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지털 사회 2.0 - 분권화 트렌드와 미래 한국
이근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7월
평점 :
인류의 미래를 비관하는 사람들은 미래가 기계 중심의 사회로 바뀌고 인간들은 변두리로 밀려난다고 주장한다.그러나 기술의 발전을 잘 통제, 관리하면서 인간 중심의 사회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이 책은 그런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분권화와 디지털은 물론 우리사회에서도 뜨거운 논란의 대상이었던 블록체인 기술과 암호화폐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우리사회의 암호화폐 논란은 신기술이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비관론과 낙관론의 대립을 잘 보여줬다.그것이 중앙집권적 금융시스템의 부작용을 해소하고 금융권력의 분권화를 통한 민주화를 이루어낼지, 글로벌 대기업 등을 주축으로 한 새로운 독점적 중앙권력을 탄생시킬지에 대한 치열한 논쟁이 있었다.이런 논쟁은 이 책을 읽어보면 알 수 있듯이 우리의 미래에 대한 주요한 논쟁이다.
미래의 변화를 바라보는 관점 중 수정되어야 할 관점은 이분법적 관점이다.3D 기술은 다품종 소량생산이나 소품종 대량생산을 뛰어넘는 다품종 대량생산을 낳을 수 있고, 새로운 기술이 직업의 유연성과 안정성을 모두 충족시켜 줄 수 있으며, 교육은 평준화와 다양화의 대립을 뛰어넘어 학생 개개인에게 맞춰주는 개별화로 이어질 수 있다.정치도 대의민주주의나 군중민주주의라는 이분법을 넘어서 책임성, 개방성, 참여를 모두 이끌어내는 형태로 변화해야 한다.새로운 정치제도도 결국 통치의 주체를 누구로 설정할 것인지에 대해 충분히 고민해야 할 것이다.
대규모 언론사들은 부진한 반면 개인 유튜버들은 계속 성장하고 있다.과업형 기업, 소호경제, 슈퍼개인 등은 기존의 대규모 기업집단보다 유연하고 신속하게 움직이는 개인의 강점을 잘 보여준다.조직보다는 과업, 그러니까 콘텐츠 자체가 중시되는 것이다.이런 경제의 개인화와 기술발달에 기반한 가치사슬의 변화, 기후변화 등 환경문제에 대처하는 지속가능한 경제발전도 중요한 과제다.암호화폐의 검토를 포함한 금융시스템 개혁은 이런 새로운 변화에 발맞춘 경제개혁을 뒷받침할 것이다.또 건강 역시 큰 병원과 일반적인 치료법에만 의존하지 않고 개인 맞춤형 치료를 구현하게 될 것이다.도시는 건물을 부수고 새로 짓는 재건축이나 재개발 같은 전통적인 개발이 아닌 하드웨어를 그대로 두고 주민들에게 맞는 서비스를 찾아 적용하며 삶을 변화하는 스마트시티, 스마트리빙이 적용될 것이다.
덩치가 큰 공룡은 강하지만 그만큼 둔하기 마련이다.빠른 변화가 이루어지는 세상에서 변화를 따라가려면 기술에 대한 공부는 물론 유연성과 속도를 유지해야 한다.정치와 경제 모든 분야에서 조직이나 집단이 아닌 개인의 활약이 돋보이는 것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디지털 기술에 대한 공부와 분권화 추진을 계속해야 하는 이유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812/pimg_7215681392269792.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812/pimg_7215681392269793.jpg)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