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조상들은 얼마나 재미있게 살았을까? - 어린이 인문 교양 007
강난숙 지음, 김홍모 그림 / 청년사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해마다 정월-음력 1월을 의미한다-이면 고향에서는 '대동을 논다'. 실은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그 말이 '대동놀이'에서 쓰이는 말과 같은 말이라고는 생각도 못했다. 그저 시골에서 어른들이 쓰는 사투리거니 했다. 어려서부터 듣고 자란 말이건만 의미도 몰랐고 의미있게 받아들이지도 않았던 것이다. 아이들 책을 공부하면서야 알았다. 그 말이 정겹고 시골의 생활을 그대로 나타내는 말이라는 것을.

우리 문화. 과연 그 문화를 얼마나 알고 있을까. 그나마 요즘은 여기저기서 우리 문화에 대한 가치를 알고 이어 나가려는 노력이 있어서 접할 기회가 많아지긴 했다. 또한 이렇게 문화에 대한 책도 나오니 이제 열심히 보는 일만 남았다. 하지만 방대한 것을 전부 담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래서인지 이 책도 각 부문에 대해 대표적인 것만 몇 개 뽑아서 설명한다.

옛사람들의 놀이를 비롯해서 전통의례, 아이들의 공부하는 모습 등 이미 알고 있는 것도 상당히 있고 '호미씻이' 처럼 생소한 것도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눈길을 끄는 것은 '터 풍경'으로써 장터와 빨래터에 대한 이야기다. 장터야 그렇다쳐도 빨래터도 이렇게 문화에 포함시킬 수 있겠구나. 빨래터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대화를 통해 힘들고 고단한 시집살이를 견뎠다고 한다. 지금 아이들은 이해하지도 못하고 상상하기도 힘들겠지만 말이다. 

중간중간 노랫말도 나오고 재미있는 이야기도 나와서 재미를 더한다. 그런데 뒷부분 신앙에 대한 것 중 도깨비에 대한 이야기에서 일본 도깨비 오니와 우리 도깨비를 비교해 가며 잘 설명해 놓았는데 반해 그림은 마치 두 나라의 도깨비를 섞어 놓은 듯한 모습이라 아쉽다. 그리고 너무 많은 것을 한꺼번에 다루려고 해서인지 빠진 것도 많다. 차라리 한두 가지 분야에 집중하고 그 분야를 폭넓게 다루었더라면 더 좋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데이 선생님의 사회 교실 기사 수업 피클힐 마법학교 5
필 록스비 콕스 지음, 켈리 월덱 그림, 이충호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8권 시리즈 중 아이들에게 가장 인기가 없었던 책이 바로 이 기사 수업이다. 하긴 기사가 무엇인지도 모르고 세계사에 대한 지식은 더더욱 없는 꼬마가 이 책에 관심이 없는 게 당연하지. 그러나 난 아주 재미있게 읽었다. 아더 왕이 생각났고, 영화 로빈 훗이 생각났으며 돈키호테도 오버랩된다. 

그런데 이런 기사에 대한 것도 배우나보다. 우리와는 거리가 먼 문화라서 전혀 생각도 못하고 있었는데. 하지만 세계사를 알고 또 그들의 문학작품을 읽기 위해서는 알아두면 좋은 것들이 많이 나온다. 기사도 정신이라는 말은 왠지 가식적이고 체면만 따지는 것 같아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당시 사회상을 살펴보면 어쩔 수 없는 것이라는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의 어떤 문화나 풍습이 먼 훗날 본다면 얼토당토 않게 여겨지는 것도 있을 테니까.

