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물꼬물 세균대왕 미생물이 지구를 지켜요 - 자연의 아이들 지구를 살리는 친구 (풀빛 지구지킴이) 1
김성화.권수진 지음, 박재현 그림 / 풀빛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생물이라면 껌벅 넘어가는 둘째는 역시나 이 책을 보더니 슬그머니 가방에 챙긴다. 저녁에 책을 읽어 달라기에 책을 고르고 있었더니 얼른 이 책을 꺼낸다. 이렇게 글이 많은 책은 읽어주기 너무 힘든데... 할 수없다. 여러 날에 걸쳐 읽어주는 수밖에.

세균이라면 이상하게 무조건 없애야 한다거나 멀리해야 한다는 느낌이 든다. 병균과 세균의 차이는 뭐지? 또 바이러스와 세균의 차이는 어떻게 되지? (아마 이 분야에 정통한 사람이 읽으면 무척 한심해 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헷갈리는 걸 어쩌란 말인가.) 분명 어디선가 읽었을 텐데 제대로 정리가 되지 않다가 시간이 지나면 '모름'으로 돌아간다. 그런데 이제 어느 정도 정리가 되는 듯하다. 세균은 단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좋은 세균과 나쁜 세균이 있지만 바이러스는 세포가 아니기 때문에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즉 바이러스는 숙주가 있어야만 활동을 한다는 얘기다. 그러나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모두 변이를 엄청 잘 한다는 공통점도 있단다.

이런 것은 알면 알수록 신기할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알고 있던 것이 점점 작게 느껴지고 더 궁금해진다. 사실 지구상에는 동물과 식물 두 종류로만 구분한다고 생각했었다. 그것만 알아도 실상 살아가는데는 그다지 문제 되는 것이 없었기에 관심도 갖지 않았었다. 그러나 조금씩 아이들 질문에 대답을 하다 보니 내가 모르는 게 너무 많다는 생각에 그와 관련된 책을 찾아 읽었다. 물론 여전히 모르는 게 너무 많긴 하지만 그래도 처음 보다는 좀 나아졌다. 이제는 미생물을 곰팡이, 원생생물, 세균, 바이러스, 진드기나 물벼룩과 같은 아주 작은 동물(아주 가끔 끼워주는 것이라지만)로 분류한다는 것도 안다. 언제 또 잊어버릴지는 모르겠지만...

유산균이나 대장균도 세균에 속하지만 없어서는 안되는 것들이다. 하긴 없어질 가능성도 없겠지만 말이다. 지구에 처음 발을 들여놓은 것도 이런 세균들이니까. 그리고 아주 뜨거운 곳에서건 아주 차가운 곳에서건 또는 사람들 생각으론 도저히 생물이 있을 것 같지 않은 곳에서도 세균은 살고 있다고 한다. 정말 알면 알수록 신기한 것이 세균이다. 이 책 한 권으로 모든 궁금증을 해결할 순 없겠지만 적어도 자신이 얼마만큼 모르고 있었는지는 자각할 수 있을 것이다. 과학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이런 책들이 더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재천에 너구리가 살아요 아이세움 자연학교 3
김순한 글, 김명길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어느 때인가부터 주변의 하천이 변하기 시작했다. 그저 시멘트 둑이 있고 지저분한 물이 흐르는 그저 그런 하천에서 산책을 할 수도 있고 야생화도 피어 있는 물과 좀더 가까이 있을 수 있는 하천으로 바뀌었다. 그 중에서도 서울에 있는 하천들은 굉장히 많은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안다.

양재천 주변을 개발하면서 곧게 만들었던 것을 원래의 하천으로 되살리면서 지금의 모습으로 되었다고 한다. 원래 물길을 바꾸면 언젠가는 처음으로 되돌아간다는 말이 있다. 그건 자연이란 인간이 인위적으로 바꾸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를 품고 있는 것이리라. 그런 면에서 보자면 양재천을 자연형 하천으로 바꾼 것은 대단히 가치 있는 일일 것이다. 처음에야 양재천을 되살리기 위해 콘크리트를 걷어 내고 물억새나 갈대, 버드나무 등을 인위적으로 심었다지만 자연이란 위대해서 조금만 있으면 스스로 알아서 일어선다. 그래서 그 후로는 더 많은 식물들이 찾아들었을 테고 새도 날아왔을 것이고 갖가지 곤충이나 동물들도 찾아왔던 것이다. 거기다가 너구리까지.

