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못된 장난 ㅣ 마음이 자라는 나무 22
브리기테 블로벨 지음, 전은경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시간이 지날수록 즉흥적이고 물질만능주의가 심해지는 것 같아 마음이 불편하다. 한편으로는 너무 내적인 것을 무시하고 결과를 중시하는 교육을 펼치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현상이 벌어지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특히 우리나라가.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며 사람 사는 세상은 어디나 비슷하다는 생각을 했다. 그러나 아이러니컬하게도 슬프고 아픈 이야기를 읽으며 우리 현실을 비관하지 않게 되었다. 이런 일은 비단 우리에게만 일어나는 일이 아닌 것 같아서. 철학을 중시하고 인간의 본성에 충실한 교육을 등한시해서 지금의 문제가 야기되었다고 생각했는데 꼭 그건 아니라는 생각도 든다.
우크라이나에서 독일로 이주해 온 스베트라나 가족은 그런대로 잘 적응하며 살고 있다. 게다가 스베트라나는 똑똑해서 선생님들의 도움으로 명문 학교에 입학할 수 있게 된다. 그 소식을 들었을 때 스베트라나 엄마 아빠가 얼마나 기뻤을까. 비록 가난하지만 똑똑하기 때문에 자신들 보다는 좀 더 나은 환경에서 살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했을 것이다. 그렇게 설레면서 시작된 초반부였지만 제목에서 뭔가 문제가 생긴다는 것을 암시했기 때문에 마음 놓고 기뻐할 수가 없었다.
아니나 다를까. 김나지움에 들어간 순간부터 스베트라나에게 힘든 생활이 시작된다. 단순히 적응하기 힘들어서가 아니다. 조직적인 따돌림과 멸시가 서서히 스베트라나를 파괴한다. 처음에는 공부를 잘하면 친구들과 친해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오히려 좋은 구실을 마련해 준 것에 불과하다. 단지 자기들과 다르다는 이유로, 그냥 누군가 놀릴 대상이 필요했기 때문에. 그러다 그들과 같은 옷을 입으면 괜찮을 것이라는 짧은 생각에 물건을 훔치기까지 한다. 스베트라나는 이미 이성적인 판단이 많이 흐려진 상태다. 왜 안 그럴까. 사람이 살아가면서 사회에 어울리지 못할 때 받는 스트레스는 생각보다 심각하다. 게다가 한창 자랄 나이에 그런 상처를 받는다면 더욱 감당하기 힘들 것이다.
그러나 거기까지였다면 차라리 나았을 것을. 결국 사이버 스토킹까지 당한다. 스스로도 인터넷에 접속하면 안 된다는 것을 알지만 이미 자신을 통제하기에는 너무 많이 피폐해졌다. 무엇보다 안타까웠던 것은 스베트라나가 엄마에게 조금만이라도 의지했더라면 하는 것이다. 그런데 대개 이런 상태에 놓인 아이들은 어른에게 쉽게 도움을 청하지 못한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스베트라나의 경우는 엄마가 안 그래도 힘든데 자기 때문에 더 힘들어질까봐. 그러니 독자는 더 안타까울 수밖에.
이야기가 주로 스베트라나의 눈으로 그려지기 때문에 다른 아이들의 속마음이 어떤지는 알 수 없다. 그 아이들은 왜 그런 못된 장난을 하는 것일까. 도대체 그 부모들은 어떻게 교육을 시키는 것일까. 읽으면서 그런 생각을 가장 많이 했던 것 같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그런 문제에는 전혀 신경쓰지 않는다. 한편으론 스베트라나를 괴롭혔던 아이들이 혼났으면 하는 마음도 있었지만 오로지 스베트라나에만 집중한다. 그나저나 이런 일이 그냥 책 속에서만 일어나는 일이라면 얼마나 좋을까. 왜 이런 세상이 되었는지 모두 생각해 보아야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