봉건제 사회에서 기사가 되기 위해 지켜야 하는 것들이 있었고 의무가 있었다는 것은 익히 알고 있었지만 이처럼 갑옷의 변천사까지는 알지 못했다. 사실 알아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도 못했고. 문화가 다른 우리에게는 그저 한낱 재미로 읽게 되는 것일지도 모르지만 중세 유럽에서 기사라는 것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역시나 내가 살고 있는 곳은 유럽이 아니기에 흥미로움만 남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포설 선생님의 과학 교실 공룡 수업 피클힐 마법학교 2
발레리 와일딩 지음, 켈리 월덱 그림, 이충호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어려서부터 공룡에 유난히 집착을 보이는 사내 아이들을 키운 부모라면 어느 정도 기본 지식은 있을 것이다. 사실 나도 처음에는 웬 이름도 그리 어렵고 종류는 또 왜 그리 많은지 헷갈려서 혼났다. 그러나 자꾸 보고 또 보니까 이제 어느 정도 감은 잡는다. 하지만 그 감이 이름 뿐이라는 게 문제다.

피클힐 마법학교 수업은 항상 흥미진진하다. 어디 그것 뿐인가. 각 과목마다 전문가 선생님이 가르치니 내용도 버릴 게 하나도 없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공룡에 대해 배울 거니까 선생님 이름은 무엇일까. 바로 포설이란다. 화석? 뭐, 공룡은 화석으로 밖에 만날 수가 없으니 왜 그런 이름이 붙었는지 알 것도 같다.

시대별로 분류를 해서 공룡에 대해 알아보기도 하고 초식과 육식으로 나누어 알아보기도 하고 공룡을 직접 만나서 알아보기도 한다. 항상 느끼는 거지만 얘네들은 좋겠다.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공룡을 직접 만나고 싶지는 않다. 이미 공룡에 대해 많이 알려져 있지만 그래도 새로운 이름을 만나곤 한다. 에드몬토사우루스는 이빨이 1000여 개나 된다지. 게다가 이빨이 빠지면 새로운 이빨이 계속 나서 걱정도 없다고 한다.

이 시리즈는 종이가 매끈한 것도 아니고 그림이 칼라도 아니라서 처음에는 우려를 했지만 역시 내용이 좋으면 아이들도 알아보는 법이다. 그리고 그림만 봐도 무엇에 대한 내용인지 쉽게 알 수 있다. 특히 아이들이 연구해 놓은 글들을 읽는 것만으로도 아주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이처럼 아이들이 스스로 알아보고 찾아보는 공부를 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건 피클힐 마법학교나 신기한 스쿨버스의 프리즐 선생님 반 아이들이나 가능한 것은 아닐 텐데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가마우스 선생님의 과학 교실 상어 수업 피클힐 마법학교 4
마이클 콕스 지음, 켈리 월덱 그림, 이충호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우리나라의 학교 정규수업에서는 절대 없는 상어수업. 그러나 이 피클힐 마법학교는 별별 수업이 다 있다. 그건 선생님과 아이들도 인정하는 부분이다. 피클힐 마법학교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아무도 모른다고 하니까.

상어란 그저 무서운 존재로만 기억될 뿐이다. 물론 작은 상어도 있고 유순한 상어도 있다지만 그 보다는 무서운 종류가 훨씬 많기에 그냥 모두 '무섭다'로 통일된다. 가끔씩 들려오는 무시무시한 소식도 그렇고 영화도 그렇고 전부 무서운 이야기뿐이니 어찌 안 그렇겠는가.

하지만 무섭다고 상어에 대해 알아보지 않으면 안될 일. 적을 알아야 지지 않는다는 말도 있지 않던가. 그래서 찬찬히 읽어보았다. 역시... 거의 대개가 내가 모르는 사실이다. 메가마우스 선생님과 함께 하는 상어 수업이라는데 상어의 종류 중에 메가마우스라는 상어도 있단다. 상어는 원래 부레가 없어서 가만히 있으면 가라앉는다는 것이 내가 유일하게 알고 있는 상식이다. 그러니 이 책에 있는 내용들이 얼마나 신기했을까.