환삼덩굴은 네발나비가 알을 낳는다는데 쥐방울덩굴은 꼬리명주나비가 알을 낳는단다. 이제 양재천에는 쥐방울덩굴도 있다니 머지않아 꼬리명주나비도 찾아오겠지. 이렇듯 여기서는 양재천에서 만날 수 있는 곤충과 식물 뿐만 아니라 물고기와 새도 이야기한다. 양재천을 따라 가다보면 학여울에 다다른다. 여자 아이 둘이 강아지를 데리고 산책을 가나보다. 그런데 명확한 기준이 없어서 좀 헷갈렸다. 계절별로 양재천을 따라가는 것도 아니고 주제별로 따라가는 것도 아니어서 어느 순간 봄에 볼 수 있는 모습이었다가 어느 순간 다시 여름이었다가 가을이고 때로는 한 곳에 모두 합쳐 있기도 하다. 체계적인 구성이 되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리고 여자 아이 한 명이 버들가지를 들고 있는 그림과 꽃을 자전거 바구니에 담고 달리는 그림이 나오는데 왜 그렇게 그렸을까 의아하다. 나뭇가지는 어디서 난 것이며 꽃은 또 어디서 난 것일까. 설마 꺾고 딴 것은 아니겠지. 어린이책이란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그림 하나라도 신경쓰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건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름이의 개울 관찰 일기 - 도시 하천에 사는 새들
신동경 글, 김재환 그림 / 길벗어린이(천둥거인)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올 봄이던가. 새로 이사 온 곳이 산과 가까이 있는 곳이라 아침마다 어떤 새가 경쾌하게 우는(인간의 기준으로 정한 단어라는 것을 알지만 그래도 달리 표현할 말이 없다.) 것이다. 좀 시끄럽긴 했지만 그래도 맑은 소리여서 좋았다. 하지만 무슨 새일까라는 생각을 문득 한 후로 너무 답답했다. 도대체가 우는 소리만 듣고는 알 수가 없으니 얼굴은 낯익은데 이름은 기억나지 않는 친구를 만났을 때의 기분이라고나 할까. 게다가 새 모습을 확인할 거리는 아니기에 더욱 답답했었다. 이렇듯 내게 있어 가장 취약한 부분이 바로 새와 물고기다. 그런데 이 책에 그 둘이 다 나온다. 물론 물고기는 새의 먹이로써 취급되긴 했지만.

우선 표지가 눈길을 끈다. 부들이 있고 네발나비가 알을 낳는다는 환삼덩굴과 주로 물가에 있어서 정화작용을 한다는 고마리꽃도 있네. 그러나 새는... 모르겠다. 새를 보기 위해 꼭 어딘가 이름난 곳을 찾아가야 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 하천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새들을 관찰했다니 지금의 우리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 아닌가 싶다. 과학이나 지식책의 경우 외국 작가의 책이 아니라 우리 작가의 우리 주변을 비추는 책이 훨씬 가치있고 소중하다는 것을 모르는 이는 없을 것이다.

그런 목적에 걸맞게 이 책은 하천에서 보았던 새들을 근 일 년간 관찰하며 쓴 일기 형식으로 되어 있다. 그러기에 이 새가 어느 시기에 우리나라에 오는지, 아니면 언제 알을 낳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우리 하천에 이렇게 많은 새들이 있었나 싶을 정도로 처음 듣는 새가 참 많다. 특히 특정 서식지에 가야만 볼 수 있는 것인줄 알았던 새들도 있었다. 둘째가 이 책을 보는데 흰목물떼새와 꼬마물떼새를 헷갈려한다. 하긴 나도 그렇다. 둘을 비교해 놓은 걸 보니 아주 약간 차이가 나긴 한다. 

한참 넘기다보니 참새나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나무에 참새가 잔뜩 앉아 있는 그림이 나온다. 요즘 해 넘어갈 때 즈음 베란다를 통해 밖을 내다 보면 나무에 까치가 떼지어 날아다니다가 앉아 있는 모습을 보곤 한다. 그것을 보며 어린 시절 시골에서 느꼈던 아릿한 향수가 되살아 났었는데 이 그림을 보니 까치가 참새로 바뀌었을 뿐 똑같은 모습이다. 그건 아마도 여름이나 봄에는 느끼지 못하는, 쓸쓸함이 느껴지는 겨울에만 맡을 수 있는 특별한 냄새일 것이다. 여하튼 새 뿐만 아니라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고 관찰할 수 있는 자연에 대한 책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기존에 나왔던 책들에 이어 앞으로도 계속 만들어 줬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포설 선생님의 과학 교실 공룡 수업 피클힐 마법학교 2
발레리 와일딩 지음, 켈리 월덱 그림, 이충호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어려서부터 공룡에 유난히 집착을 보이는 사내 아이들을 키운 부모라면 어느 정도 기본 지식은 있을 것이다. 사실 나도 처음에는 웬 이름도 그리 어렵고 종류는 또 왜 그리 많은지 헷갈려서 혼났다. 그러나 자꾸 보고 또 보니까 이제 어느 정도 감은 잡는다. 하지만 그 감이 이름 뿐이라는 게 문제다.

