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스타일의 남자를 좋아하세요?"

 

"남자는 그저 처자식 안굶기고 밤일만 잘하면…."

 

윤봉길 의사의 부인 배용순(裵用順) 여사의 묘소 안내판을 보면서 불경스럽게(?) 영화 "수상한 그녀"의 대사 한 대목이 떠올랐어요. 노년의 오말순(나문희 분)은 청춘을 돌려주는 사진관에서 젊은 오두리(심은경 분)로 변한 뒤 뜻하지 않은 여러 경험을 하게 되는데, 그 중의 하나가 젊은 PD 한승우(이진욱 분)와의 연애죠. 한승우는 젊은 외모에 비해 성숙한 말과 행동을 하는 오두리에게서 모성애를 느끼죠. 그러던 어느 날  오두리에게 본격적으로 구애하기 위해 위 물음을 던졌다가 너무도 뜻밖의 대답을 듣고 순간 공황 상태에 빠지죠. 그러다 이내 폭소를 터뜨리죠. 걸쭉한 농담으로 받아들인 거죠. 그러나 오두리의 대답은 농담이 아닌 그녀의 삶에서 체득한 진실한 대답이었어요.

 

배용순, 16살에 1살 어린 신랑 윤봉길에게 시집 와(1922년) 7년간 같이 살면서 2남 1녀를 두었고 10년 뒤인 26살에 남편을 잃었으며(1932년) 시부모와 많은 시동생을 거느린 맏며느리로 살다 82세로(1988년) 생을 마감한 여인. 이 여인에게 남자/남편이란 어떤 존재일까를 생각할 때, 저 오두리의 대답이 가장 적확한 답이 아닐까 싶더군요.

 

그래서 그랬을까요? 배용순 여사는 자신을 의사(義士)의 아내로 여기는 주변의 시선에 부담을 느꼈어요.

 

"덕산면 우리 집에는 봄과 가을이면 소풍 온 학생들이 마당 가득히 들어서서 '윤 봉길 의사'를 기렸다. 나는 학생들이 들이닥칠 때마다 어디론가 숨어 버리고 싶은 충동을 느꼈다. 내가 내 남편의 '장엄한 죽음'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며, 자랑으로 여길 수 없기 때문이다. 나는 남편의 동상이 효창 공원에 세워질 때에도 그 자리에 나가기를 꺼려했고 그 밖에도 남편과 관계된 자리에는 되도록 나서려고 하지 않았다. 한 불행한 아낙네의 삶에 씌어지는 가당찮은 비단옷이 부끄러웠기 때문이다." (털어놓고 하는 말, 뿌리깊은 나무: 1978, 191쪽)

 

조국을 위해 산화한 한 의사의 아내가 한 말이라기엔 너무도 초라해 보이는 말이에요. 그러나 이건 가감없는 진솔한 고백이란 생각이 들어요. 그녀가 원한 것은 저 오두리가 말한 그런 남편과 행복하게 사는 것이었지 지사의 아내라는 화려한 호칭이 아니었기 때문이죠. 그녀에게 지사의 아내라는 화려한 호칭은 남편잃은 자신에게 가해진 또 하나의 고초였던 셈이죠.

 

그러나 저는 그녀의 이런 고백이 되려 의사의 아내답다는 생각이 들어요. 거짓으로 남의 기대에 부응하기 보다는 진솔하게 자기 마음을 표현했기 때문이죠. 경우가 약간 다를 수 있지만 한 친일파의 후손이 내뱉은 다음 궤변과 비교해 보면 그 진솔함은 더 빛을 발하죠: "우리 할아버지가 친일파라면 일제 강점기 중산층은 다 친일파다(이인호 KBS 이사장)."

 

배용순 여사는 돌아가서도 남편과 같이 있지 못해요. 배용순 여사의 묘소는 예산의 충의사에 있고, 윤봉길 의사의 묘소는 서울 효창공원에 있거든요. 한 평생을 한되이 보낸 여인에게 너무 가혹한 처사가 아닌가 싶어요. 명예라는 이름으로.

 

 

배 여사의 한자 이름을 좀 자세히 살펴 볼까요?