샌드타이거상어는 뱃속에서 새끼로 부화한 다음 나오는데 글세 서로 잡아먹고 두 마리만 남는단다. 또 뱀상어는 닥치는 대로 다 먹어서 '헤엄치는 바다의 쓰레기통'이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란다. 그리고 못 먹을 것을 먹어서 처리할 때는 위를 뒤집어서 입으로 뱉어낸다나. 참 신기하기도 하고 놀랍기도 하다. 그 모든 것이 결국은 살아가기 위한 방법일 테니까.

이렇게 말만 하면 직접 보고 듣고 느끼는 수업이라면 얼마나 재미있을까. 그래서인지 읽는데도 언제 다 읽었는지 모를 정도로 금방 읽는다. 이제 2학년인 둘째가 하도 가방에 넣고 다니며 친구들과 함께 읽어서 헌책이 되어버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밀 수첩 즐거운 동화 여행 9
린요우루 지음, 이채은 그림, 윤진 옮김 / 가문비(어린이가문비)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삶에 대한 장밋빛 꿈이 없어서인지 요즘은 비밀이라는 것이 있기나 한지 모르겠다. 그저 매일을 최선을 다해 살 뿐(정말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마음이라도 그렇게 먹는다.)이기에 특별히 어느 것에 대해 큰 의미를 두거나 두근거리지는 않는다. 다만 나 혼자 알아야 할 일이 있으면 그냥 묵묵히 가슴 저 밑에 묻어둘 뿐이다. 한창 사춘기인 딸은 비밀이 많기도 하더구만. 이게 바로 세월의 흔적일까.

여기서 주인공 유나이는 5학년이다. 그렇다면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동화라고 생각해도 되지 않을까. 그런데 글씨가 의외로 크다. 주인공의 나이와 책 읽는 대상연령이 똑같으라는 법은 없지만 대개 그런 식으로 따지기에 하는 말이다. 이 책은 글자도 크고 어미가 '요'로 끝나서 겉으로 보기에는 마치 저학년 동화같다. 뭐, 이런 형식이 중요한 것은 아닐지라도 지금까지 보아왔던 것과는 약간 달라서 어리둥절했다.

우연히 바퀴벌레의 말을 알아듣게 된 유나이가 바퀴벌레의 도움을 받으며 비밀 수집가가 된다는 줄거리를 갖고 있지만 책을 읽다 보면 심오한 진리를 깨닫기도 한다. 비밀이라는 것은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는 것이지만 그것은 지켜질 때가 의미 있는 것이지 남에게 알려질 때는 이미 더이상 비밀이 아닌 것이다. 또한 남의 비밀을 함부로 남에게 이야기한다는 것은 상대방을 곤경에 처하게 하거나 정의롭지 못한 행동이다. 책에서는 그것을 가치가 떨어진다고 표현을 한다. 

유나이가 비밀을 수집하게 되면서 공부 시간에 딴짓도 안 하고 다른 사람들 말도 주의깊게 듣는 등 행동이 몰라보게 변한다. 이렇듯 비밀이라는 미끼를 사용하고 있지만 실은 아이가 어떤 것에 관심을 가지면서 변하게 되는 과정을 차근차근 이야기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그 전개방식이 전혀 어색하거나 억지스럽지 않다. 오죽하면 읽는 나조차도 정말 이런 것일까 내지는 이렇겠구나하고 생각하기도 했을까.

환상적 요소인 바퀴벌레 형님을 내세워서 밤에 그 나라로 가는 것으로 설정했지만 실제로는 모두 우리 안에 일어나는 일들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남의 비밀을 캐기 위해 비겁한 방법을 쓰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남의 비밀을 이용해서 자신의 이익을 챙기는 사람도 있지 않던가. 작가는 이야기한다. 남의 비밀보다도 자신의 비밀, 게다가 자신도 모르는 자신의 비밀이 가장 가치 있는 것이라고. 그렇다면 나도 (미처)모르는 내 비밀은 뭐가 있을까. 없다고 생각했는데 있을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