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편의점 인간 - 제155회 아쿠타가와상 수상작
무라타 사야카 지음, 김석희 옮김 / 살림 / 2016년 11월
평점 :
<편의점 인간>의 책 두께만 보고 정말 휘리릭 금방 볼 수 있을 것 같았다. 물론 하루에 다 보기도 했지만 책장이 슝슝 넘어가도 내용은 가볍지 않았고 훨씬 더 심오하게 생각을 많이 하게 해주는 책이었다. 책을 읽으며 나는 작가의 의중을 잘 파악하고 있는 것일까? 그는 무슨 말을 이 소설을 통해 하고 싶을 것일까?를 계속 생각하게 했다.
편의점에서 18년 동안 일을 해온 주인공 후루쿠라. 세상에서 숨고 싶고 독특하다못해 매우 거슬리는 생각을 가진 사라하. 그리고 편의점 점원들과 그 외 사람들을 보며 우리 사회를 풍자한 모습을 상상해본다. 자꾸 밑바닥인생이라고 하니까 그 단어 자체가 너무 거슬렸다.
우선 이 책을 읽고 편의점에서 일하시는 알바생들을 좀 더 관찰하게 되었다. 예전에는 그저 아무 생각없이 편의점에서 일하는 사람들을 그냥 "사람"으로 대해서 성별, 나이 등을 생각도 안하고 그저 점원으로만 봤던 것 같다. 우리집 앞 편의점을 자주 가는데 그들의 인상착의가 전혀 기억이 나지 않았다.
알바생이라고 해서 밑바닥 인생이라 생각한적 없으며 백수라해서 뭔가 문제가 있는 사람이라 생각한 적이 없던 것이 내가 그들을 배타시키는 것이 아닌 그저 무관심으로 바라봐서가 아닌가 싶은 생각도 해보았다. 그냥 사회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주위 사람들이 어떤 생각을 하며 사는지, 나의 인생 외에는 크게 관심을 가져본적이 언제였던가....란 생각을 하면서, 만약 후루카라씨가 내 친구였다면 오히려 나와 잘 맞았을수도 있겠다란 생각을 했다. 내가 뭔가 좀 이상한가? 란 생각도 동시에 했지만서도.
후루카라씨가 어렸을 때 비둘기가 죽었을때 보여준 반응이 꼭 잘못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까? 란 생각을 제일 먼저 했다. 좀 억지일 수 있지만, 인간은 개도 잡아먹고, 소, 돼지, 닭, 다 잡아 먹으면서 비둘기를 잡아먹자는 듯의 뤼앙스로 어린아이가 말을 했다는 것이 뭐가 그리 크게 잘못되어 자꾸 "고치려"했는지, 되려 그들이 좀 문제가 많은 건 아닌가란 생각이 들었다. 그러니 점점 그럴수도 있는 성격이라 이해받기 보단 한순간에 이상한 사람으로 만드는 게 아닌가 생각도 해본다.
남들 다 하는 것을 한다고 정말 행복할까? 대학교 졸업하고 취직하고 결혼하고 아이를 낳는 것이 누가 정상이라 말할 수 있으며 그것이 결국 행복한 삶이라 말할수있으랴. 또한 남의 인생에 무슨 권리로 그렇게 간섭을 하는 것인지.
작가가 어떤 메세지를 주고 싶어 이 소설을 집필했는지 그 깊이를 다 이해할 수는 없지만 내가 드는 생각은 남들이 인정할것같은 인생을 살지 말고 내가 삶의 주체가 되고 판단하며 사는 인생을 꾸려가자란 생각을 하게 되었다.
남들이 이렇게 하면 정상이라 할 것 같아 주인공이 사라하씨와 동거를 시작하면서, 점점 자신의 인생을 사는 것이 아닌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인생으로 길을 들어서는 것 같아 마음이 안좋았다. 나는 어떻게 살고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이 책을 읽고 나니, '누가 뭐라 해도 내 인생! 내 맘대로 살지어다!'란 생각이 자꾸 든다. 더불어 남의 인생에 왈가왈부 하지 말아야겠다는 다짐도 해본다. 남의 인생을 감히 내가 판단하지 말자! 나나 잘하세요~ 란 생각이 마구 드는 책이었다.
나를 아는 모든 사람으로부터 나를 숨겨줘요. 나는 아무한테도 폐를 끼치고 있지 않은데, 다들 태연히 내 인생에 간섭해. 나는 그저 조용히 숨을 쉬고 싶을 뿐이야. pg 137
나는 언제부터 이렇게 세상이 잘못되었는지 조사하고 싶어서 역사책을 읽었습니다. 메이지, 에도, 헤이안... 아무리 거슬러 올라가도 세상은 계속 잘못된 채였어요. 조몬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도. 그래서 깨달았어요. 이 세상은 조몬시대와 다를 게 없다는 걸. 무리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인간은 삭제되어갑니다. 사냥을 하지 않는 남자, 아이를 낳지 않는 여자. 현대사회니 개인주의니 하면서 무리에 소속되려 하지 않는 인간은 간섭받고 강요당하고, 최종적으로는 무리에서 추방당해요. pg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