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 52 | 53 | 5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그림 도둑 준모 낮은산 작은숲 4
오승희 지음, 최정인 그림 / 낮은산 / 200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준모는 참 평범한 아이다.

그래서 부모 입장에서 조금 더 욕심을 내게 되고 조금 더 밀어붙이게 되는 아이.

그러면 군소리없이 그냥 따라오는 아이.

하기 싫다고 하면 엄마가 슬퍼할까봐.. 자기가 못하면 엄마가 속상한 걸 먼저 걱정하는 아이.

우리 큰 아이랑 닮은 면이 많다.

하니까 문제집도 한장 더 풀리고. 영어도 10분 더 하라고 하고

싫다고 많다고 하면서도 울면서도 꾸역꾸역하고 있는 내 아이를 보면서 맘이 짠한 적이 있었다.

지 동생처럼 싫다고 고집피우고 떼쓰면 안 시킬수도 있는데... 할래 안할래? 하고 강압적으로 물어

보면 눈물을 뚝뚝 떨어지면서도 한다고 하겠다고 하는 아이다.

준모를 보면서 많이 짠했다.

하지만 준모엄마를 보면 많은 동감이 갔다.

나도 우리옆집에 예린이가 산다면 많이 스트레스받고 아이를 들들 볶았을지도 모른다.

다행히 그런 아이가 없다. 아니 있어도 모른다...

내가 읽고 아이에게 권했더니 ... 아이는 조금 슬프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자기는 준모랑 닮지 않았단다...

(독서지도를 배우면 내가 만약 주인공이라면? 그 일이 내게 생긴다면? 이란 질문을 많이 하는데

 그게 참 의외로 어려운 질문이다. 남의 고민은 들어주고 충고해줄 수 있지만 내가 그 입장이라고

생각하긴 힘든거.. 그런거 아닐까 싶다.)

엄마가 들들 볶기전에 아이들이 먼저 안다.

잘 하고 싶고 앞서고 싶고 상도 받고 싶고..

긴 인생에서 어찌보면 아주 사소한 그런일들이 아이에겐 세상 전부가 되고

죽고 싶고 도망가고 싶은 일이 된다.

의도되지 않은 거짓말로 준모가 고민할때.. 차라리 다리가 부러졌으면...

그래서 엄마가 사실을 몰랐으면... 하는 부분이 참 찡하다.

아이들은 별거아닌데 엄마한테 혼나는거.. 들키는 걸 참 크게 생각하는구나 싶었다.

예전에 나도 그나이적에 우산이나 겉옷을 자주 잃어버렸었다.

그래서 몇번을 혼나도 계속 그 건망증이 없어지질 않아서 어느날

우산을 또 잃어버렸을때 엄마한테 혼나는게 무섭고 엄마에게 미안해서..

차라리 죽어버릴까 생각한 적이 있었다. 겨우 우산하나때문에 죽음을 생각 한 적이 있다.

준모도 그렇겠고 내 아이도 그런 적이 있을거다...

아이를 이해하는 것... 그게 모든 교육서의 기본이고  세상 모든 엄마가 알면서도

실천이 쉽지만은 않은 것을 다시 느낀다.

그래도 준모는 진구라는 친구가 있어서 좋겠다.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쓰기 생각쓰기
윌리엄 진서 지음, 이한중 옮김 / 돌베개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을 쓰고 싶었다.

내 글이 밥이 되고 돈이 되어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러려면 잘 써야했다. 그래야 한다고 생각했다.

글쓰기에 대한 책을 읽었다.

이 책은 글쓰기에 대한 기술적인 첵은 아니다 다른 책들이 그렇듯이..

글을 쓸때의  방법이나 자세등 간간히 구체적인 예가 나오기는 하지만

글을 쓴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무엇을 쓰고 싶어하는가를 알아야한다고 말한다.

이런 책을 많이 읽으면 도움은 될것이다.

회고록을 쓸때 여행기를 쓸때. 인터뷰를 할때 혹은 픽션을 쓸때라도 말이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건..

결국 내가 써야 한다는 사실이다.

쓰는동안 생각하고 자료를 모으고 사람을 만나고.. 그리고 쓰고 고치고..

그게 결국... 가장 중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쓰기 생각쓰기
윌리엄 진서 지음, 이한중 옮김 / 돌베개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궁극적으로 글 쓰는 이가 팔아야 하는 것은 글의 주제가 아니라 자기 자신이다.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가장 중요한 두가지가 여기서 나온다. 바로 인간미와 온기다. 좋은 글은 독자를 한문단에서 다음 문단으로 계속 나아가도록 하는 생생함이 있다. 이것은 자신을 꾸미는 기교의 문제가 아니다. 가장 명료하고 힘 있는 언어를 사용하는 방식의 문제이다.-18쪽

글을 쓰는 사람은 언제나 스스로에게 이렇게 무 ㄹ어야 한다. 나는 과연 무엇을 말하고 싶은가? 내가 제대로 말을 했나? 이 주제를 처음 접하는 사람이 보기에 글이 명료한가?-24쪽

자기 자신을 팔자. 자기 자신과 자신의 생각을 믿자. 글쓰기는 자아의 행위이다.-37 쪽

어떤 글에서건 가장 중요한 문장응ㄴ 맨 처음 문장이다. 첫문장이 독자를 둘째 문장으로 끌고 가지 못하면 그 글은 죽은 것이다. ..... 이렇게 독자가 완전히 걸려듣ㄹ 때까지 한문장 한문장 끌고 가는 것이 글의 가장 결정적인 부분인 도입부이다. 따라서 도입부는 금방 독자를 붙잡아 계쏙 읽게 만들어야 한다. 또 이 글을 왜 써으며 왜 이글을 읽어야 하는지 독자에게 구체적으로 알려주어야 한다. -55,56쪽

다를ㄴ 사람들보다 더 잘 쓰려면 먼저 남들보다 잘 쓰고 싶은 욕심이 있어야 한다. 자기 글솜씨의 아주 작은 부분에 ㄷ ㅐ해서도 강박적인 자부심을 가져야 한다. -276 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 52 | 53 | 5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