피클힐 마법학교 수업은 항상 흥미진진하다. 어디 그것 뿐인가. 각 과목마다 전문가 선생님이 가르치니 내용도 버릴 게 하나도 없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공룡에 대해 배울 거니까 선생님 이름은 무엇일까. 바로 포설이란다. 화석? 뭐, 공룡은 화석으로 밖에 만날 수가 없으니 왜 그런 이름이 붙었는지 알 것도 같다.

시대별로 분류를 해서 공룡에 대해 알아보기도 하고 초식과 육식으로 나누어 알아보기도 하고 공룡을 직접 만나서 알아보기도 한다. 항상 느끼는 거지만 얘네들은 좋겠다.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공룡을 직접 만나고 싶지는 않다. 이미 공룡에 대해 많이 알려져 있지만 그래도 새로운 이름을 만나곤 한다. 에드몬토사우루스는 이빨이 1000여 개나 된다지. 게다가 이빨이 빠지면 새로운 이빨이 계속 나서 걱정도 없다고 한다.

이 시리즈는 종이가 매끈한 것도 아니고 그림이 칼라도 아니라서 처음에는 우려를 했지만 역시 내용이 좋으면 아이들도 알아보는 법이다. 그리고 그림만 봐도 무엇에 대한 내용인지 쉽게 알 수 있다. 특히 아이들이 연구해 놓은 글들을 읽는 것만으로도 아주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이처럼 아이들이 스스로 알아보고 찾아보는 공부를 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건 피클힐 마법학교나 신기한 스쿨버스의 프리즐 선생님 반 아이들이나 가능한 것은 아닐 텐데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가마우스 선생님의 과학 교실 상어 수업 피클힐 마법학교 4
마이클 콕스 지음, 켈리 월덱 그림, 이충호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우리나라의 학교 정규수업에서는 절대 없는 상어수업. 그러나 이 피클힐 마법학교는 별별 수업이 다 있다. 그건 선생님과 아이들도 인정하는 부분이다. 피클힐 마법학교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아무도 모른다고 하니까.

상어란 그저 무서운 존재로만 기억될 뿐이다. 물론 작은 상어도 있고 유순한 상어도 있다지만 그 보다는 무서운 종류가 훨씬 많기에 그냥 모두 '무섭다'로 통일된다. 가끔씩 들려오는 무시무시한 소식도 그렇고 영화도 그렇고 전부 무서운 이야기뿐이니 어찌 안 그렇겠는가.

하지만 무섭다고 상어에 대해 알아보지 않으면 안될 일. 적을 알아야 지지 않는다는 말도 있지 않던가. 그래서 찬찬히 읽어보았다. 역시... 거의 대개가 내가 모르는 사실이다. 메가마우스 선생님과 함께 하는 상어 수업이라는데 상어의 종류 중에 메가마우스라는 상어도 있단다. 상어는 원래 부레가 없어서 가만히 있으면 가라앉는다는 것이 내가 유일하게 알고 있는 상식이다. 그러니 이 책에 있는 내용들이 얼마나 신기했을까.

샌드타이거상어는 뱃속에서 새끼로 부화한 다음 나오는데 글세 서로 잡아먹고 두 마리만 남는단다. 또 뱀상어는 닥치는 대로 다 먹어서 '헤엄치는 바다의 쓰레기통'이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란다. 그리고 못 먹을 것을 먹어서 처리할 때는 위를 뒤집어서 입으로 뱉어낸다나. 참 신기하기도 하고 놀랍기도 하다. 그 모든 것이 결국은 살아가기 위한 방법일 테니까.

이렇게 말만 하면 직접 보고 듣고 느끼는 수업이라면 얼마나 재미있을까. 그래서인지 읽는데도 언제 다 읽었는지 모를 정도로 금방 읽는다. 이제 2학년인 둘째가 하도 가방에 넣고 다니며 친구들과 함께 읽어서 헌책이 되어버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