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린이 미술관 1
어멘더 렌쇼 지음, 이명옥 옮김 / 사계절 / 2009년 5월
평점 :
원래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에 더 매달리는 걸까. 워낙 예체능에 관심도 없고 소질도 없었기에 아이를 키우면서 유독 예술에 관심을 갖는다. 그래서 미술 관련(음악 관련 책은 그다지 많지 않고 접하기가 미술보다 더 어렵다.) 책이 나오면 무조건 산다. 집에 있는 책만 해도 어찌나 종류가 많던지. 어디 그 뿐인가. 방학 때만 되면 찾아오는 유명한 화가의 전시회도 가서 관람하고 도록까지 사온다.
그런데 희안한 것은 둘 다 전산 관련 일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이에게 켬퓨터를 제대로 가르치지 않아(그다지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그냥 간단한 것만 할 줄 알면 되지, 뭐. 그리고 못한다고 하면 즉석에서 가르쳐주면 된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아이가 중학교 들어가서 고생했다는 점이다. 미술을 전공한 엄마가 아이에게 더 미술을 가르치지 않는다더니 우리가 꼭 그 경우다.
이처럼 미술 관련 책이라면 사족을 못 쓰는 관계로 사계절에서 어린이 눈높이에 맞게 화가와 그림에 대해 이야기해 주는 책이 나왔다니 안 보고 넘어갈 수 없다. 꽤 두껍지만 표지에서 말한 것처럼 내용이 쉬워서 잘 넘어간다. 그림을 지나치게 분석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대충 넘기지도 않는다. 꼭 필요한 것은 짚고 넘어간다.
예를 들어 아르침볼드의 사계절을 나타낸 그림이 각 계절에 나는 식물과 과일, 채소를 이용했으며 계절도 나이를 먹는 것에 비유했다는 점을 이야기한다. 또한 보티첼리의 그림에서도 클로리스와 플로라가 한 공간에 있지만 동일인이라는 점을 이야기한다. 때로는 그림 일부를 떼어내서 이야기하기도 하고 때로는 커다란 덩어리 그대로를 이야기하기도 한다.
대개 이런 책은 시대별로 혹은 사조별로 따로 묶는데 이 책은 전혀 그렇지 않다. 아마도 일부러 섞어 놓은 듯하다. 동일한 패턴의 그림을 계속 보는 것보다 이것저것 보면서 마음껏 느끼라고 말이다. 그런데 화가가 살았던 시대나 작품의 연대가 전혀 없어서 어른인 내가 보기에는 답답했다. 아이들이라면 그런 것에 구애받지 않고 온전히 그림을 '느낄' 텐데 나는 벌써 구분하고 정리하려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