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이름은 도둑 ㅣ 우리문고 21
제리 스피넬리 지음, 김선희 옮김 / 우리교육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이런 책을 읽으면 마음이 참 안 좋다. 딱히 미운 등장인물이 있어서가 아니라 어쩔 수 없는 상황 때문에. 게다가 득보다 실이 훨씬 많은 전쟁을 그리는 이야기는 안타까움을 넘어 무력감마저 느끼게 한다. 아이들이 우리도 전쟁이 일어날 수 있냐고 물어보면 전쟁은 그렇게 간단하게 일어날 수 있는 게 아니라고 대답은 하면서도 여전히 불안하다. 지금도 어느 곳에서는 전쟁을 겪고 있으니까. 게다가 전쟁 당사국의 의지보다 다른 것(근현대의 전쟁을 보면 이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이 더 큰 영향을 주니까.
2차 세계대전 때 나치에 의해 유대인과 장애인 및 거리의 부랑자는 열등한 존재로 인식되어 학살이 자행되던 시기를 어느 꼬마의 시선에서 보여주고 있다. 태어나면서부터 버림받은 건지 아니면 부모가 모두 죽었는지 주인공은 자신의 이름조차 모른 채 살고 있다. 그것도 고아원에서도 아니고 거리에서. 그러니 배워야 할 기본적인 것조차 배우지 못한 채 눈치로 상황을 파악한다. 대개 이런 이야기는 적어도 주인공의 이름은 지어주는데 여기서는 그 마저도 없다. 그렇기 때문에 얼마나 절박한 상황인지 깨닫는데 시간이 덜 걸린다. 우리는 어느 순간부터 자신의 이름을 저절로 안다. 그러나 따지고 보면 '저절로' 아는 것은 없다. 모두 누군가가 가르쳐준 것이다. 그런데 아주 어렸을 때부터 버려져서 아무도 돌보는 사람이 없이 혼자 살게 된다면 그 아이의 이름은 누가 지어줄까. 정말 아무도 없다. 그러니 남들이 '도둑이야'라고 외치는 소리를 들으며 그게 자신의 이름인 줄 알았을 게다. 이 얼마나 섬뜩한 설정인가.
그야말로 아무것도 모르기 때문에 거리에서 우연히 만난 유리가 주인공의 이름을 지어주고 어린 시절 이야기까지 들려주자 그제서야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한 듯 기뻐한다. 그렇게 유리에게 미샤라는 이름을 선물로 받고 조금씩 조금씩 세상을 배워간다. 그러나 어린 미샤마저도 유대인이라면 무조건 안 좋다는 선입견을 갖고 있다. 자신의 이름도 모르는 어린 아이가 어떻게? 그게 바로 광기에 사로잡힌 집단 속에서 배우는 선입견이다. 주변에서 들리는 말을 그렇게 믿어버리는 선입견. 어떤 것이 잘못되면 무조건 유대인을 의심하고 그러다 진짜로 믿어 폭력을 행사하는 그런 집단. 그러나 난 여기서 왜 유대인에게 무조건 너그러운 마음을 못 갖는 걸까. 그건 아마도 당시의 상황은 분명 유대인이 아무 잘못없이 오로지 나치의 잘못이었다지만 그보다는 지금 그들의 행태를 알기 때문에 그런 것일 게다. 자신들이 이유 없이 고통을 당해보았으면 다른 사람에게 똑같이 고통을 주면 안 되는데. 마치 호된 시집살이를 산 며느리가 나중에 똑같은 시어머니가 된다는 말과 비슷하다. 그게 바로 '환경탓'이라는 것일까.
여하튼 미샤는 정말 말로는 설명하지 못할 우여곡절을 겪은 후에 노인이 되어 손녀를 통해 간신히 정상적인 삶을 느낀다. 만약 미샤가 전쟁이 끝난 후에 정상적인 삶을 살았다면 그게 더 이상할 것이다. 그 정도로 많은 일을 겪었으니까. 처음부터 끝까지-정말 마지막에서야 '정상'을 경험한다-우울한 미샤의 삶을 함께하는 동안 나도 우울해졌다. 그러나 이것이 피할 수 없는 현실이었다. 그게 더 우울하게 만들긴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