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아 있는 자를 수선하기
마일리스 드 케랑갈 지음, 정혜용 옮김 / 열린책들 / 2017년 6월
평점 :
이 책을 읽는데 마음이 무거워서 인지, 자꾸 '내 아들이 만약...' 이란 끔찍한 상상을 안 하려 해도 자꾸 하게 되어서 그런지 쉽게 쉽게 소설을 읽지 못했다. 책을 열었다 닫았다를 여러 번 하게 된 책이다. 책 소개에 "단숨에 다 읽었다."라고 한 독자와는 굉장히 상반된 입장이다.
책의 내용은 장기 이식에 관한 이야기이다. 생명을 대하는 각기 다른 생각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 인간은 자신의 입장에 따라 생각하는 것을 이 소설을 통해 또 한번 느낄 수 있었다.
시몽 랭브르는 친구들과 함께 서핑을 하고 돌아오는 길에 교통사고가 난다. 다른 두 친구들은 안전벨트를 메었지만 시몽은 가운데 좌석에 앉았고 벨트를 안 메어 충동과 동시에 차량 밖으로 튕겨져 나갔다. 안전벨트의 중요성에 대해 또 생각하게 되었고, 예전에 아들 친구들을 차 뒷좌석에 잔뜩 태운 적이 있는데, 가운데 앉는 어린이의 안전벨트가 느슨했으나 그냥 운전을 했던 기억이 퍼뜩 났다. 절대 그러지 말아야겠다.
시몽 랭브르. 열아홉 살 청년, 신경학적 검사 무반응, 통증 자극 무반응, 뇌 신경 반사 전혀 없음, 동공에 움직임 없음, 혈액 순환 상태는 안정적. 의사로서 만나는 시몽은 그저 의학적으로 코마 상태에 빠진, 그리하여 다른 누군가에게 장기를 이식해 시몽은 죽지만 다른 이를 살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는 대상이다.
내가 시몽의 부모라면 어떨까? 반전에 대한 생각으론 스캔 이미지의 전도, 사진의 뒤바뀜, 판독 실수, 검사 결과서의 오타, 컴퓨터의 버그에 기대를 끝까지 할 것인가 아니면 다른 누군가를 살리기 위해 아들을 포기할 것인가... 시몽에게도 영혼이 있을 텐데, 나중에 장기 이식을 받을 대상자들이 마치 시몽을 하나의 제공자, provider로만 여기는 장면이 매우 씁쓸했다. 사실 실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대상자들은 얼마나 기쁜 소식이겠는가. 근데 읽을수록 너무 슬프다. 그래서 자꾸 '나였다면?' 이란 생각을 하게 되나 보다.
시간의 흐름 속에서 무사히 살아남아 시간의 되돌림이 불가능함을 보여 줌으로써 고통을 촉발하는 것들을 마주하면 가끔씩 느끼게 되는 감정에 휘둘린다(시간이 어느 방향으로 흐르는지, 시간이 선적인지 아니면 훌라후프처럼 빠르게 도는 원들을 그리는지, 시간이 완결된 원들을 만드는지 아니면 소라 껍질의 나선형처럼 말리는지, 시간이 파도가 꺾이며 생성된 튜브, 그 어두운 이면으로 바다와 우주 전체를 빨아들이는 거대한 튜브의 형체를 띠는지를 어느 날엔 가는 그녀가 알아야 하리라. 그렇다. 흐르는 시간이 무엇으로 이루어지는지를 그녀가 이해해야 하리라. Pg101
엄마 마리안이 시몽을 생각하며 일컫는 말인 "아이"라는 단어 선택에 참 뭉클했다. 시몽이 아무리 19살 거의 어른일지라도 부모에게는 한낮 아이일 뿐일 테니 말이다. 각막과 눈빛의 차이를 부모가 아니면 그 누가 이해할 수 있을까.
돌이킬 수 없음에 대해 생각을 하게 하는 책이었다. 절대 발생하지 말아야 한다는 생각을 지속적으로 생각하며 읽다가도, 만약 우리 아이가 장기이식이 필요한 사람이라면 또 입장이 달라지게 되는, 혼란스러운 마음과 오만가지 생각을 하며 읽은 책이다. 더불이 지금 현재 이 시점이 얼마나 감사하고 또 감사한지 모르겠다는 생각을 하게 해주는 책이기도 하다. 책을 다 읽고 나니 책 표지의 디자인이 이해가 된다. 의미를 알게 되니 이제서야 책 디자인이 매우 마음에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