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훔치고 싶은 것 ㅣ 미래의 고전 20
이종선 지음 / 푸른책들 / 2010년 8월
평점 :
큰아이 학교에는 팬시점에 가서 물건을 훔치는 아이들이 있다고 한다. 게다가 그것을 자랑삼아 주변 친구들에게 이야기 한단다. 한번은 걸려서 문제가 되기도 했단다. 그런 말을 들을 때면 나도 모르게 '도대체 그 부모는 그것을 알고 있을까'라는 생각이 먼저 든다. 아무래도 같은 또래의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서 그럴 것이다. 그 아이들은 재미로, 군중 심리 때문에 물건을 훔치는지 몰라도 그러다 습관으로 굳어질까 걱정된다. 도대체 그 아이들은 무슨 생각을 하고 그러는 걸까. 아니, 그것이 잘못이라는 걸 알기는 할까. 이 책의 주인공 여진이는 훔치는 건 잘못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으니 그나마 극복할 가능성이라도 있었지 그런 자각조차 하지 못하면 어떻게 되는 걸까.
제목에서 드러났듯이 도벽에 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루지만 또래 집단에서 친구 맺기의 어려움과 가족간의 사랑을 줄곧 다룬다. 그러니까 매개체가 도벽인 셈이다. 그러면서 각자의 성장을 빼놓지 않는다. 여진이와 선주는 단짝이다. 그런데 선주가 양궁선수로 나가는 바람에 혼자 시간을 보내야 하는 여진이가 새로운 친구를 사귀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사건이 벌어진다. 모든 것을 갖춘 민서와 민서 때문에 상처를 받아 위선적인 여경이가 동시에 여진이에게 접근하면서 일은 시작된다. 여진이가 어떤 게 둘의 본모습인지 몰라 힘들어할 때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바로 엄마였다. 그러나 엄마는 너무 바빠서 여진이의 이야기를 들어줄 짬이 없다. 여진이는 바로 그런 허기진 마음을 남의 물건을 훔치는 것으로 채웠던 것이다. 그렇다고 무작정 훔친 게 아니라 주인이 없는 물건일 때만 훔치며 스스로에게 위안을 한다. 그러나 민서의 물감인 줄 뻔히 알면서도 훔치면서 마음 고생이 시작된다.
사춘기라고 삐딱하게 굴기만 하던 언니가 결정적인 순간에는 여진이에게 큰 힘을 주는 모습은 뭉클하지만 마치 정해진 길을 가는 느낌이었다. 하필이면 엄마가 있는 날 모든 일이 한꺼번에 터져서 마무리 되는 모습도 그렇다. 우연을 가장한 필연이라는 생각이 든다. 또한 여경이와 민서 사이에서 누구의 말이 진실인지 몰라 갈팡질팡하는 여진이의 모습은 6학년이라고 하기엔 너무 철이 들었다. 그 또래는 대개 이 친구의 말에 쏠렸다가 다시 저 친구의 말에 쏠리는데 여진이는 진실을 판단하려고 애쓰니 말이다. 도벽이 있을 정도로 심리 상태가 불안정한데도 말이다. 뭐, 꼭 두 가지가 함께 가는 건 아니지만 지나치게 냉정을 유지해서 오히려 여진이에게 빠지기 힘들었다.
그러나 친구에게 질투와 열등감을 느끼지만 그것이 자연스러운 감정이라는 선주의 이야기는-비록 작가가 하고 싶은 말이라는 게 표가 났지만-이 책을 읽는 어린 독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지 않을까 싶다. 어차피 동화란 어린 독자에게 무언가를 깨닫게 해야 하는 것이니 이처럼 의미 있는 메시지를 읽으면 고개를 끄덕일지도 모르겠다. 전 같으면 작가의 의도가 지나쳤다고 생각했겠지만 지금은 조금 달라졌다. 때로는 직설적으로 이야기해도 그것을 읽는 어린 독자는 번쩍하는 뭔가를 느낄 수도 있으리라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여경이가 얄미웠다. 의도적으로 친구를 곤경에 처하게 하고 남 앞에서는 모든 것을 초월한 것처럼 위선 떠는 행동이 싫었다. 그래서 민서가 여경이의 잘못을 현장에서 잡았을 때 통쾌했다. 그런데 문득 <교환 학생>이 생각났다. 그 책에서 아주 얄미운 친구가 있는데 속으로 그 친구의 본모습이 드러나길 은근히 바랐다. 그러나 작가는 그 친구에 대해 별다른 고자질 없이 다른 친구들이 그녀를 이해하도록 자연스럽게 풀어갔다. 우리는 이처럼 잘잘못을 따져서 확실하게 매듭을 짓는 게 대부분인데 외국 작가는 그렇지 않다. 우리 작가의 이런 이야기 방식이 통쾌할지는 모르나 여운은 확실히 덜하다. 여경이가 들킨 모습이 통쾌하면서도 뭔가 찜찜한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