 

는 衣(옷 의)와 非(아닐 비)의 합자예요. 특별히 길게 늘어진 옷을 가리켜요. 衣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非는 음을 담당해요(비→배). 옷치렁치렁할 배. 서성거리다란 뜻으로도 사용하는데, 본뜻에서 연역된 의미예요. 늘어진 옷처럼 걸음이 늦춰져 있다란 의미로요. 서성거릴 배. 裵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裵回(배회, 서성거림. 徘徊와 통용) 정도를 들 수 있겠네요.

 

은 卜(점 복)과 中(가운데 중)의 합자예요. 점을 쳐 합당한[中] 결과를 얻었기에 시행에 옮긴다는 의미예요. 쓸 용. 用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用度(용도), 使用(사용)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頁(머리 혈)과  川(내 천)의 합자예요. 머리를 숙여 공손한 태도를 취한다란 의미예요. 頁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川은 음을 담당해요(천→순). 순할 순. 順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順從(순종), 順序(순서)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裵 옷치렁치렁할(서성거릴) 배   用 쓸 용   順 순할 순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使(   )   (   )回   (   )序

 

3. 배용순 여사의 구술(口述) 생애를 찾아 읽고 느낌을 말해 보시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musimm8319 2017-02-06 10:56   좋아요 3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저는 국어선생을 했습니다만 순수한 우리말만 고집해서는 우리 문화의 상당부분을 잃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실감합니다. ‘배용순‘여사의 성함만으로도 한문 한자를 헤아려보게 함에 감탄합니다. 게다가, 배용순 여사 생전의 말씀들까지 소개해 줌으로써 무엇이 옳은 삶인지 깨닫게 해주었습니다.

찔레꽃 2017-02-05 10:38   좋아요 2 | URL
이렇게까지 깊은 관심을... 좋은 댓글은 항상 힘이 된다는 걸 다시 한 번 느낍니다. 감사합니다.

무심이병욱 2017-02-06 10:5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자주 글 보겠습니다.
 

 

 

"아이들에게 (너희가 우리에게) 소중한 존재라는 것을 알려주고 싶어서요."

 

수년 전. 한 지인의 집을 방문했는데, 거실에 아이들 배냇 저고리를 액자로 만들어 걸어 놓았더군요. 당시 지인의 아이들은 대학생과 중학생이었어요. 특별한 액자라 이유가 궁금해서 물었더니 위와 같이 답하더군요. 지인은 자녀 관리(?)가 특별한 사람이었는데, 액자에서도 그 일면을 보게 됐어요. 아이들 배냇 저고리가 있긴 한 것 같은데 어디 처박혀 있는지도 모르는 우리 처지가 떠올라 슬그머니 부끄러워 지더군요.

 

사진의 한자는 은호(誾湖)라고 읽어요. "온화한 호수"란 의미예요. 전고가 있는 말은 아니고 조어(造語)인 듯 싶어요. 그렇지만 어감도 좋고 의미도 좋은 것 같아요. 이곳에 표구를 맡기면 왠지 기품있게 만들어줄 것 같은 느낌이에요(인터넷을 검색해보니 실제로도 표구를 제작하는 분이 실력있는 분이라는 평이 있더군요). 인사동에 갔다가 찍었어요.

 

사진을 찍으며 문득 어머니의 바느질 가위와 자 그리고 아버지의 한지한의사 면허증이 생각났어요. 지인의 배냇 저고리처럼 그것들을 액자로 만들어 걸어 놓으면 어떨까 싶더군요. 할머니 할아버지에 대한 기억이 하나도 없는 우리 아이들에게 뭔가 의미있는 기억을 만들어 줄 수 있지 않을까 싶었던거죠. 괜찮은 생각같지 않나요? 만일 하게 된다면 이 표구사에 맡겨 봐야 겠어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言(말씀 언)과 門(문 문)의 합자예요. 온화한 태도로 간언하여 바른 길로 인도한다는 의미예요. 言으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門은 음을 담당하면서(문→은)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문을 잘 열어 사람들의 출입을 원활하게 하듯 온화한 태도로 간언하여 상대를 바른 길로 인도한다는 의미로요. 온화할 은. 誾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誾誾(은은, 화기애애한 모양. 조용히 시비를 토론하는 모양) 정도를 들 수 있겠네요.

