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군주 - 하 - 가면의 주인
박혜진 원작, 손현경 각색 / 웅진지식하우스 / 2017년 6월
평점 :
사극 드라마는 웬만하면 빼놓지 않고 다 보는데 이번에 엄청난 캐스팅에도 불구하고 볼 수 없었다. 역시 캐스팅이 화려한 덕일까 했는데 훌륭한
원작이 있었기에 좋은 드라마가 만들어진 것 같다. 원작이 대단해서인지 아니면 각색을 훌륭하게 해서인지는 분간이 어렵지만, 소설 역시 너무
재미있는 진행 이어 책을 잡는 즉시 휘리릭 읽을 수 있었다.
소설책을 읽고 나니 드라마 역시 궁금했지만, 역시 소설을 따라갈 수
없으리라 생각이 든다.
진짜 세자와 가짜 세자 역활을 하는 천민인 두 이선과 가은의 관계를 그려내는데 매우 애틋하고 마음이
알싸했다. 둘 다 모두 가엽기만 한 이선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스스로의 자질과 정통성을 의심하는 세자, 아비 죽음의 복수만을 위해
궁에 들어온 가은, 가은이를 사모하지만 신분의 격차로 인해 감히 다가갈 수 없는 가짜 세자, 세자를 연모하여 그를 위해 편수회의 수장이 된
화군, 주상의 사랑을 받지 못해 후사가 없는 질투의 화신 대비, 세상을 좌지우지 하고자 짐꽃환을 만들어 권력을 가진자를 중독시키게 한 후
마음데로 세상을 주무르는 편수회, 목적을 위해서라면 자신의 친손녀도 죽이는 대목 , 짐꽃환을 만드느라 죽어가는 어린 여자아이들. 스토리가 신속히
진행되어서인지 가속도가 붙어서인지 책을 시작하면 놓을 수가 없었다.
드라마를 본 적은
없지만 어떤 배우가 누구의 역할을 맡았는지를 알아서인가, 소설을 읽는 내내 그들의 이미지가 떠올랐다.
책에서 "짐꽃환"이 등장하는데, 실제 이런 건 없지만 일종의 마약으로 의미가
통한다. 실제 있는 제품인가해서 찾아보니 가상으로 만든것이라고 한다.
진정한 군주가 될 수 있을까? 지난 조선왕국
500년 이래 진정한 성군, 군주가 진정 있었을까? 세자가 바라는 진정한 세상이란 것이 이렇게 허위로 만들어질 수 있을까? 끝없이 혼자여야만
하고 외롭고 지치게 하는 궁 생활이 안타깝다는 생각을 그만 둘 수가 없었다. 언제나 모든 왕들이 견뎌내야했던 무게감이지않나 싶다. 백성을
사랑하고 백성을 위하는 세자의 모습이 흐뭇하기도 하고, 한나라의 지도자들의 비리가 뉴스에 빈번히 발표되는 요즘, 현실과 가상속의 지도자가
너무나도 다르기 때문에 더욱 더 소설속 인물을 열광하는 것 같다.
이 소설은 사람의 복수심, 사랑, 인간의 탐욕에 대해 잘 그려진
것 같다. 특시 애틋한 사랑이야기가 소설의 재미를 더한다. 드라마에서 미처 다 다룰 수 없고 표현할 수 없는 부분을 소설로 만나볼 수 있지않나
생각한다.
운명은
강과 같다. 강이 분노하면, 모든 것이 잠기고, 무너지고, 쓸려가버린다. 인간은 결코 그것을 멈출 수 없지. 그저 가혹한 운명이 지나가도록,
기다릴 수 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