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갑내기 부부의 아프리카 자전거 여행 - 떠나고 싶다면 이들처럼
이성종.손지현 지음 / 엘빅미디어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작년이던가, 자전거 여행을 통해 주인공의 성장을 그린 <불량한 자전거 여행>이라는 동화를 읽고 한동안 자전거 여행에 대해 찾아봤던 기억이 난다. 여기저기 여행기들을 찾아보다가 내가 생각한 것보다 많은 사람들이 자전거로 해외여행을 떠난다는 사실을 알았다. 여간해서는 다른 사람들의 블로그를 돌아다니지 않는데 그런 여행기를 읽느라 시간가는 줄 몰랐던 기억이 난다. 그리고 다짐했다. 비록 나는 그렇게 못했고 앞으로도 그럴 가능성이 없지만 내 아이는 그런 여행을 하도록 해야겠다고. 편하게 가만히 앉아서 정보를 얻는 여행이 아니라 직접 몸으로 부딪쳐가며 하는 여행을, 적어도 젊었을 때라면 충분히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그런데 내가 돌아디닌 곳 중에 아프리카를 자전거로 여행했다는 사람들이 있었던가? 글쎄, 정확히 기억나진 않지만 없었던 것 같다. 무엇보다 안전문제가 가장 큰 걸림돌일 게다. 그래서 이들도 여행을 계획할 때 가장 우려했던 부분이고 주변에서도 가장 걱정했던 부분이었다 한다. 실제로 이들이 겪은 몇 번의 문제들에 대해 지금이야 웃으며 이야기하지만 당시는 정말 지옥을 갔다 온 기분이 아니었을까. 이렇게 책이 나왔다는 건 안전하게 잘 다녀왔기에 가능하다는 사실을 독자는 미리 알고 있으니 급박했던 상황이 덜 느껴질 것이다. 결론이 이미 정해져있으니까.
숱하게 오르막과 내리막을 번갈아 가며 많은 나라들을 지나는 동안 이들이 겪었던 모든 일들이 결코 재미있었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힘들지만 웃을 수 있는 것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값진 경험 때문일 게다. 될 수 있으면 현지인들과 어울리기 위해 애쓰고 현지인들이 운영하는 시장에서 물건을 사고 그들의 식당에서 밥을 먹는 것, 이런 건 여행을 진짜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꿈꾸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말처럼 쉽지 않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들도 현지인들이 돈을 달라고 하거나 무슨 물건이라도 얻으려고 달려드는 모습에서 때론 실망하기도 하고 때론 안타까워 하지 않았던가. 그것이 현실이다. 자본주의의 속성을 이미 알아버렸기에 예전만큼 순수한 마음이 사라졌다. 그러나 이들의 여정을 따라가 보면 이 세상에는 좋은 사람들이 훨씬 많다는 믿음이 아직은 유효하다는 사실을 느낄 수 있다.
무엇보다 인상적이었던 건 시간에 대한 나의 촉박함을 비웃기라도 하는 듯한 이들의 일정이었다. 살라마 말라이카 고아원에서 며칠 쉬면서 봉사도 하며 지낸 날이 3주에 가깝고, 모잠비크의 한인 회장이 마련해준 휴식처에서 일주일을 쉬었단다. 처음에 휴식을 취했다길래 길어야 이틀이겠거니 했다. 대개 외국여행을 가면 길어야 일주일에서 보름이니 생각지도 않은 휴식에 일주일을 쓰리라고는 생각도 못했던 것이다. 이들에게서는, 아니 아프리카를 자전거로 여행한다는 사람들에게서는 우리와 같은 시간 관념이 통용되지 않는가 보다. 이러니 얼마나 여유로울까. 그곳에서보다 돌아와서 시간에 대해 생각하는 기준이 다를 것 같다. 이러니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매일 시간에 쫓기고 경쟁에 쫓기는 보통 사람들과 다를 수밖에 없겠다는 생각이 든다. 고생은 했겠지만(원래 모든 여행은 고생이다.) 그래도 부러워하는 이유가 바로 이점이다.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확실히 다르다는 점.
내가 틈만 나면 이야기하는 게 있는데 바로 휙 지나가는 여행이 아닌 그곳에 있는 사람들과 소통하는 여행을 하고 싶다는 점이다. 그게 꼭 외국 여행이어야 한다는 법도 없다. 국내에서도 얼마든지 그런 여행을 하며 여행의 참맛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요즘 하도 무서운 세상이라 낯선 사람에 대한 경계가 심해서 예전처럼 쉽진 않아도, 그래도 진심은 통히리라 생각한다. 이들처럼 해외여행을 그런 식으로 떠날 수는 없겠지만(꿈은 꾸고 있지만 꿈 꾼다고 모두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니까.) 현재 내가 할 수 있는 것부터 시작하고 싶다. 역시 젊음은 좋다. 내가 십 년만 젊었어도! 하긴 그래도 자전거 여행은 사양했을 테지만. 원래 십 년 전으로 돌아가는 게 불가능하니까 이런 말도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