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화, 우리 시대의 거울 -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소통의 징검다리
이경덕 지음 / 다른세상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어릴적 즐겨듣던 옛날 이야기만큼 재밌는 것이 있을까? 내게 있어 어릴 적 이야기의 대표로 떠오는 것은 여러나라의 신화들이다. 그리스 신화는 물론이고 북유럽 신화, 이집트 신화, 인디언 신화, 인도 신화 등 각종 신화를 너무나도 재미있게 읽었더랬다. 세계창조의 이야기, 신의 이야기, 영웅의 이야기가 그 자체로 흥미진진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 안에서 인류가 축적한 지식의 편린이라도 엿보았던 것은 아닐까 생각해본다. 신화는 인류의 지식과 감정이 농축되어 있어 그 자체로도 맛있기 그지없지만, 그 이상 후세 사람들의 상상력을 끝임없이 자극하는 거대한 원천이 되어준다는 점에서 무한에 가까운 가치를 가지게 되는 것이리라..
이 책 [신화, 우리 시대의 거울]은 그리스, 북유럽, 남아메리카, 인도 등 각국의 10여편의 신화를 소재로 삼아 인간에 대해, 운명에 대해, 가치에 대해, 삶에 대해 생각해보는 책이다. 본래 KBS에서 [신화 오딧세이]라는 제목으로 10부작의 라디오 특집극을 방송했는데 그 방송의 내용을 정리하여 이번에 책으로 낸 것이라고 한다. 이런 컨셉의 책이 대부분 그렇듯 이 책 역시 대중성을 살려 넓은 주제를 접근하기 편하게 설명해간다는 점이 돋보인다.
서술방식을 살펴보자면 일단 동일한 주제로 접근가능한 신화(들)와 동화(들)를 비교하며 서술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에컨대 소통이라는 주제를 다루면서 길가메시 서사시라는 신화와 인어공주라는 동화를 요약하여 소개한다. 길가메시 서사시에는 길가메시와 엔키두가 등장한다. 두 인물은 탁월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각자 왜곡된 자아를 가지고 있어 사회에 이로운 인물들이 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두 명은 서로 만나게 되고 서로 소통을 통해 비로소 바람직한 자아상을 정립해가고 마침내 불세출의 영웅으로 성장하게 된다. 반면 인어공주는 눈에 보이는 매력적인 외형을 얻기 위하여 소통의 수단인 혀를 포기하는 선택을 한다. 그 결과 결국 인어공주는 물거품이 되어 사라져버리게 된다. 비록 영혼은 구원을 받았다고 하지만, 만약 그녀가 소통의 중요성을 깨닫고 있었더라면 그토록 갈망하던 사랑도 성취할 수 있지 않았을지? 그리고 여기서 출발하여 소통부재라는 현대의 사회문제, 그리고 자살이라는 심각한 문제에 대해서도 화두를 던진다.
다루고 있는 주제를 살펴보자면 '나는 누구인가?' 부터 시작하여 '어른 되기', '소통', '타자', '여성'를 거쳐 '삶과 죽음'의 문제까지 아우른다. 분량이 적은만큼 명쾌하고 간략하게 서술해가면서도 서사구조를 적절히 배치하여 독자가 흥미를 잃지 않도록 배려하는 점이 돋보인다. 철학적 문제로 고민하기 시작하는 청소년들에게 신화로 사고하기를 가르쳐줄 수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특히 학생들에게 권하고 싶어지는 책이다. 다만 각각의 주제가 간단하고 명쾌하게 쓰인다는 점은 접근성을 높인다는 면에서는 장점이기도 하지만, 신화에 익숙한 사람에게 있어서는 내용이 빈약하게 느껴진다는 점에서는 아쉬운 점이기도 하다. 개인적인 소감일지도 모르겠지만 좀 더 많은 주제를 다루어 분량이라도 늘려주었더라면 더 좋았을텐데 생각해본다. 좋은 반응을 얻어 후속작이 나왔으면 좋겠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려나? 신화에 관심이 있는 독자에게라면 누구에게든 일독을 권할만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