 

는 氵(물 수)와 胡(턱밑살 호)의 합자예요. 호수란 의미예요. 氵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胡는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늘어진 턱밑살처럼 평온한 물이 호수란 의미로요. 호수 호. 湖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湖水(호수), 湖畔(호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誾 온화할 은   湖 호수 호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誾(   )   (   )畔

 

3. 표구나 액자로 만들고 싶은 소중한 물건이 있으면 소개해 보시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yrus 2017-02-01 17:0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한자가 예스럽고 딱딱한 느낌이 나지만, 그래도 의미가 있는 명칭을 붙일 때 한자를 사용하면 나름 간지가 납니다. ^^

찔레꽃 2017-02-01 17:18   좋아요 2 | URL
맞아요~ ^ 6 ^
 

 

적설(積雪)과 한월(寒月)을 대비적(對比的) 배경(背景)으로 삼은 다음에라야만 고요히 피는 이 꽃의 한없이 장엄(莊嚴)하고 숭고(崇高)한 기세(氣勢)에는, 친화(親和)한 동감(同感)이라기보다는 일종의 굴복감(屈伏感)을 우리는 품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니, 매화는 확실(確實)히 춘풍(春風)이 태탕(駘蕩)한 계절에 난만(爛漫)히 피는 농염(濃艶)한 백화(百花)와는 달라, 현세적(現世的), 향락적(享樂的)인 꽃이 아님은 물론이요, 이 꽃이야말로 이 세상에서 우리가 찾을 수 있는 가장 초고(超高)하고 견개(狷介)한 꽃이 아니면 안 될 것이다. 

 

김진섭 선생의 '매화찬' 일부예요. 만연체 문장의 대표적인 글 중 하나죠. 인용문만 해도 한 문장으로 돼있어요. 지금 이런 글을 쓰는 분이 있다면 어디에서도 환영받지 못할 거예요. 하하.

 

선생의 문장이 길긴 하지만 핵심 요지는 간단해요. 굴복감 · 초고 · 견개가 핵심 단어인데, 이 단어로 위 문장을 정리하면 이래요: "매화는 초고하고 견개한 꽃이기기에 보는 이로 하여금 굴복감을 느끼게 한다."

 

확실히 매화는 사랑스럽거나 다정스럽기 보다는 고고하고 굳센 느낌을 주는 꽃이에요. 김진섭 선생이 말한대로 "적설과 한월을 대비적 배경으로" 피는 꽃이기 때문이죠. 만일 매화가 "춘풍이 태탕한 계절에" 핀다면 아마도 "난만히 피는 농염한 백화"와 다를 바 없는 느낌을 줄 거예요. 매화를 지사(志士)에 견주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겠죠. 지사는 혹독한 세월을 배경으로 할 때 빛이 나지 그렇지 않은 시절에는 일반인들과 다를 바 없잖아요?

 

사진은 "요지부시설 위유암향래(遙知不是雪 爲有暗香來)"라고 읽어요. "멀리서도 알겠네. 눈이 아님을/ 그윽한 향이 스며오고 있으니"라고 풀이해요(해석 인용: http://blog.naver.com/brdaniel/60020642074). 북송 시인 왕안석의 '매(梅)' 일부예요. "적설"을 배경으로 하얗게 피다보니 멀리서 보면 하얀 눈과 구분이 안될 것 같지만 발산하는 향기 때문에 절로 구분이 된다고 말하고 있어요. 단순히 매화의 특징을 그린 시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지사가 발하는 아우라를 비유적으로 그렸다고도 볼 수 있어요. 낙관의 한자는 "갑신 중추 소재(甲申 仲秋 愫齋)"라고 읽어요. "갑신 중추"는 "2004년 8월"의 의미이고, "소재"은 글씨 쓴 분의 아호예요,

 

벚꽃 대선이니 철쪽 대선이니 하는 말들이 횡행하고 있어요. 더불어 후보자간 이합집산이 가시화되고 있고요. 유권자들이 지사적 의식을 가지고 후보자들을 대해야 대통령을 제대로 뽑을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래야 내년 겨울 매화를 대하며 부끄럽지 않을 것 같아요.

 

사진의 한자를 낱글자 읽어 보고, 낯선 자들 서너 자 자세히 살펴 볼까요?

