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캔들 플라워
김선우 지음 / 예담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굳이 제목을 곰곰 생각하지 않더라도 촛불이라는 걸 짐작할 수 있었다. 게다가 모 출판사 웹진에서 작가의 글을 가끔 보았기에 그쪽에 관심이 많고 더불어 마음도 그쪽에 가 있다는 걸 어느 정도 짐작하고 있던 터였다.
표지가 참 예쁘다. 이건 선입견일지 모르겠지만 여성 독자가 좋아할 만한 표지가 아닌가 싶다. 사실 분홍색은 여자색, 파란색은 남자색이라는 이분법을 극도로 싫어하지만 이럴 때 보면 나도 어쩔 수 없는 생각의 틀을 가진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문제는 그럼에도 여전히 여자들이 훨씬 눈길을 줄 표지라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는 점이다.
솔직히 촛불이 현재 어떤 상태인지를 뻔히 알고 있는 이 시점에서 이 글을 읽으며 마음이 답답했다. 혹 나중에 정말 제대로 된 사회가 오면 모험담처럼 이 때를 추억할지 모르겠지만 지금은 그렇다. 이때나 지금이나 변한 게 하나도 없는데 이런 이야기가 무슨 소용인가. 장정일 소설가가 '촛불 집회를 소재로 삼은 한국문학을 정리한다면 이 책이 일착으로 검토되어야 할 소설'이라고 했지만 글쎄. 소설을 잘 몰라서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읽는 동안 그닥 빨려들어가는 느낌을 받지 못했다. 어쩌면 변한 게 하나도 없는 현재가 너무 답답해서 더 그런지도 모르겠다. 그럼에도 상당부분 사실을 근거로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에 장정일의 말이 충분히 일리가 있어 보인다.
캐나다 오지 마을에서 자연과 교감하며 사는 지오가 하필이면 촛불 집회가 열리는 때에 한국에 와서 겪는 일을 그대로 따라가고 있다. 모든 것을 자연으로부터 배우기 때문에 획일적인 공교육을 받는 우리로서는 그저 지오가 부럽기만 하다(물론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걱정하기도 한다). 또한 지오는 세상의 일반적인 눈(그러나 어찌보면 편협한 시각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으로 보면 특이한 환경에서 산다. 작가는 일부러 지오의 환경을 우리에게는 비정상적으로 보일 것들로만 꽉 채웠는지도 모르겠다. 그럼으로써 오히려 우리가 얼마나 비정상적인 일들을 겪고 있는지 보여주려고 했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아무리 그렇더라도 너무 훤히 알고 있는 일들이라 그런지 신선함을 느끼지 못했고 그냥 사건을 줄줄이 서술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나중에, 즉 후대 사람들은 여기 서술된 이야기들을 흥미롭게 여길지 모르겠으나 현재를 사는 '나'는 그저 그렇게 읽었다.
<연금술사>를 읽으며 산티아고가 사막에서 바람과 태양과 이야기하는 것은 전혀 거슬리지 않았는데 왜 여기서 지오가 숙자 할머니의 개와 이야기하는 장면은 억지처럼 느껴졌을까. 단지 한 명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작가이기 때문에 모든 것이 허용되는 것일까. 글쎄, 꼭 그렇지만은 않은 것 같다. 문학의 미음도 모르면서 이런 말 하기가 좀 뭣하지만 그게 바로 관록이라는 것은 아닐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