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브라이슨 발칙한 유럽산책 - 발칙한 글쟁이의 의외로 훈훈한 여행기 빌 브라이슨 시리즈
빌 브라이슨 지음, 권상미 옮김 / 21세기북스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주위에서 여행을 많이 간다.

아이 시험 끝났다고 국내 여행을 가는 집부터

멀리 유럽까지...

돈도 없고 시간도 없고 여유도 없는데 자꾸 어딘가 가고싶다.

나도  남해 좋은 거 알고 유럽 좋은거 다 아는데.. 갈 수 없다..

 

책을 집어든다.

좋다고 너무너무 좋다고 와보라고..

멋진 사진으로 도배하고 감탄사가 연발되는 책 말고

여긴 너무 힘들고 꾸지고  엉망진창이라고 이야기 해주는 빌 아저씨를 선택한다.

유럽이지만..

내 이웃이 카톡으로 보여주는 유럽과는 너무나 다른 곳이다.

지저분하고  짜증내고 무뚝뚝하고 불친절한 사람들

물론 계속 궁시렁대기만 하는 건 아니다.

카프리가 너무 좋고 피렌체도 좋다고.. 살고 싶다고도한다.

정말 유럽다운 소피아를 이야기해주는 부분도 좋았다.

지금은 어찌 바뀌었을지 모르지만

맥도날드도 없고 편의점도 없는 고요하고 소박하다못해 빈궁기가 흐르는 그 도시를

나도 가보고 싶다.

 

"......소피아는 내가 가봤던 도시중에 가장 유럽다운 도시였다. 현대식 쇼핑센타도 대형 주유소도 맥도날드나 피자헛도 없고 코카콜라 회전 광고판도 없다.. 내가 가본 어떤 도시도 미국 문화의 달콤한 유혹에 이토록 철저하게 저항한 곳은 없었다. 소피아는 어느 모로보나 완전히 유럽다운 도시였다. 내가 어린 시절 꿈꾸었던 유럽은 바로 이런 곳이었다는 걸 깨달으며 마음깊이 뭔가 몹시 불편해졌다............

 

물로 지금은 달라졌겠지만..

 

작가가 나름 계획을 세워서 다녀온 여행이겠지만 글로 느껴지는 건

어느 도시에서 그냥 나른하고 여유롭게 걸어다닌다는 것이 맘에 들었다.

어딜 꼭 가봐야하는 것이 아니고 관광지에서 길게 줄을 서는 것이 아니라

마음 내키는 대로 발길 닿는대로 골목을 걸어다니고 박물관이나 미술관에 들어갔다가 나오는 것

그리고 노천 카페에 앉아 하염없이 멍때리기도 하는 것

참 좋았을 시절 좋은 여행이 아닐까

 

계속 투덜거리고 궁시렁대더라고 그 곳에 대한 무한한 애정이 느껴지는 것도 이 아저씨의 재능이 아닐까 싶다..

 

아침부터 밤까지 치밀하게 계획을 짜고 한치의 흐트럼없이 실행하는 여행말고

이렇게 헐렁하면서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는 여행이 그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의 서재 - 나만의 도서관을 향한 인문학 프로젝트
정여울 지음 / 천년의상상 / 201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한겨례에서 드문드문 글을 읽으면서 참 잘 쓰는구나 생각했다.

내 기준에서 잘 쓴다는 건  아주 훌륭하다는 게 아니라

내가 생각을 하면서도 글로 말로 표현할 길이 없는 것들을 참 정리해서 잘 쓴다는 느낌을 받았다.

이 전의 책 "문학멘토링"을 읽으면서 소설을 많이 읽어야 겠다고 생각하고 읽었었다.

내가 보기에 잘 쓴 책은 그 책을 통해 다를 독서에 대한 욕구를 일으키는 것

그리고 생각이 계속 확장되어 나갈 수 있는 것

그리고 최종적으로 머리속에 든 생각이 몸으로 손으로 실천될 수 있다면 정말 좋은 거라는 것이다.

아직 세번째 단계느 아니지만

이 책은 충분히 두번째 단계까지 나를 확장시켜준다.

 

맘이 잘 맞는 친구와 이야기를 하는 것처럼 그래그래 니말이 내말이야..라고 고개를 끄덕이게 만들어 주는 힘이 있다.

읽으면서 맞아 그랬지 하는 공감이 들고 알지 못하는 작가의 여린 속내가 보이는 것도 같고 그것조차 낯설지 않아서 좋았다.

나중에 딸도 함께 읽고 책읽기의 폭을 넓혔으면 하고 바랄만큼 좋았다.

다만..

이제 그녀의 책을 몇권 읽고 나니 걸리는 건 문체다.