 

遙知不是雪   멀 요/ 알 지/ 아니 불/ 이 시/ 눈 설

爲有暗香來   될 위/ 있을 유/ 어두울 암/ 향기 향/ 올 래

甲申 仲秋 愫齋   첫째천간 갑/ 아홉째지지 신/ 버금 중/ 가을 추/ 정성소/ 집 재

 

 

는 辶(걸을 착)과 䍃(항아리 요)의 합자예요. 거리가 멀어 왕래하기 어렵다는 의미예요. 辶으로 의미를 표현했고,  䍃로 음을 나타냈어요. 멀 요. 遙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遙遠(요원), 逍遙(소요, 자유롭게 이리저리 슬슬 거닐며 돌아다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日(날 일)과 音(闇의 약자, 어두울 암)의 합자예요. 햇빛이 비치지 않아 어둡다란 의미예요. 어두울 암. 暗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暗黑(암흑), 明暗(명암)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禾(黍의 약자, 기장 서)와 日(甘의 약자, 달 감)의 합자예요. 기장(오곡의 한 종류)의 향기가 좋다[甘]란 의미예요. 향기 향. 香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香水(향수), 芳香(방향)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忄(마음 심)과 素(흴 소)의 합자예요. 진심, 정성이란 의미예요.  忄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素는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흰색에는 순결하다 혹은 잡스런 것이 섞여있지 않다란 의미가 들어 있는데, 이 의미로 본뜻인 진심 · 정성을 보충해주고 있는 것이지요. 愫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悃愫(곤소, 정성), 情愫(정소, 정성)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香 향기 향    愫 정성 소   遙 멀 요   暗 어두울 암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水   情(   )   明(   )暗   (   )遠

 

3. 다음을 읽고 뜻을 말해 보시오.

 

   遙知不是雪    爲有暗香來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이 너의 마지막 날인 것 처럼 살아라!"

 

  한 집에서 하숙하던 어느 대학생 형 방에 붙어있던 문구예요. 그 형은 두 동생과 같이 생활하고 있었는데 아침 일찍 일어나고 밤 늦게까지 공부하며 잡담도 별로 안했어요. 그 형이 생각한 '마지막 날인 것 처럼 사는 것'은 '성실히 생활하자'는 것에 다름아닌 것 같더군요. 80년대 초반의 일인데, 그 형은 지금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 궁금해요.

 

 흔히 삶의 교훈으로 전해지는 말들은 단편적인 경우가 많아 그 본의를 가늠하기가 쉽지 않아요. "오늘이 너의 마지막 날인 것 처럼 살아라!" 역시 마찬가지예요. 대학생 형은 이 말을 '성실히 생활하자'는 의미로 해석했지만, 달리 해석할 여지도 있어요. '즐겨라!'로 해석할 수도 있거든요. 그래서 그랬을까요?  대학생 형의 한 동생은 형과 달리 그다지 성실하지 않았어요. 그 동생은 형과 달리 "오늘이 너의 마지막 날인 것 처럼 살아라!"를 '즐겨라!'로 해석했던 것 같아요. 그 동생은 지금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 궁금해요.

 

사진은 '강산만고주 인물백년빈(江山萬古主 人物百年賓)'이라고 읽어요(즐겨 가는 중국집에서 찍었어요. 숟가락 봉투)."강산은 만고의(영원한) 주인이요, 인물은 백년의(잠깐 동안의) 손님이라네"라고 풀이해요. 삶의 덧없음을 읊었다고 볼 수 있지요.

 

그런데 이 시구를 꼭 '삶의 덧없음'으로만 해석할 필요 있을까요? '삶의 자유로움'으로 해석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주인인 강산은 고정되어 있어 부자유스럽죠. 그러나 객인 사람은 움직이기에 자유롭죠. 한 발 더 나아가 볼까요? 고정되어 있다는 것은 정체되어 있는 것이고 정체되어 있다는 것은 발전 가능성이 적다는 것이죠. 반면 자유롭다는 것은 변화한다는 것이고 변화한다는 것은 발전 가능성이 많다는 것이죠. 삶의 자유로움을 넘어 발전 가능성까지 나아간 것은 다소 견강부회한 감이 있지만 분명한 것은 이 구절을 '삶의 덧없음'으로만 보는 것은 좀 아쉽다는 거예요. 무엇보다 이 시구는 해석의 여지가 많은 단편 시구잖아요? 님은 이 시구를 어떻게 보시는지요?

 

낱 글자로 다시 한 번 읽어보고 낯선 자 두 자만 좀 자세히 살펴 볼까요?

