이 드시나요, 아니면 부정적인 생각이 드시나요? 전, 수긍의 마음이 들던데... 모르긴 해도 님께서도 마찬가지 아니실까 싶어요. 서구사상의 세례속에 살고 있지만 우리 의식의 저변에는 여전히 동양적인 가치관이 깊이 잠재해 있다는 증거가 아닐까 싶어요.

 

자, 한자를 좀 자세히 살펴 볼까요? 일부는 빼겠어요. ^ ^

 

은 두가지로 설명해요. 하나. 말을 한다는 의미의 口(입구)와 음[언]을 담당하는 나머지 글자로 구성되었다. 둘. 上(위상)의 초기 글자인 二와 혀의 의미인 舌(혀설)이 결합된 글자로, 혀 위에서 나오는 것이란 '말'이란 의미이다. 둘 다 의미가 통하죠? ^ ^ '말씀언'이라고 읽어요. 言은 語(말씀어)와 붙여서 많이 사용하죠. 의미차이가 조금 있어요. 言은 대상에 대해 직접 말하는 것이고, 語는 논란을 벌인다는 의미에요. 言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言論(언론), 言辯(언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口(입구)와 兪의 합자에요. 兪는 지금은 '그러하다'란 의미로 사용하지만, 본래는 뗏목이란 의미였어요. 뗏목으로 물 이쪽에서 저쪽으로 건너가듯 말[口]로 건네준다(건너간다), 즉 깨우쳐준다(깨우친다)란 의미지요. '깨우쳐줄(깨달을)유'라고 읽어요. 喩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風喩(풍유), 直喩(직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사람[人]이 무언인가를 짊어지고 있다는 의미에요. 可는 음을 담당하는데 소리값이 약간 변했죠(가-->하). 지금은 '무엇'이라는 뜻으로 사용하고, 짊어지고 있다란 의미는 荷(멜하)로 표기해요. '어찌하'라고 읽어요. 何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如何(여하), 何等(하등)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다른 이[人]에게 상처를 주었거나 입었다는 의미에요. 나머지 부분은 음을 담당하는데 소리값이 약간 변했죠(양 -->상). '상할상'이라고 읽어요. 傷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傷處(상처), 損傷(손상)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彳(걸을척)과 貝(조개패)의 변형과 손[手: 손수]의 변형인 寸을 합친 자에요. 현장에 가서 힘들게 조개를 채취해 얻었다란 의미지요. '얻을득'이라고 읽어요. 得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獲得(획득), 得失(득실)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활[弓: 활궁]을 쏘았다란 의미에요. 나머지 부분은 음을 담당하죠. '쏠발'이라고 읽어요. '피다'라는 의미로도 많이 사용하는데, '쏘다'라는 의미에서 연역된 것이에요. 發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發射(발사), 發芽(발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串(꿸천)과 心(마음심)의 합자에요. 마음이 근심스런 생각에 꿰어있는 상태란 의미지요. '근심환'이라고 읽어요. 患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憂患(우환), 患者(환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자, 정리할 겸 문제를 한 번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말씀언, 깨우칠유, 어찌하, 상할상, 얻을득, 쏠발, 근심환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如(     ), (     )失, (     )處, (     )射,  風(     ),  憂(     ),  (     )論

 

3. 다음을 소리내어 읽고 그  뜻을 풀이해 보시오.

 

   不言而喩 何傷乎默 得中而發 何患乎笑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뵈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默笑之義 大矣哉'를 보도록 하시죠. 義(옳을의, 뜻의) 矣(어조사의) 哉(어조사재)만 알면 읽을 실 수 있을 것 같애요. ^ ^  뭐라고 읽죠? 그렇죠, 묵소지의 대의재! 矣는 단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종결사이고, 哉는 감탄의 의미를 나타내는 종결사에요. 그러면 '默笑之義 大矣哉'는 어떻게 풀이될까요? 그렇죠, '묵소(默笑)의 의미가 참으로 크도다!' 정도가 되겠지요. 여기까지가 그간 읽어 온 내용이 한 단락 마무리되는 부분이에요. 1문단이 끝났다고나 할까요? ^ ^

 

복습삼아 그동안 읽어 온 내용을 연결하여 한 번 읽어 보실까요? 용기를 내서 시~작!

 

當默而默 近乎時 當笑而笑 近乎中 周旋可否之間 屈伸消長之際 動而不悖於天理 靜而不拂乎人情 默笑之義 大矣哉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義, 矣, 哉 세 글자만 살펴보면 될 것 같군요. ^ ^

 

는 羊(양양, 羊은 여기서 선하고 아름답다란 의미로 사용됐어요. 羊의 순한 이미지에서 연역된 의미지요)과 我(나아)의 합자에요. 나를 선하고 아름답게 표현한 모습이란 의미에요. 예절범절에 맞는 모습이란 뜻이지요. 지금은 주로 '옳다, 뜻' 등의 의미로 사용하고, 본래의 의미는 儀(거동의)로 표현하고 있어요. '옳다'란 의미는 본 뜻에서 연역된 것이고, '뜻'이란 의미는 '意(뜻의)'와 음이 같아서 뜻을 가차(빌려 옴)한 것이에요. 義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義理(의리), 意義(의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矢(화살시)와 厶의 합자에요. 화살이 날아가 목표 지점에 머물듯, 하나의 의미 단위가 끝났음을 나타내는 말이지요. 厶는 음을 나타내요. 예를 따로 들 필요는 없을 것 같군요. ^ ^

는 口(입구)와 烖(재앙재, 지금은 '재앙재'를 災로 표현하죠. 烖는 災의 옛 글자에요)의 약자가 결합된 것이에요. 천재지변이 눈에 분명히 보이듯 하나의 의미 단위를 분명하게 구별지어 주는 말[口]이란 의미지요. 이것 역시 예를 따로 들 필요는 없을 것 같군요. ^ ^

 

오늘은 문제를 아니내도 되겠지요? ^ ^ 내일 뵈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