여성적이고 섬세하다는 건 좋은 점이기도 하지만 자주자주 자신없어보이는 문체가 보인다.

....이랄까.......이 아닐런지... 뭐 이런 얼버무리는 말투같은 것이다.

어쩌면 내가 쓰는 글에서도 많이 보이는 대목이라 더 걸렸는지 모르겠다.( 봐라. 이런거)

문학이라는 것이 인문학이라는 것이 수학처럼 정답이 딱 떨어지는 것이 아니고

누구의 눈에 보이는가 , 어느 방향에서 보는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긴 하지만

그런 문장의 마무리가 너무 자주 눈에 띄여서 걸렸다.

좀 더 확신있게 마무리해도 좋을텐데...

누가 뭐라고 할것도 아닌데 말이다.

 

그럼에도

겸손하게 누군가와 소통하고 싶어하고 이해하고 싶어하는 작가가 참 예쁘고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리초등학교 스캔들 높은 학년 동화 23
하은경 지음, 오승민 그림 / 한겨레아이들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스캔들이라니...

스캔들...

이 단어가 주는 느낌은 초등학교라는 순수한 곳에 어울리기나 할까싶었다.

그냥 소문도 아니고 스캔들이라니..

추잡한 정치세계나 언론 이나 연예계도 아닌 초등학교에서의 스캔들이란

 

 

부정입학 문제, 아이들 사이의 표절문제

꽤나 큰 사건들이 나온다.

하지만 이 책에서 그런 사건이 주된 내용이 아니다.

결국 아이들 사이에 숨어있던 위태위태한 관계들이 그 적나라한 모습을 드러내기위한 장치일 뿐이다.

친하다고 믿었던 그룹 아이들 내의 갈등

학교내 전교왕따인 아이 이야기

절친이라고 믿었던 친구에게 배신당하는 이야기

어릴 적 친구가 결국 어느 학교로 가느냐에 따라 갈리는 이야기 등등

어쩌면 교문앞에서 은밀하게 나눠지던 이야기들,

바람결에 듣던 여러가지 학교 이야기들이 책속에 들어왔다

 

이야기는 각각 아이들의 입장과 시각에서 차례로 씌여졌다.

누구나 이유가 있었다.

잘난 척을 하든지 남의 작품을 베끼던지

누군가를 몰래 음해하든지

모두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그리고 이야기는 누군가 반성하는 걸로 끝난다.

왠지 마무리가 허전하다,

일단 판은 크게 펼쳐놓았는데 어떻게 끌고가야할지 몰랐던게 아닐까 싶게

그냥 모든 것을 알게 된 지유의 권유로 미도가 사과하려는 것으로 끝이다.

이게 뭐지

소정이는 수지는 그리고 현수의 이야기는 ...

뭔가 미진하다

 

6학년이면 이제 알건 다 아는 나이다.

집안 사정에 대해 속속들이 알지는 못해도 우리집은 누구네보다는 가난하고 누구네 보다는 괜찮다는 걸 은연중에 안다,

누구랑 사귀는 것이 이익인지 나를 돋보이게 하는 건지도 안다.

딱히 나쁜 뜻은 없겠지만 누구랑 놀면 찌질해지는지 누구를 피해야하는지도 안다

어느정도 덮어두고 감추고 어느정도 드러내야하는지도 안다.

그렇게 어린이는 벗어나면서 아직 어른이라고 할 수 없는 그렇다고 청소년도 아닌 그 어정쩡한 상이에 낀 아이들은 스스로 불안하다,

의도했건 의도치 않았건 일은 꼬여가고 세상은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는 걸 아는 나이다.

옳고 그르다는 걸 구분할 줄 알지만 내게 이익이 되는 것이 항상 옳은 것만은 아니라는 것도 아는 나이다.

그래서 아이들은 순수하면서 동시에 악랄할 수 있다.

 

이야기를 크게 펴놓고 마무리가 안되었단 찜찜함은 남지만 아이들 하나하나가 요즘 흔히 볼 수 있는 아이들처럼  익숙하다,.

갑자기 궁금하다

지유 미도 소정 등등은 자라서 어떤 어른이 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사가 사랑한 수식
오가와 요코 지음, 김난주 옮김 / 이레 / 200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이 사람에게 보여줄 수 있는 최고의 예의를 보여줍니다, 어눌한 박사가 가정부에게 그리고 그의 아들에게 가정부 모자가 박사에게 보여주는것은 애정을 넘은 인간에 대한 예의였고 배려입니다,
아이에게 꼭 권하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식객 1 - 맛의 시작
허영만 지음 / 김영사 / 200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이 필요없습니다. 내가 아는 요리 내 몸이 기억하는 요리가 따뜻한 이야기와 함께 나옵니다, 우리에겐 우리 음식이 최고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