 

江山萬古主    강 강/ 뫼 산/ 일만 만/ 옛 고/ 주인주

人物百年賓    사람 인/ 만물 물/ 일백 백/ 해 년/ 손님 빈

 

은 牛(소 우)와 勿(말 물)의 합자예요. 만물이란 의미예요. 만물 중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두드러진 큰 대상이 소이기에 牛로 뜻을 표현했어요. 勿은 음을 담당해요. 만물 물. 物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生物(생물), 物件(물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宀(집 면)과 一(병풍의 의미)과 人(사람 인)과 貝(조개 패)의 합자예요. 예물[貝]을 가져온 사람으로, 주인[人]이 실내[宀]에 있는 병풍[一] 바깥에서 맞이하는 이란 뜻이에요. 손님 빈. 賓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主賓(주빈), 貴賓(귀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物 만물 물   賓 손님 빈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主(   )   生(   )

 

3. 다음 시를 읽고 풀이해 보시오.

 

   江山萬古主   人物百年賓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棗, 대추) · 율(栗, 밤) · 이(梨, 배) · 시(枾, 감).

 

제사와 차례상에 빠짐없이 등장하는 과일이죠. 이 과일 이름들의 공통점 - 글자 형태상 - 은 나무[木]가 들어가 있다는 점이에요. 열매의 종류가 어떤 것이든 공통점은 나무이기에 나무[木]를 집어 넣어 글자를 만든 것이지요. 나무[木]이외의 글자들은 그 글자의 음을 나타내거나 혹은 음과 뜻 일부분을 담당하죠. 이렇게 한 글자는 뜻, 한 글자는 음 혹은 음과 뜻의 일부분을 담당하는 형태로 구성된 한자를 '형성(形聲)'자라고 부르죠. 한자의 7할 이상이 형성자로 되어 있으니 낯선 한자를 만났을 때 알고 있는 어떤 한자가 들어 있다면, 그 글자로 낯선 한자의 뜻이나 음을 추측하면 적어도 50% 정도는 맞을 확률이 있지요.

 

자, 여기서 문제. 사진에 나와 있는 왼쪽 한자의 뜻과 음은 무엇일까요? 참고로 왼쪽 한자를 구분하면 木(나무 목)과 留(머무를 류)로 나눌 수 있어요. 그러면 일단 이런 가정을 해볼 수 있겠죠? ① 이 글자의 음은 '목' 아니면 '류'일 것이다. ② 이 글자의 뜻은 '나무' 아니면 '나무의 한 종류'이거나,'머무르다' 혹은 '머무는 것과 관계있는 어떤 의미'일 것이다.

 

답은 '석류 류'예요. ①과 ②에서 각각 50%의 확률을 점쳤는데 그대로 맞은 셈이에요. 낯선 한자를 만났을 때 이렇게 추측하며 익히면 한자 익히기가 그렇게 어렵지만은 않겠죠?

 

사진은 유남(榴南)이라고 읽어요. 원룸 건물 이름인데, 정확히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어요. 건물주의 아호 같기도 하고 본인만이 아는 조어(造語)같기도 하고…. 저 같이 한자에 관심있는 사람에게는 궁금증을 자아내지만 대부분은 그저 금빛 찬란한 글자 정도로 밖에 치부하지 않을까 싶더군요. 굳이 궁벽한 글자로 이름을 달지 말고 쉬우면서 의미있는 글자로 이름을 달았으면 어땠을까 싶더군요. 건물 이름의 의미를 알지 못해 이름에 들어있는 한자의 구성을 가지고 이야기를 해봤어요. ^ ^

 

한자를 자세히 알아 볼까요?

 

는 木(나무 목)과 留(머무를 류)의 합자예요. 석류라는 의미예요. 석류가 목본과 식물이기에 木으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留는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씨가 돌맹이 같아서 삼키지 못하고 입 안에 머물러 두게 되는 과일이 석류란 의미로요. 석류 류. 榴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石榴(석류), 榴散彈(유산탄, 속에 무수한 작은 탄알을 넣어서 만든 대포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본래 술이나 낱알을 보관하는 용기를 그린 글자예요. 후일 暖(따뜻할 난)과 음이 유사하여 따뜻하다란 의미로 쓰이다가, 태양이 남방을 지났을 때 하루 중 가장 따뜻하기에 남방이란 뜻으로도 사용하게 되었지요. 지금은 남방이란 뜻으로 주로 쓰이지요. 남녘 남. 南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南北(남북), 南方(남방)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榴 석류 류   南 남녘 남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北   石(   )

 

3. 독특한 건물 이름을 알고 있으면 소개해 보시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